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장 버티는 ETF 조합

하락장 주식시장이 하락하게 되면 투자자들의 심리적 압박이 생기고

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마련이죠.

이번엔 주가가 하락할 때 자산을 지키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투자자산과 관련 ETF 종류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하락장

채권

경기순환 사이클에서 경기침체 하락장 에 접어들게 되면 많은 투자자들은 채권 투자에 관심을 갖습니다.

채권은 일반적으로 주식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인데요.

시장 전체가 하락하는 시기에는 국채나 BBB등급 이상(투자 등급)의 회사채에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종류

대표적인 채권 ETF로는 단기채 SHY, 중기채 IEF , 장기채 TLT가 있습니다.

모두 미국 국채에 투자합니다.

이 외에도 투자 등급의 회사채 투자가 가능한 LDQ가 있는데

구성 종목이 2,823개로 LDQ를 1주만 매수해도 미국 내 BBB등급(=투자적격) 이상의 회사채 2,823개에 분산 투자하는 셈입니다.

경기방어주

경기가 불확실한 시기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꾸준히 소비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생활필수품과 건강,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헬스케어

전기, 가스와 같은 유틸리티 섹터가 경기 방어주로 분류됩니다.

ETF 종류

프로터 앤드 갬블, 코카콜라, 월마트와 같은 필수 소비재 기업들에 투자하는 XLP와 VDC,

제약회사, 의료기기, 헬스케어와 관련된 산업에 투자하는 XLV,

에너지 서비스와 관련된 유틸리티 섹터 XLU.

고배당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고배당 주식이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도 꾸준하게 배당금을 지급해 줍니다.

고배당 주식은 성장주보다 리스크가 낮아 특히 시장의 불안감이 높고 시장의 하락 또는 정체기에

좋은 투자 성과를 보여줍니다.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고 배당금이 증가하는 기업은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해 주기도 합니다.

ETF종류

한때 서학개미 매수 1위로 인기 최고였던 고배당 SCHD.

배당 수익률이 높은 대형 우량주 위주로 구성된 VYM

S&P500지수에 포함된 종목 중 금융, 부동산 섹터에 주로 투자하는 SPYD가 있습니다.

인버스

인버스는 투자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얻게 되는 투자 방법입니다.

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단기투자로 활용하기 좋은데요.

인버스는 기초자산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선물, 옵션, 스왑 등의 거래를 활용하게 됩니다.

파생상품은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거래 비용과 재조정 등 운용 보수가 높습니다.

예시

S&P500지수를 역추격하는 SH

NASDAQ100지수와 반대로 운직이는 PSQ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역방향을 추적하는 DOG

좀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한 레버리지 인버스 ETF도 있습니다.

S&P500지수의 3배 역방향을 추적하는 SPXU

나스닥100지수 3배 인버스 SQQQ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러셀2000 3배 인버스 TZA 입니다.

정리

하락장에서 투자를 고려해 볼만한 투자자산과 관련 ETF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채권, 경기방어주, 고배당, 인버스

채권과 고배당 ETF의 경우 경기 하락 국면이 아니어도 분산투자를 위해 일정 비율로 가져가는게 리스크 관리에 좋습니다.

인버스는 하락이 예상될 때 단기투자로 접근해야 하며,

장기투자시 추적 오차가 누적돼 실제 수익과 기대 수익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움되는 글

ETF 단점은 무엇일까?

트럼프2기 주식시장, 달러 오를까? ;경기전망

주식과 채권etf 특징비교

경기침체 시그널

코스피(KOSPI) ETF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코스피(KOSPI) ETF 국내 대표지수인 코스피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추적하는 상장지수펀드를 의미합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수는 주권으로 929개, 기업으로 816개입니다.

[참고로,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은 1,654개]

코스피지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관련 ETF 종류와 특징들을 비교해 가며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ETF

코스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된 종목을 산출한 지수로 국내 경제지표 중 하나로 활용됩니다.

구성 종목을 살펴보면 (시총이 큰 순서)

  • 삼성전자 (시총 3,199,803억 원)
  • SK하이닉스 (1,156,068억 원)
  • LG에너지솔루션 (916,110억 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691,100억 원)
  • 현대차 (452,339억 원)
  • 셀트리온 (400,727억 원)
  • KB금융 (379.361억 원)
  • 삼성전자우 (375,236억 원)
  • 기아 (374,608억 원)
  • NAVER (322,419억 원)

코스피(KOSPI) ETF

KODEX코스피

24.12.2.기준KODEX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15.8.24.
순자산3,710억 원
수수료0.1729%
현재가-25,195원
  • 특징

운용 규모가 가장 크며,

투자 종목 수 742개로 코스피에 상장된 다수의 종목에 투자합니다.

규모로 봤을 때 대형주에 83%, 중형주 10.7% 소형주에 약 1.6%의 투자 비율을 보여줍니다.

KODEX코스피 TR

KODEX코스피TR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07.21.
순자산275억 원
수수료0.1151%
현재가12,270원
  • 특징

앞서본 삼성자산운용의 코스피 (TR) 상품입니다. 토탈리턴(Total Return)은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코덱스 코스피의 연간 분배율은 2.38%인데 해당 ETF는 분배금을 재투자하게 됩니다.

복리 투자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비교해보면 수익률은 오히려 TR이 뒤처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TIGER코스피

TIGER코스피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17.08.31.
순자산1,310억 원
수수료0.1832%
현재가25,400원
  • 특징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국내 ETF 시장을 선도하는 자산운용사입니다.

특히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데요.

국내 상장 ETF의 운용 규모를 보면 상위 1~2위를 다투는게 TIGER와 KODEX입니다.

TIGER코스피의 구성종목은 총 810개로 코스피 상장된 모든 종목에 투자합니다.

여기서 소개한 etf 중 가장 많은 종목에 투자하며,

소형주 비중도 1.76%로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합니다.

ACE코스피

ACE코스피
운용사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18.10.05.
순자산64억 원
수수료0.0898%
현재가25,445원
  • 특징

아주 낮은 수수료율(0.0898%)이 장점입니다.

18년도에 상장해 운용 기간이 7년 차에 접어들었는데도 순자산총액 64억 원으로 솔직히 투자하기에 망설여지는 규모입니다.

국내상장 ETF는 상장폐지 관리대상 기준을 50억 미만으로 보기 때문에

ACE코스피ETF의 순자산총액은 64억으로 상장폐지와 유동성확보의 불안감이 있습니다.

TIMEFOLIO 코스피액티브

TIMEFOLIO코스피액티브
운용사타임폴리오자산운용
상장일21.05.25.
순자산393억 원
수수료1.1599%
현재가8,750원
  • 특징

코스피ETF 액티브형입니다.

액티브형은 전문가(펀드매니저)가 시장의 흐름에 적극 대응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시장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지만 높은 수수료율과 전문가의 역량이 펀드 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 됩니다.

투자 종목 수 31개로 가장 적으며, 대형주의 비중이 94%를 차지합니다.

수익률을 비교해봐도 4%이상의 초과 수익, 2% 정도의 초과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PLUS코스피

PLUS코스피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15.9.23.
순자산63억 원
수수료0.2562%
현재가25,380원
  • 특징

PLUS코스피의 구성종목은 총 756개입니다.

상위 10개 비중이 42.2%로 앞서본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액티브 etf를 제외하면

약간의 투자 비중 차이만 있을뿐 동일한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습니다.

