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인덱스ETF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제 디커플링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인도는 새로운 투자처로 주목받는 핵심 신흥국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인도 대표 주가지수인 Nifty 50 Index를 기초로 한 ETF인 TIGER 인도니프티50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ETF 개요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2023년 4월 14일
- 총 순자산: 약 5,674억 원
- 기초지수: CNX Nifty Index
- 총 보수(연): 0.3821%
- 현재가: 13,356원 (2025년 3월 21일 기준)
수익률 및 배당
- 1개월 수익률: +5.13%
- 3개월 수익률: -2.79%
- 6개월 수익률: -2.96%
- 1년 수익률: +12.86%
- 분기 배당 수익률: 연 1.31% (2024년에는 1, 4, 7, 10월에 배당 지급)
주가 상승 수익(11.5%)과 배당 수익(1.31%)을 합산한 총 수익률은 약 12.86%로,
인도 시장의 성장성과 안정적인 배당 매력이 함께 나타났습니다.
구성 종목 섹터 비중
TIGER 인도니프티50 ETF는 인도 내셔널 스톡 익스체인지(NSE)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개 기업으로 구성된 Nifty 50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 지수는 인도 GDP의 약 60%를 반영하며, Free Float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산출되어 유동성이 높은 대형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Free Float(프리 플로트)란?
: 한 기업의 전체 주식 중 대주주나 내부자 보유분을 제외하고, 실제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 가능한 주식 수를 의미합니다.
주요 구성 종목 Top 5
- HDFC Bank Ltd – 12.96%
- ICICI Bank Ltd – 9.06%
- Reliance Industries Ltd – 8.29%
- Infosys Ltd – 5.59%
- Bharti Airtel Ltd – 4.30%
ETF는 금융 및 IT 업종 비중이 높은 성장형 대형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위 종목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이는 특정 기업의 실적이 ETF 전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ifty 50 특징
- 인도의 대표 벤치마크 지수로, 국내외 투자자들이 인도 시장의 흐름을 파악의 기준
- 시가총액 상위 50개 기업으로 구성, 인도 경제의 핵심 산업과 기업들을 포괄
- 구성 종목들은 주로 성장지향적인 대형주로 배당보다는 주가 상승에 초점
- Free Float 기준 시가총액 방식으로, 유통 가능한 주식 수에 따라 비중이 조정
- 글로벌 ETF인 iShares India 50 ETF 역시 이 지수를 기초지수로 활용
주요 이슈 및 투자 포인트
🔸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디커플링
- 디커플링(Decoupling): 미국과 신흥국 간의 경제 흐름이 분리되는 현상.
과거에는 미국 경기가 좋으면 신흥국도 상승했지만, 최근에는 각국이 독자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공급망 재편(Supply Chain Restructuring): 미중 갈등, 팬데믹 이후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인도,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인도는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참여, ‘Make in India’ 정책 등을 통해 글로벌 제조 및 투자 허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인도의 경제 성장과 인구 구조
- 인도는 14억 명이 넘는 인구와 세계에서 가장 젊은 노동력 구조를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 친화적 소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2030년까지 연평균 7% 성장률이 전망되며, S&P Global은 인도가 일본,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 경제 대국으로 도약할 것이라 분석했습니다.
리스크 요인
- 환율 리스크: 인도 루피화 약세 시 원화 기준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음.
- 정책 불확실성: 신흥국 특성상 정부의 규제 변화나 정책 리스크에 따라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
- 섹터 편중 리스크: 금융·IT 업종 비중이 높아 특정 업종의 부진 시 ETF 전반에 영향.
코멘트
TIGER 인도니프티50 ETF는 인도의 구조적 성장 모멘텀과 글로벌 경제 재편 흐름 속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대표 신흥국 ETF입니다.
다만, 고성장 국가 특유의 정책 리스크와 변동성, 환율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므로, 단기보다는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최근 조정 국면은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진입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일부 글로벌 투자기관들은 2025년 인도 주식시장 수익률을 10%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성장을 믿고 분산 투자 전략을 실행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인도 인덱스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