기본자산(Core) vs 위성자산(Satellite) 뜻과 특징 예시로 정리

기본자산 위성자산 Core & Satellite은 투자에서 포트폴리오 자산 배분 전략에서 나온 개념입니다.

1.기본자산 (Core, 코어자산)

  • 투자 포트폴리오의 뼈대 역할을 하는 자산
  • 장기 투자에서 안정적으로 가져갈 자산군
  • 주식에서는 S&P500, 나스닥100ETF 가 해당되고,
    채권에서는 미국채etf등이 해당.

1-1.특징

  • 낮은 변동성
  • 비교적 높은 예측 가능성
  • 장기 보유시 안정적 수익 기대

2.위성 자산 (Satellite)

  • 포트폴리오에서 보조적, 전략적 역할
  • 인플레이션 헷지, 절세 등 특정 목정을 위해 편입한 자산
  • 코어 자산에 비해 높은 리스크, 수익

2-1.특징

  • 금리사이클, 경제 상황에 비중 조절 필요
  • 변동성이 크고 단기 투자 전략에 유용

2-2.Cors vs Satellite로 나누는 이유

모든 자산을 주식과 같이 공격적으로 가져갈 경우 변동성이 너무 크고,
반대로 모두 채권으로 가져가면 수익률이 낮음.
그래서 core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satellite로 방어력과 수익률을 높이는 구조

3.예시

기본자산(Core)

  • 주식:S&P500 ETF, KOSPI200 ETF
  • 채권: AGG, BND 같은 중기 코어 채권 ETF
  • 현금성 자산: 단기 국채

위성자산(Satellite)

  • 채권: 고수익 채권 ETF, 신흥국 채권 ETF, 인플레이션 연동채권(TIPS ETF)
  • 주식: 테마 ETF(반도체, AI, 전기차 등), 신흥국 주식 ETF
  • 대체투자: 원자재, 금 ETF

4.역할

  1. 안정성과 성장성 균형 → Core로 안정, Satellite로 수익 강화

  2. 위험 관리 → 특정 자산군 급락 시 Core가 방어

  3. 맞춤형 투자 → 투자자 성향(공격형·안정형)에 맞춰 Satellite 비중 조절

5.마무리

투자는 100% Core도, 100% Satellite도 아닌 균형이 중요!

  • 안정형 투자자: Core 80%, Satellite 20%

  • 중립형 투자자: Core 60%, Satellite 40%

  • 공격형 투자자: Core 40%, Satellite 60%

 핵심은 “Core로 기둥을 세우고, Satellite로 색깔을 입히는 것”이입니다.

연금계좌 100% 활용하기 >> click!

해외 주식 투자 양도소득세 신고 예시 신고기간 계산

ETF 투자 세금 비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