PLUS코스피 TR

PLUS코스피TR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19.06.25.
순자산1,398억 원
수수료0.2039%
현재가13,330
  • 특징

한화자산운용에도 삼성자산운용과 마찬가지로 코스피와 코스피TR이 있습니다.

PLUS코스피의 연간 배당률은 2.36%이고, 최근 10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습니다.

TR의 경우 이걸 그대로 재투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전체 기간에 걸쳐 TR상품이 하락방어(0.79% 차이), 약간의 높은 수익률(0.38%)을 나타냈습니다.

RISE코스피

RISE코스피
운용사KB자산운용
상장일18.07.24.
순자산1,022억 원
수수료0.1746%
현재가13,330원
  • 특징

운용규모, 수수료, 투자 종목 등 그냥 적정한 수준입니다.

KB자산운용은 기존 ETF브랜드명이었던 KBSTAR에서 리뉴얼을 통해 RISE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a

코스닥150 ETF 어떤게 좋을까?

미국시장 이해하기: 대표지수 핵심

ETF 비교 A vs B

코스피200 ETF 비교

반도체 SOXX vs SMH

SPY vs VOO vs IVV vs SPLG

금ETF 5개 GLD, GLDM etc

코스피(KOSPI) ,코스피200 ETF의 차이점은?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정의와 차이점,

대표할만한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뜻합니다. 코스피 또는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불립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총 839개입니다.

코스피200

코스피200 : Korea Stock Price Index 200

코스피200지수는 해당 지수 옵션거래를 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지수입니다.

코스피에 포함된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200개 선정한 것입니다.

종목의 업종 대표성, 유동성 등의 기준을 반영해 한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볼 수 있습니다.

차이점

코스피(KOSPI) 지수에 포함된 종목 중 시총, 유동성 등을 고려해 산출된 지수가

코스피200지수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비교 시점의 시총/ 기준 시점 시총 × 100)

코스피200지수는 한국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수에 편성된 종목은 대형 우량주가 약 90%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대표ETF

코스피(KOSPI)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8개, 코스피200 지수 추종 ETF는 44개입니다.

코스피 ETF는 투자 종목 수 약 720여인 반면, 코스피200 ETF는 200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각각의 종류를 살펴보고 수익률 체크도 해보겠습니다.

코스피ETF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25.3.10.KODEX코스피TIGER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5.8.24.2017.8.31.
순자산총액4,594억 원1,751억 원
수수료0.1690%0.1790%
연 배당률2.26%1.96%
투자종목수744개820개

코스피200ETF

  • 삼성자산운용, 미셋자산운용
24.11.29.KODEX200TIGER200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02.10.14.2008.4.3.
순자산총액586,610억 원20.930억 원
수수료0.1931%0.0923%
연 배당률2.40%2.53%
투자종목수201개201개

성과 비교

최근 성과를 비교해보면,

25.3.10.기준코스피ETF코스피200ETF
1개월2.16%2.08%
6개월3.05%1.33%
YTD7.33%7.12%
1년-1.95%-4.03%
3년0.57%0.64%

전반적으로 코스피ETF의 수익률 하락 방어도 잘하고, 수익률도 더 괜찮았습니다.

예상대로라면 국내 대형 우량주 위주의 코스피200ETF가 수익률이 좋을 것 같지만,

700여개가 넘는 종목에 분산투자 하는 효과 덕분인지 코스피ETF가 더 안정적으로 보여집니다.

괴리율은 -0.05% ~ -0.09%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정리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의미와 차이점, 관련 ETF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코스피는 839개 종목, 코스피200은 그 중 시가총액 규모, 거래량, 업종의 대표성 등을 고려해 편입된 200개 종목 지수입니다.

한국시장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는 건 KOSPI200지수 입니다.

대형주를 포함 중형주, 가치주 등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하고 싶다면 KODEX코스피, TIGER코스피를 선택하고,

업종의 대표 기업들을 포함 우량주 중심으로 선별된 20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싶다면

KODEX200, TIGER200이 좋은 선택지가 됩니다.

참고

코스피200 KODEX vs TIGER 비교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종목 확인

ISA계좌로 뭘 사야 좋을까?

코스닥150 ETF 종류 : KODEX TIGER RISE

코스닥15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KODEX 코스닥15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2015.10.1.
  • 순자산총액: 10,785억 원
  • 수수료: 0.3381%
  • 현재가: 11,665원

KOSDAQ150지수를 추종하며, 150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구성종목

코스닥150 구성종목

2%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은 : 알테오젠 11.23%

HLB 7.85%

에코프로 6.84%

에코프로비엠 5.52%

리가켐바이오 2.24%

KOSDAQ150ETF는 코스닥150종목에 같은 비중으로 투자됩니다. (오차범위 0.1%이내)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대형주가 85.91%, 중형주에 13.07% 투자합니다.

섹터별로 살펴보면

헬스케어 41.5%, IT 19.92%, 산업재 18.12%, 통신서비스 9.5%, 소재 4.97%, 경기소비재 2.36%, 필수소비재 1.94%, 금융0.86%입니다.

TIGER 코스닥150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2015. 11. 12.
  • 순자산총액: 1,078억 원
  • 수수료: 0.2769%
  • 현재가: 11,970원

RISE코스닥150

  • 운용사: KB자산운용
  • 상장일: 2017. 6.16.
  • 순자산: 1,038억 원
  • 수수료: 0.2441%
  • 현재가: 11,600원

비교표

  • 수수료
수수료
KODEX0.3381%
TIGER0.2769%
RISE0.2441%
  • 분배금
연간배당률배당내역
KODEX0.17%20원
TIGER0.32%38원
RISE0.09%10원
  • 수익률
24.11.28.기준1년3년
KODEX-8.95%-7.11%
TIGER-9.13%-7.02%
RISE-8.98%-7.30%
  • 거래량
거래량
KODEX924만주
TIGER28만주
RISE10만주

참고

코스피200ETF 삼성vs미래에셋

금투세 폐지 수순: 발표자료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 밸류업지수

밸류업지수 100종목

코스피 코스닥 뜻과 특징 알아봅니다. (KOSPI, KOSDAQ)

코스피 코스닥 모두 국내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입니다.

한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인 KOSPI와 KOSDAQ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코스피

코스피

KOSPI (Korea Composite Price Index)는 국내 대표 주식시장이며 유가증권시장으로 불립니다.

한국거래소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시장으로 전자, 서비스, 금융 등 대형 우량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중대형주로 구성된 이유는 상장 조건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코스피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기업규모, 상장 주식수 요건을 갖춰야하고 주식수의 분산요건 중 한가지를 충족해야합니다.

기업규모자기자본 300억 원 이상
상장주식수100만주 이상
  • 분산요건
주식수1.일반주주소유비율 25%이상 또는 500만주 이상
2. 공모주식수 25%이상 또는 500만주 이상
3. 자기자본 500억 이상 법인은 10%이상 공모하고 자기자본에 따라 일정규모이상 주식 발행.
4. 국내외동시공모법인은 공모주식수 10%이상 & 국내공모주식수100만주 이상
주주수일반주주 700명 이상
양도제한발행주권에 대한 양도제한이 없을

>>주식 상장의 개념, 요건 상세보기

▷코스피 특징

코스피
기업 특성대형 및 중견기업 중심
상대적 변동성낮음
상장 종목 수 약 930개
대표 지수 코스피200

▷코스피200

코스피 상위 200개 기업으로 구성된 대표 지수로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 기준 지표로 활용됩니다.

