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나이 변경 법령상, 제도상 기준 싹다 정리 종결!

청년은 몇살일까요?

청년의 기준은 청년기본법상, 그리고 제도상 기준이 약간 다른데요.
오늘은 청년 나이 기준을 핵심 정리해보겠습니다.

청년 나이 기준
청년 나이 기준 34세 39세 법령상 청년과 제도별, 지자체별 나이 정리

 1. 「청년기본법」 기준 (가장 일반적)

  • 법령명: 청년기본법 제3조(정의)
  • 청년의 정의:
    👉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사람
  • 해당 연령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 수립 및 시행 시 적용되는 기본 연령 기준입니다.

📌 주의: ‘만 나이’ 기준입니다.


2. 고용 및 취업 제도별 청년 기준

제도명 청년 기준 설명
청년내일채움공제 만 15세 ~ 34세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만 15세 ~ 34세 중소기업 취업자 대상
청년추가고용장려금 만 15세 ~ 34세 기업에 인센티브 지급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만 19세 ~ 34세 (또는 만 18세부터 가능) 소득요건도 함께 고려됨

✅ 대부분의 청년고용·금융 정책은 34세 이하를 상한선으로 둡니다.

 3. 지자체별 청년 기준 (지방정부 재량)

지자체에 따라 청년 연령 기준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 서울특별시: 만 19세 ~ 39세 (청년수당 등 일부 사업)
  • 경기도: 만 18세 ~ 34세
  • 부산시: 만 18세 ~ 34세

📌 따라서 거주지에 따라 적용되는 청년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4. 통계청 기준 (청년층 고용 통계 등)

  • 만 15세 ~ 29세: 청년층(Youth)
    👉 통계 분석용 연령 구분이며, 공식 정책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음.

정리: 청년 기준 비교표

기준/제도 연령 범위 비고
청년기본법 만 19세 ~ 34세 국가청년정책의 기본 기준
고용·금융 정책 만 15세 ~ 34세 청년 채용, 금융지원, 창업 등
일부 지자체 정책 최대 만 39세까지도 허용 청년수당 등 지자체 사업
통계청(청년층) 만 15세 ~ 29세 고용·실업 통계 분석용

결론

  • **법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청년의 기준은 만 19세 ~ 34세 (청년기본법 기준)**입니다.
  • 하지만 청년정책의 목적과 제도에 따라 15세~39세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어떤 제도에서 청년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만나이란? >> 뜻, 계산기 바로가기 

청년이라면 알아야할 정부 혜택>> 바로가기 

청년기본법 팩트 체크 >>법령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