코스피200의 대표 ETF로 KODEX 코스피200, TIGER 코스피200등이 있습니다.

코스닥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은 미국 대표지수 나스닥(Nasdaq)지수를 벤치마킹해 만들었으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종목들의 종합지수입니다.

코스닥은 성장성을 기반으로 기업을 평가하며, 코스피보다 상장 조건이 덜 까다롭습니다.

정보, 바이오, 문화기술 과 같은 기술 기업과 벤처기업이 상장되어있어 중소형 벤처기업중심의 시장입니다.

▷코스닥150

코스닥 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및 유동성이 높은 150개 종목으로 구성됩니다.
미국 나스닥100과 유사한 성격으로 대표 ETF는 KODEX 코스닥150, TIGER 코스닥150 등이 있습니다.

차이점

  •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은 중대형 기업위주, 코스닥은 중소,벤처기업이 주를 이룹니다.
  • 코스피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3년이상 영업실적과 자기자본 300억 이상 100만주 이상 상장 등 요건이 필요하고,
  • 코스닥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 보유하거나 자기자본 250억원 이상 요건을 갖춰야 합니다.
  •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코스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코스닥: 에코프로비엠, JYP Ent등이 있습니다.

관련 내용

ETF 종류 핵심 정리 (지수형, 섹터형, 채권형, 배당형, 원자재형)

ETF 종류 어떤게 있을까요?

낮은 비용으로 쉽게 분산투자 할수 있는 최고의 장점을 가진게 ETF입니다.

투자자가 개별 종목을 분석할 필요도 없으며

ETF의 몇가지 특징과 투자 전략에 맞는 종류만 알아도 간단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유형별 ETF의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인덱스[지수형]

지수형=인덱스 ETF입니다. 미국의 S&P500, DOWJONES, 한국의 KOSPI 와 같은 대표 지수를 추종합니다.

티커기초지수ETF이름
SPYS&P500SPDR S&P500
QQQNASDAQ100Invesco QQQ
DIADOWJONESSPDR Dowjones Industrial Average
종목기초지수종목코드
KODEX200KOSPI200069500
TIGER코스닥150KOSDAQ150232080
ACE코스피KOSPI305050

지수에 포함된 모든 종목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이나 동일비중 방식으로 투자 전략에 따라 비중을 두어 투자합니다.

국내상장, 미국상장 ETF를 운용 규모 순서로 나열하면 상위 3위 안에 들어가는게 모두 인덱스ETF입니다.

대표지수의 흐름을 그대로 추적하기때문에 미국 또는 국내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섹터형

산업군별로 모아놓은게 섹터형etf입니다.

섹터는 크게 11개정도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IT, 금융,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경기소비재, 에너지, 유틸리티, 통신서비스 등

각각의 산업군을 대표하는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섹터ETF
ITXLK
SMH
ARKK
SOXX
금융XLF
KRE
CONY
에너지XLE
ICLN
산업재XLI
JETS
필수소비재XLP
VDC
FSTA
경기소비재XLY

채권형

국공채, 회사채 등 다양한 채권에 분산투자하는 ETF입니다.

단기, 중기, 장기채권 과 같이 기간에 따라 발행처에 따라 분류해놓은 다양한 채권etf가 있습니다.

개인이 채권에 투자하는건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에 채권형 ETF를 활용해 소액으로 얼마든지 투자가 가능합니다.

  • 국공채
기간ETF
초단기채(1~3개월)BIL
단기채(1~3년)SHY
중기채(7~10년)IEF
장기채(20년+)TLT

단기 vs 중기 vs 장기 채권 차이점 핵심정리 >>바로가기

주식ETF vs 채권ETF 비교 분석>> 바로가기

배당형

고배당, 배당성장률에 초점을 맞춘 ETF입니다.

분기배당, 월배당 상품으로 설정한 기간에따라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징ETF 티커
고배당[배당성장]SCHD
VIG
월배당TLT
LQD
주배당YMAX
QDTE
커버드콜JEPI
JEPQ

배당ETF에는 채권형이면서 월배당을 지급하는 TLT,

커버드콜 전략으로 연 7%이상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JEPI,

오랜기간 배당을 늘려온 기업으로 구성된 SCHD 등 다양하고 세부적인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원자재형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로 구리, 천연가스, 원유, 탄소배출권 등입니다.

대표적으로 금,은etf가 있습니다.

금은 제한된 자원으로 시간이 지날 수록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실물 금을 구매하는 방식의 투자도 가능하지만, 보관의 불편함과 매입시 가공비 부가세가 포함되어

비용이 많이 들게됩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할수 있는게 원자재형ETF입니다.

금 현물에 투자하는 ETF중에 GLDM은 0.1%의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됩니다.

운용규모도 크고 유동성도 풍부하기 때문에 거래의 안정성은 충분히 확보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금&은 ETF
투자 대상티커
GLD
GLDM
SIVR
원유USO
천연가스UNG

정리

ETF 종류 ; 인덱스형, 섹터형, 채권형, 배당형, 원자재형

이렇게 5가지 종류를 살펴봤습니다.

이 외에도 좀더 세부적으로 테마형, 파킹형, 멀티에셋형 등이 있습니다.

ETF 투자 전 종류를 살펴보고 투자 자산을 배분하며 투자 전략을 짜보세요.

ETF 종류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상환의 예시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상환 이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리금균등

원리금이란?

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입니다.

원리금균등상환이란 정해진 만기일까지 매월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는 방식입니다.

원리금균등

원리금균등 예시

1억/10년/3.5%기준원 금이 자
1회차697,192291,667
2회차699,225298,633
3회차701,265287,594

매월 같은 금액 988,859원을 상환하며,

회차가 지날수록 원금을 더 많이 갚는 구조입니다.

원금균등

원금균등

이름 그대로 원금을 균등하게 갚는 구조입니다.

원금은 동일하지만 매월 상환액은 다릅니다.

원금균등 예시

1억을 이자 3.5%로 10년 빌렸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1억 ÷ 10년 = 833,333원

매달 원금 833,333원과 남은 원금의 3.5%이자를 합칩니다.

  • 1회차 833,333 + [1억의 3.5% ÷ 12개월 = 약 29만원] = 1,124,999원
  • 2회차 833,333 + [ 남은 원금의 3.5% ÷ 12개월 = 289,236원] = 1,122,569원

이자는 원금에 대해 붙기때문에 월납부 금액은 조금씩 줄어드는게 특징입니다.

만기일시상환

설정한 만기에 일시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위 조건과 같다고 생각했을때,

만기일에 1억 + 이자 3천5백만원 = 총 1억3천5백을 한번에 납부합니다.

혹은 원금만 만기일에 일시납하고 매월 이자만 내는 형식도 있습니다.

정리

매월 현금흐름을 정확히 파악해 관리할 수 있는건 원리금균등방식,

만기까지 가장 적은 이자를 부담하는건 원금균등방식입니다.

참고로 이자는 가장 적게 부담하지만, 초기에 내야하는 액수가 큽니다.

줍줍경제

가치투자 필수 지표 >>바로가기

나에게 맞는 ETF는? 주식형 vs 채권형

투자 고수들이 인덱스etf를 추천하는 이유

인덱스펀드

S&P500ETF 비교 정리- 미국상장편-

S&P500ETF 비교 정리 -국내상장편-

나스닥100ETF 비교 -미국상장-

나스닥100ETF 비교 -국내상장-

금ETF 5가지 무엇을 선택할까? GLD IAU GLDM SGOL IAUM

금ETF 운용규모가 가장 큰 순서대로 5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환율은 1,350원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금ETF 종류

GLD

SPDR StateStreet의 GLD(SPDPR Gold Shares)는 순자산총액 $76,054.1M입니다.

원화로 102조 6,730억 원의 규모입니다. 국내 상장 ETF와는 비교도 안되는 엄청난 규모입니다.

금 현물을 기초자산으로 갖는 GLD의 가장 큰 장점은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입니다.

  • 상장일 2004.11.18.
  • 수수료 0.4%

IAU

IAU(iShares Gold Trust) 아이셰어즈에서 운용합니다.

순자산 $34,011M 원화로 약 45조9,148억 원입니다.

  • 상장일 2005.1.21.
  • 수수료 0.25%

IAU는 GLD의 대체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자주 비교되는 이유는

  • GLD와 같은 기초지수를 추종
  • 운용규모와 유동성이 풍부함
  • GLD보다 낮은 비용 비율
  • 낮은 1주당 가격 [GLD $249.8 / IAU $51.08]

수수료 차이가 크진 않지만

장기투자 시 IAU의 수익률이 GLD보다 앞서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GLDM

GLD의 미니 버전입니다.

StateStreet에서 운용하며, 총시가 $9,283.9M 약 12조 5,332억 원 규모입니다.

  • 상장일 2018.6.25.
  • 수수료 0.1%

GLDM은 금 ETF 중에서 운용 규모 3위로 적당한 규모와 유동성을 갖고 있습니다.

수수료가 0.1%, 1주당 가격이 $53.62로 분할 매수하기에 부담 없는 가격과 낮은 수수료가 매력적입니다.

SGOL

SGOL(abrdn Physical Gold Shares)은 Aberdeen Standard Investments라는 운용사의 상품입니다.

좀 생소하지만 글로벌 투자 회사로 대표적인 ETF로 SIVR이 있습니다.

SIVR에 대해서 지난번 정리해 놓은 게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은투자 SIVR 바로가기

  • 상장일 2009.9.9.
  • 수수료 0.17%

가장 큰 특징은 스위스의 금고에 금을 보관한다는 것입니다.

연간 2번의 감사를 실시하고, 금괴에 일련번호를 게시해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런 서비스는 투자자들에게 안도감과 신뢰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다른 ETF가 금 현물 투자 시 금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유동성이 가장 좋다고 하긴 어렵지만 심리적 안정감을 원하는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SGOL를 고려해볼만 합니다.

1주당 가격이 $25 수준으로, 소액으로 투자 가능하고 낮은 수수료율로 장기투자 전략에도 잘 맞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IAUM

IAU의 미니버전입니다.

iShares에서 운용하며 앞서본 ETF들 보다 유동성은 떨어지지만,

가장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됩니다.

순자산 $1,412.8M (원화 약 1조 9천억 원)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지만

5개 모두 금 현물에 투자하는 대형 금ETF 입니다.

  • 상장일 2021.6.15.
  • 수수료 0.09%

비교표

GLDIAU
순자산총액$76,054.1M$34,011M
상장일04.11.18.05.1.21.
수수료0.4%0.25%
현재가$249.84$51.08
GLDMSGOLIAUM
$9,283.9M$3,857.2M$1,412.8M
18.6.25.09.9.9.21.6.15.
0.1%0.17%0.09%
$53.62$25.84$27

정리

유동성이 가장 풍부한건 GLD, 가장 낮은 수수료율은 IAUM입니다.

운용 규모, 수수료, 운용 기간 등 모든 면에서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느껴지는 건 GLDM입니다.

무조건 운용 규모가 크고 수수료가 낮다고 좋은 건 아닙니다.

투자 목표에 따라 접근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Q.투자 기간이 1년 이내 단기 투자 목적이라면?

A.유동성이 가장 풍부한 GLD가 가장 좋은 선택지가 됩니다.

    GLD의 $249.84 1주 당 가격이 부담된다면 IAU가 차선책이 됩니다.

    Q.투자 목표가 3년 이상 장기 투자를 하겠다면?

    A. GLDM 또는SGOL이 괜찮습니다.

    IAUM은 수수료율이 가장 낮고, 1주당 가격도 $27로 부담 없지만 운용 기간이 이제 4년 차로 다소 짧게 느껴지네요.

    Q. 이 외에 아주 소액으로 조금씩 모아가고 싶거나, 스위스 금고에 금괴를 보관, 철저하게 심리적 안정감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A. SGOL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수수료와 수익률의 관계

    금ETF

    장기 투자 시 수수료의 차이가 얼마나 큰 수익률의 차이를 만들까요?

    수수료 0.4% GLD와 0.09% IAUM의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올해 들어 GLD는 30.69%, IAUM 31.07%.

    3년 투자시 GLD 13.98% IAUM 14.36%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수수료율은 상시 변동 할 수 있으며, 수익률 역시 참고만하세요]

    금 투자법

    금 투자 방법 4가지 정리

    금 3배 레버리지 ETN

    한정된 자원 금 또는 비트코인 : 가상화폐 BITX

    트럼프 2기; 섣부른 시장 전망 금지

    미국 시장 이해하기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집중투자 ETF를 알아보자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비트코인 개발회사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 판매합니다.

    비트코인 최다 보유 기업으로 유명한 마이크로스트레티지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1989년 설립 당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소프트웨어 회사로 시작하였습니다.

    AI 인사이트, 모바일 앱 통합, 기업용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플랫폼 등 소프트웨어를 개발 제공하는 회사이지만

    최근 인지도가 상승한 이유는 비트코인 투자때문입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

    비트코인 빚투로 하루 7천억을 벌어들인

    미국에서 가장 수익성 좋은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하루에 5억원을 번 셈이니 회사 주가도 덩달아 급등했습니다.

    MSTU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일일 성과 2배를 추구하는 레버지리ETF입니다.

    24.11.24. 기준MSTU
    운용사Tuttle Capital Management
    상장일2024. 9. 17.
    순자산총액$2,883.1M
    수수료1.05%
    레버리지2배
    현재가$209.20

    BITQ

    Bitwise Crypto Innovators 30지수를 추종합니다.

    암호화폐 채굴, 채굴장비 공급,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등의 회사에 투자합니다.

    BITQ
    운용사Exchange Traded Concepts
    상장일2021. 4. 27.
    순자산총액$213.1M
    수수료0.85%
    구성종목수35종목
    현재가$20.74

    마이크로스트레티지에 18.89% 높은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 MSTR(마이크로스트레티지) 18.89%
    • COIN(코인베이스) 10.89%
    • MARA (마라홀딩스) 9.83%
    • CORZ(코어사이언티픽) 4.61%
    • WULF(테라울프)4.59%

    STCE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기타 디지털 개발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합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에 14.24% 가장 큰 비중으로 투자하며 24.11.19.기준일 자금유입이 $5.2M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원화로 하루사이 약 7백 억 이상 자금 유입)

    STCE
    운용사Schwab ETFs
    상장일2022. 8. 3.
    순자산총액$83.44M
    수수료0.3%
    구성종목수40종목
    현재가$52.38
    • MSTR(마이크로스트레티지) 14.24%
    • COIN(코인베이스) 7.25%
    • CIFR(사이퍼마이닝) 7.14%
    • HUT(헛) 6.64%
    • IREN(아이리스에너지) 5.98%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국내상장 ETF중 유일하게 마이크로스트레티에 10%이상 높은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독특한 점은 나스닥100지수를 비교지수로하여 초과성과를 노리는 액티브 펀드라는 점입니다.

    나스닥100ETF와 가상화폐관련 기업에 분산투자 할수 있고, 연금계좌를 활용해 투자할 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운용사타임폴리오자산운용
    상장일2022. 5. 11.
    순자산총액1,353억 원
    수수료1.2511%
    구성종목수34종목
    현재가25,390원
    • MSTR(마이크로스트레티지) 13.52%
    • TSLA(테슬라) 12.43%
    • NVDA(엔비디아) 7.93%
    • NASDAQ100 3-MINI INDEX 5.58%
    • COIN(코인베이스) 5.25%

    이 외에도 넷플릭스, tsmc, 알파벳a, 일라이릴리, 애플 등 이 포함됩니다.

    해당 펀드는 액티브 투자전략으로 펀드매니저가 초과 성과를 얻기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액티브, 패시브 전략에 대해 보고 오시면 좀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액티브 전략 vs 패시브 전략 비교

    DAPP

    MVIS글로벌디지털자산 주사 지수를 기초지수로하며

    총 자산의 80%이상을 디지털 관련 혁신회사에 투자합니다.

    DAPP
    운용사VanEck
    상장일2021. 4. 12.
    순자산총액$201M
    수수료0.51%
    구성종목수22종목
    현재가$18.47
    • MSTR(마이크로스트레티지) 12.64%
    • COIN(코인베이스) 8.83%
    • SQ(블록) 6.87%
    • CORA(코어사이언티픽) 6.21%
    • HUT(헛) 5.87%

    성과 비교

    마이크로스트레티지에 집중 투자하는 ETF를 살펴봤습니다.

    그 중 국내상장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는 투자 전략이 다르기때문에 제외하고

    미국상장 4가지의 성과를 비교해보겠습니다.

    MSTUBITQSTCEDAPP
    레버리지2배1배1배1배
    수수료1.05%0.85%0.3%0.51%
    MSTR비중80%188%14.2%12.6%
    수익률1M229.6%31.27%29.37%32.59%
    연간배당률0.84%0.21%

    관련 글

    비트코인 2배 레버리지ETF 어때?

    트럼프 2기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

    미국 경제 앞으로의 방향을 알아보자

    가상화폐만큼 희소한 금 투자

    레버리지 활용 전략: 2배 SSO 3배 UPRO ETF

    레버리지 etf는 기초가되는 지수나 주식 등의 변동률을 2배, 3배로 확대해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SSO

    SSO [2X]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6. 6. 19.
    순자산총액$5,573M
    수수료0.89%
    현재가$94.34

    시가총액 $5,573M은 원화로 약 7초6천억 원입니다.

    보통 시가총액은 M, B로 표기되어있습니다.

    간단하게 원화로 환산하는 방법을 먼저 보고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 환율 계산법 click!

    투자 전략

    SSO는 ProShares Ultra S&P500 ETF의 약자입니다.

    S&P500지수의 일일 성과 2배를 추구하는 레버리지 투자전략입니다.

    특징

    미국 대표지수 S&P500를 추종하여 미국 전체 시장의 성과와 연계됩니다.

    해당지수를 추종하는 SPY는 장기투자를 권장하지만,

    시장의 상승을 확신하더라도 레버리지는 장기보단 단기투자에 적합합니다.

    UPRO

    UPRO [3X]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9. 6. 23.
    순자산총액$4,245.5M
    수수료0.91%
    현재가$91.70

    투자전략

    UPRO는 ProShares UltraPro S&P500 ETF의 약자입니다.

    S&P500지수의 일일 성과 3배를 추구하는 공격적인 투자상품입니다.

    앞서본 2배 레버리지는 Ultra, 3배는 UltraPro로 표기되며 이외에 몇가지 표현들이 더 있습니다.

    ETF이름에 대해 정리한 내용르 보고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바로가기>> 이름만봐도 알수있는 ETF 투자전략

    특징

    3배 레버리지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변동성,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데이 트레이딩이나 초단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S&P500지수가 1%하락하면 UPRO는 3%하락하게되는데,

    만약 1%하락하면 3%손해가 발생할 수 있고 손실 구간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더 큰 상승을 해야 합니다.

    레버리지

    성과

    SSOUPRO
    1개월1.27%1.54%
    3개월9.72%13.6%
    1년62.19%96.76%
    3년10.3%8.35%

    레버리지는 단기 투자용 이라고 했지만, 그간 수익률을 보면

    SSO 1년 장기 투자로 62%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spy 1년 수익률 32.72%)

    이건 상승장에서 가능한 일이고,

    3년 수익률을 보면 3배 레버리지 UPRO의 수익률이 SSO보다 더 낮습니다.

    하락을 겪었다면 주가가 크게 올라줘야 회복가능하단 이야기입니다.

    동일 기간 SPY는 9.58%의 수익률로 UPRO보다 더 높은 수익이 났습니다.

    핵심은 수익률보다 투자하는 기간동안 내가 견딜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주가 전망

    S&P500ETF를 대표하는 SPY를 참고해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목표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는

    현재가 $590.3에서 22.24%나 높은 $721.58입니다.

    • 최저목표가 $462.94~ 최고 $965.24

    미국시장이 앞으로도 확장 상승할 것이란거죠.

    지난 7월 SPY의 최저 목표가는 $487.96 최고목표가는 $707.9인걸 감안하면

    미국시장을 긍정적으로 보고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SPY의 주가 전망은 아주 좋지만 이걸 바탕으로 SSO와 UPRO에 투자하면 안되겠죠.

    레버리지 전망

    SSO와 UPRO는 tiprank의 기술 분석 결과 모두 중립적인 모습입니다.

    장기적으로 지수는 오를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이동평균 지표등을 참고했을때 단기적으로 명확한 방향을 예상하기 힘든것이죠.

    정리

    SSO와 UPRO는 기초 자산의 수익률을 일정 배율로 추종하도록 설계되어있어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ETF입니다.

    레버리지ETF를 장기간 보유한다면 복리효과로 더큰 손실, 회복이 힘들 수 있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며 단기투자로 접근하고 손절매 구간을 설정하는 전략을 미리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투자자의 성향에 맞게 선택하고,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투자금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ETF 투자 가이드

    비교 선택

    활용

    RSP 동일비중 vs 시총가중 SPY 어떤 ETF가 유리할까?

    RSP 와 SPY는 S&P500지수의 500개 종목에 투자하는 인덱스펀드입니다.

    둘의 차이점은 종목의 투자 비율이 다르다는 것인데요.

    동일한 비율로 투자하는 RSP와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SPY를 비교해보겠습니다.

    RSP SPY 개요 및 기본정보

    RSP vs SPY
    24.11.기준RSPSPY
    운용사InvescoSPDR State Street
    순자산$71,078M$621,912M
    수수료0.2%0.0945%
    현재가$181.67$588.15

    RSPetf는 인베스코가 운용하며 2003년 4월 상장했습니다.

    순자산총액 약 98조원으로 해외주식형ETF중에서 21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서학개미 매수1위였던 고배당SCHD보다 더 큰 수치.)

    구성종목 투자비중

    RSP는 S&P500지수에 포함된 500여개 기업에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그나마 가장 큰 비중으로 투자하는 종목이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스 홀딩스(UAL) 0.35%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SPY의 1순위 종목 엔비디아(NVDA) 7.17%D와는 대조적이죠.

    R S PS P Y
    UAL 0.35%NVDA 7.17%
    PLTR 0.32%AAPL 6.89%
    VST 0.31%MSFT 6.3%
    AXON 0.3%AMZN 3.92%
    GEV 0.28%META 2.5%

    동일비중 특징

    동일비중 가중방식은 특정 종목에 대해 의존하지 않습니다.

    리밸런싱을 통해 시장에서 고평가된 주식의 비중은 줄이고, 저평가된 주식은 매수하게 되는

    저가매수 전략이 적용됩니다.

    수익률 비교 : 단기부터 장기까지

    동일비중 가중방식과 시가총액 가중방식 수익률 비교표

    24.11.19.기준RSPSPY
    1개월-0.11%0.61%
    3개월6.79%6.43%
    6개월8.97%11.79%
    1년26.87%32.24%
    3년5.95%9.39%
    5년12.03%15.3%

    배당률 비교

    • RSP의 연간 배당률 1.46%
    • SPY의 연간배당률 1.19%

    어떤 ETF가 나에게 맞을까?

    RSP는 S&P500의 동일 가중 방식의 투자 전략을 활용해

    중소형주의 분산투자 효과와 성장가능성을 보고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대형주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500개 종목에 골고루 투자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미국 시장에 균등하게 투자를 하고 싶은 투자자들이 선택하기에 이상적인상품입니다.

    섹터별 비교

    기술주 강자는? XLK vs QQQ

    반도체 SOXX vs SMH

    국내상장 etf

    글로벌 반도체: 엔비디아 TSMC집중 투자

    미국 전력 인프라 ETF

    코스피200 주가전망

    마이크로소프트 레버리지 MSFX MSFU 인버스 MSFU ETF

    마이크로소프트 레버리지 & 인버스 ETF.

    마이크로소프트는 전세계 기술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입니다.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클라우딩 컴퓨팅 등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성장잠재력을 가진 마이크로소프트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레버리지, 인버스

    글로벌 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IXN은 마이크로소프트에 16.85%의 큰 비중을 투자합니다.

    국내 상장의 경우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23%를 마소에 투자하는데요.

    오늘 살펴볼 마이크로소프트 ETF는 수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레버리지, 인버스 투자 전략입니다.

    만약 개별종목을 큰 비중으로 담고있는 투자상품이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참고하세요.

    마이크로소프트

    MSFX (2X)

    T-Rex 2X Long Microsoft Daily Target ETF (MSFX)

    마이크로소프트 레버리지 일일성과의 200%를 추구합니다.

    올해 신규 상장해 아직 운용기간이 1년이 안되는 신규펀드입니다.

    MSFX
    운용사Tuttle Capital Management
    상장일2024.1.10.
    순자산총액$8.7M
    수수료1.05%
    현재가$25.58

    MSFU (2X)

    Direxion Daily MSFT Bull 2X shares

    MSFX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소프트주가의 일일 변동성 2배를 추종합니다.

    운용규모나 거래량을 볼때 가장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갖고있습니다.

    연간 배당률 3.27%이고, 분기마다 분배금이 지급됩니다.

    MSFU
    운용사Direxion
    상장일2022.9.6.
    순자산총액$138.9M
    수수료1.04%
    현재가$39.96

    MSFD (-1X)

    Direxion Daily MSFT Bear 1X ETF

    인버스 투자전략으로 MSFT 주가 하락시 수익을 얻게되는 구조입니다.

    스왑 옵션 거래등 파생상품으로 구성 운용됩니다.

    연간 배당률 4.47%, 최근 24.9. 1주당 $0.11 분배금이 지급되었습니다.

    MSFD
    운용사Direxion
    상장일2022.9.6.
    순자산총액$5.6M
    수수료1.06%
    현재가$14.11

    투자 성과

    마이크로소프트 레버리지 인버스 수익률 비교
    24..11.22.기준MSFXMSFUMSFD
    1개월-3.94%-3.97%1.22%
    3개월-8.71%-8.15%3.3%
    6개월 -14.33%-1.22%5.47%
    1년.3.46%-6.27%

    관련 내용

    미국테크;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전망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KODEX 마이크로1조달러기업포커스

    XLK vs QQQ

    서울 근교 눈썰매장 BEST3 코스좋고 합리적인 요금

    눈썰매장 서울근교 3곳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어린이대공원 SLP 어린이회관

    서울어린이대공원 내에 위치한 SLP 어린이회관 눈썰매장입니다.

    • 위치: 서울시 광진구 광나루로 441
    • 요금: 입장료 14,000원 (36개월 미만 무료)
    • 운영시간: 10:00 ~ 17:00

    입장료는 대인 소인 구분없이 14,000원 공통입니다.

    눈썰매장 내에 튜브썰매 구비되어있으며, 컨베이어벨트없이 걸어서 올라가야합니다.

    대형, 중형 슬로프 코스로 나눠져있어 저학년 아이들도 부담없이 이용가능하며,

    아주 낮은 언덕이 있어 유아들도 즐길 수 있습니다.

    추가로 이용할 수있는 서비스는 썰매장 내에 회전썰매 놀이기구와 빙어잡기 체험입니다. (유료)

    빙어를 잡은 뒤 튀김도 가능해 아이들 체험용으로 좋습니다.

    썰매장안에 대형천막으로된 매점이 있고,

    바베큐장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4인기준 35,000원~50,000원(시즌별 상이)

    바베큐장 문의: 010-7576-3272

    에버랜드 스노우버스터

    눈썰매장

    에버랜드 내에 위치한 스노우버스터는 에버랜드입장을했다면 무료 이용 가능합니다.

    • 위치: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199
    • 이용요금: 무료
    • 운영시간: 10:30~ 17:00

    패밀리코스(키 100cm미만)와 레이싱코스(120cm이상)가 준비되어있습니다.

    패밀리는 부모동반한 유아용이고, 레이싱코스는 초등학생이상 이용으로 보시면됩니다.

    튜브 썰매는 리프트로 싣고 걸어서 올라가는 형식입니다.

    서울랜드에서 튜브들고 올라가는것보다는 낫죠.

    선착순 마감될수 있으므로 에버랜드 앱을 이용해 스마트줄서기로 예약해야합니다.

    방문예정이라면 오픈시간인 10시30분딱맞춰서 가는걸 추천합니다. 대기없이 이용가능.

    안산 화랑유원지

    안산 가성비 눈썰매장으로 알려져있는 화랑유원지입니다.

    • 위치: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179 안산썰매장 (지하철 초지역 도보3분)
    • 이용요금: 7,000원. 청소년 5,000원. 어린이 4,000원
    • 운영시간: 10:00~ 12:50, 14:00~17:00 [매시간 50분부터 10분휴식]

    입장료도 저렴하고 주차장, 물품보관소 모두 무료 이용이라 갓성비라고 불려질만합니다.

    튜브형 썰매고 아주 편리한 무빙워크가 준비됐습니다.

    안산 화랑유원지 썰매장에서는 굽높은 신발, 크록스, 슬리퍼로는 썰매 이용이 불가하고 입장객 수를 1,500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안산도시공사에서 실시간 인원체크가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 실시간 입장 인원 확인 click!

    ※ 24년12월~ 25년 안산 화랑유원지 공사로 운영을 하지않는다고합니다.

    리얼 후기

    나에게 맞는 홈디바이스는? 피부타입별 선택가이드

    허니콤블라인드 설치 후기

    미국 경제 전망: 주요 뉴스 24년11월 4째주

    미국 경제 전망 주요 뉴스를 확인하고 정리해보겠습니다.

    미국 경제 전망

    스태크플레이션 직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는

    트럼프 2기 미국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하게 될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대규모 감세
    • 막대한 재정적자
    • 억만장자와 기업에 대한 감세

    이 3가지를 확신했고,

    이것은 곧 안정화된 인플레이션을 다시 부추겨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엔비디아 3분기 호실적

    엔비디아의 8월~10월 3분기 실적발표. 매출은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94%증가,

    순이익 193억 달러로 106%급증.

    AI 칩을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부문 매출이 시장 예측치보다 크게 상회했습니다.

    이런 호실적에도 주가는 발표 직후 3%하락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실적 상승에 시장은 익숙해졌다” -라이언디트릭-

    기대가 너무 높아 실적이 좋아도 주가가 오르기 힘들다는 분석입니다.

    원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

    비트코인 9만5천달러 근접

    트럼프 트레이드 영향으로 비트코인 9만5000달러에 근접했습니다.

    최근 1주일동안 45.12%상승,1달동안 57%상승했는데

    그 이유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됐기 때문입니다.

    돈나무언니도 “비트코인 가격은 앞으로 규제 완화 기대감에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2030년까지 상승해 최대 150만 달러까지 갈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머니에스

    트럼프 불확실성 바이오↓

    트럼프 당선인 보건복지부 장관에 백신 음모론자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지명.

    올해 주도 업종중 하나였던 제약, 바이오가 지속적인 조정을 받고있습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불확실성이 커진것이 이유인데,

    올해들어 10월까지만해도 KRX 헬스케어 지수 24.65%상승했지만 이달들어 7%조정을 받았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 머니투데이

    중국 부동산 빼면 성장중

    중국 경제 성장이 한계에 다다랐다 = 피크차이나

    피크 차이나는 오해라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부동산 부문은 제외하고 민간 분야가 성장하며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 내에서 중국 경제 전문가로 불리는 “니콜라스 라디”

    중국과 관련된 오해가 많다고 강조했습니다.

    • 중국의 실질 성장률은 미국보다 2배 이상 높다.
    • 소득 대비 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있다.
    • 몇년간 근원 인플레이션이 1%가 안되는 상황 디플레이션이 아닌 안정적으로 관리 되는 상황이다.
    • 민감투자 감소는 부동산 분야에 있다.

    덧붙여 미국 대선이후 중국이 중대한 경제적 역풍을 맞고있다는 점을 동의했지만

    트럼프 2기 정책이 미국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중국에 60% 관세 부과시 중국의 수입품 75%감소.
    • 그 영향으로 관세 수입이 늘지않고 적자 확대
    • 그 결과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것.

    금리 인상까지도 있을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최근 주식시장 호황은 금리 인하 예상으로 시작되었는데, 조정도 이뤄질것으로 설명했습닏.

    원문 바로가기 >> 이데일리

    기타

    • 포스코 홀딩스 저점? 4거래 연속 상승

    전일대비 4%상승. 307,000원에 거래되며 4일째 연속 상승.

    3분기 실적 예상보다 하회했지만 인도 시장 일관제철소 건설계획 발표 영향.

    목표주가는 트럼프 2기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인센티브 불확실성 + 리튬가격 하락으로 47만원 하향 조정. >>한경

    • 포드 14% 직원축소

    미국 포드, 2027년까지 유럽내 14%에 해당하는 4000명 감원.

    환경규제와 전기차 수요 저조등이 원인.

    >> 파이낸셜뉴스

    미국 경제 전망

    시장 이슈 & 섣부른 전망 금지 click!

    미국 시장 이해하기 : 대표지수

    경기 침체 시그널

    시가총액 뜻과 시총 가중방식이란 무엇일까?

    시가총액 이란? 그 뜻과 ETF에서 주로 활용되는 시가총액가중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가총액 뜻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은 기업의 시장가치입니다.

    “현재주가 × 발행주식 수 = 시가총액”

    기업의 규모와 중요도를 파악할수있는 지표입니다.

    • 시총규모에 따라 대형주, 중소형주로 구분
    • 시총을 확인해 시장의 평가를 알수 있음.

    주가가 상승하거나, 주식 발행수가 증가하면 시가총액도 증가합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

    ETF에서 종목을 구성하고 투자 비율이 정해지는 방법 중 하나가 시가총액가중방식입니다.

    지수를 구성하는 기업들의 시가총액규모에 따라 종목선정, 비중을 결정합니다.

    SPY, QQQ, IWM등 많은 ETF가 시가 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합니다.

    주로 주요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장점

    시가총액 가중방식은 기업의 시장가치를 기반으로 직관적이며 간단하게 산출됩니다.

    시장변화에 따라 포트폴리오가 조정되어 변화를 잘 반영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횟수의 리밸런싱을 거쳐 비용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단점

    시가총액이 클수록 해당 ETF 내 투자 비중이 높아지게됩니다.

    이는 지나치게 과대평가 될 수 있고, 전체 포트폴리오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히, 소형주의 비중이 극히 적어지며 결과적으로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에 투자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다른 방식

    시가총액 가중방식 외에 동일가중방식이 있습니다.

    동일가중 방식(Equal Weighted)은 ETF내 모든 종목에 똑같은 비율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예: S&P500 모든종목에 0.2%씩 투자하는 RSP,
    기술섹터내 동일 비중 투자 RYT 등

    시가총액 동일비중 REP

    중,소형주에도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해 성장성에 투자할 수 있지만 변동성은 큰편입니다.

    동일비중 전략은 특정 종목에 과중하게 투자하는 단점을 보완하며,

    소외된 종목에도 분산투자 할수 있다는것이 장점입니다.

    이 외에도 배당 수익률 가중방식,

    매출과 이익을 고려한 펀더멘털 지표가중방식 등이 있습니다.

    정리

    시가총액은 투자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고,

    금융시장에서 기업의 위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주가가 오르거나,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면 시총이 커지게되는데,

    이 말은 즉, 투자자들이 기업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반영하는것입니다.

    시가 총액 가중방식은 시장의 평가를 직관적으로 반영해 단순하고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대형주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종목 구성 및 비율을 유지하게되어

    ETF 지수구성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유용한 글

    미국상장 S&P500 ETF 종류 레버리지 인버스

    미국상장 S&P500 ETF를 모아서 정리했습니다.

    S&P500지수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인 S&P500은 미국상장 대형기업 500개 주식을 포함하고있습니다.

    미국 경제 전반에 걸쳐 흐름을 이해할수 있는 지수입니다.

    특징

    시가총액 기준으로 미국 상위권에 속한 대형 기업 500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IT 정보기술, 헬스케어, 금융, 소비재, 에너지 등 다양한 섹터가 반영됩니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지수에 영향을 많이 주게 됩니다.

    미국의 대표 기업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좋은 성과를 보여주는지 확인할수 있는 지표이고

    지수가 오르는건 미국 경제가 강세장, 내려가면 약세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상장 S&P500

    SPY 미국상장 s&p500

    VOO 미국상장 s&p500

    • Vanguard
    • 2010. 9. 7. 상장
    • 순자산총액 $564,012.7M (2위)
    • 수수료 0.03%

    IVV

    • iShares
    • 2000. 5. 15.상장
    • $551,7813M (3위)
    • 수수료 0.03%

    SPLG

    • SPDR State Street
    • 상장일 2005. 11. 08.
    • 순자산 $50,940.8M (35위)
    • 수수료 0.02%

    >> 인덱스 펀드중에서도 운용규모 상위권에 모여있는 ETF입니다.

    SPY, VOO, IVV, SPLG를 세부적으로 비교하며

    저라면 어떤거에 투자할지 정리한 글이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바로가기

    IVVW

    • iShares
    • 2024. 3. 14. 상장
    • 순자산 $ 27.8M
    • 수수료 0.25%

    RSPA

    • Invesco
    • 상장일 2024. 7. 17.
    • 순자산 $273.9M
    • 수수료 0.29%

    S&P500인덱스 펀드만큼이나 인기 많은 나스닥100etf가있습니다.

    미국 대표지수가 궁금하시다면 >> 바로가기

    레버리지

    레버리지ETF는 해당지수를 2배, 3배를 증폭해 추종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시장의 초과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X, 3X, Ultra 등으로 표기합니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ETF는 선물,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비용이 일반ETF보다 높습니다.

    레버리지, 인버스 표기방법 상세보기 click!

    SSO [2X]s&p500etf

    • ProShares
    • 2006. 6. 19. 상장
    • 순자산총액 $5,487.5M(280위)
    • 수수료 0.89%

    SPUU [2X]

    • Direxion
    • 2014. 5. 28.
    • 순자산 $153.2M
    • 수수료 0.61%

    SPYQ [2X]

    • AXS
    • 상장일 2024. 9. 30.
    • 순자산 $6.6M
    • 수수료 1.3%

    UPRO [3X]

    • ProShares
    • 상장일 2009. 6. 23.
    • 순자산 $4,058.3M
    • 0.91%

    SPXL [3X]

    • Direxiom
    • 상장일 2008. 11. 05.
    • 순자산 $5,247.8M (287위)
    • 수수료 0.91%

    인버스 s&p500etf

    인버스ETF는 특정지수의 반대방향의 움직임에 성과를 추구하는 방식입니다.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을 낼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인버스는 하락장, 단기투자, 시장하락을 대비한 헷지 등의 전략으로 활용합니다.

    SH [-1X]

    • ProShares
    • 상장일 2006. 6. 19.
    • 순자산 $890.5M (782위)
    • 수수료 0.89%

    SPDN [-1X]

    • Direxion
    • 상장일 2016. 6. 8.
    • 순자산 $134.1M
    • 수수료 0.58%

    SDS [-2X]

    • ProShares
    • 상장일 2006. 7. 11.
    • 순자산 $428.0M
    • 수수료 0.89%

    SPXS [-3X]

    • Direxion
    • 상장일 2008. 11. 05.
    • 순자산 $403.6M
    • 수수료 1.07%

    SPXU [-3X]

    • ProShares
    • 상장일 2009. 6. 23.
    • 순자산 $518.4M
    • 수수료 0.89%
    미국상장 s&p500

    미국 빅테크 주식 엔비디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전망 실적발표

    미국 빅테크 관련주 엔비디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공지능, 소비자 시장, 클라우드 등 빅테크 분야 선두 기업입니다.

    실적 발표,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빅테크

    빅테크 기업은 주로 IT 소프트웨어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세계 시장을 주도하며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입니다.

    엔비디아

    엔비디아는 AI 칩 독보적인 대체 불가 강자입니다. AI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분기별 실적이 예상을 크게 웃돌았는데요.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에서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호실적 발표했습니다.

    실적 발표일 (NVDA)

    • 3분기 실적발표일 11월 20일
    • 4분기 25년 2월 13일 예정

    예측치 비교

    발표일매출 [예측]
    2024.11.20[32.97B]
    2024.8.28.30B [28.68B]
    2024.5.22.26.04B [24.65B]
    2024.2.21.22.1B [20.55B]
    2023.11.21.18.12B [16.18B]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는 AI, 클라우드기술을 보유하고 Azure, OpenAI와의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기술개발에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있습니다.

    실적 발표일 (MSFT)

    • 3분기 실적발표 10월30일
    • 4분기 25년 1월 29일 예정

    예측치 비교

    발표일매출 [예측]
    2024.10.30.65.6B [64.55B]
    2024.7.30.64.7B [64.38B]
    2024.4.25.61.86B [61.86B]
    2024.1.30.62B [61.1B]
    2023.10.24.56.5B [54.53B]

    아마존 미국 빅테크

    아마존은 AWS(웹서비스) 부문 덕에 좋은 실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WS부문은 아마존 전체 이익의 약 63%를 차지하는 주요 핵심사업입니다.

    AWS를 통해 AI와 클라우드 성장에 집중하고, AI 훈련과 관리 서비스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적 발표일 (AMAN) 미국 빅테크

    • 3분기 실적발표 10월 31일
    • 4분기 25. 1. 30. 예정

    예측치 비교

    발표일매출 [예측]
    2024.10.31.158.9B [157.25B]
    2024.8.1.147.98B [148.68B]
    2024.4.30.143.31B [142.65B]
    2024.2.1.170B [165.95B]
    2023.10.26.143.1B [141.53B]

    엔비디아 주가전망

    지난 8월 제가 확인했던 엔비디아의 목표가는 최저 $100~ 최고 $200으로 평균 목표가 약 $144.17이었습니다.

    8.6. 기준 엔비디아 102.44달러였는데

    11월 현재 $148.29로 3개월 동안 조용히 올랐네요.

    월가의 애널리스트의 분석결과를 보면 여전히 강력한 매수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 최저 목표가 $90
    • 최고 목표가 $200
    • 평균 목표가 $157.82

    현재가 대비 약 6.43%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주가전망

    마이크로소프트도 3개월 사이에 $399.79 → $426.89 약 6% 이상 상승했습니다.

    지난 8월에 32명의 애널리스트 분석결과 모두 매수 의견이었고, 25%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결과를 봤었는데

    실제로 몇 달 사이 오른 걸 보니 투자 시 참고할만한 괜찮은 자료입니다.

    11월 현재 MSFT의 목표가는

    • 최저 목표가 $425
    • 최고 목표가$550
    • 평균 $495.33

    현재가 대비 16.03% 상승여력이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아마존 주가전망

    아마존은 경기둔화에 따라 전자상거래 부문의 소비 감소 가능성, 기업의 비용 절감 확대가 주요 과제로 생각됩니다.

    8월달만해도 저평가 받고 있다는 느낌이 강했고 기대보다 주가가 오르지 않고 오히려 떨어지는 상황이었는데요.

    3달 사이 아마존도 상당히 올랐네요. $160.49 → $211.48 무려 32% 상승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상승여력 40%나왔거든요. 지금은 어떨지 볼게요.

    • 최저 목표가 $197
    • 최고 목표가 $285
    • 평균 $239.35

    현재가 $211.48대비 약 13%상승 가능. 애널리스트 45명의 분석 결과 44명이 매수의견입니다.

    앞서본 세 종목 중 가장 크게 올랐는데 여전히 투자할만한 매력을 가진 종목입니다.

    정리 미국 빅테크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클라우드 기술과 AI 기반으로 좋은 실적을 발표하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도 높이 평가 받는 상황입니다.

    관련 기술의 수요 증가로 앞서본 빅테크 기업은 기술 혁신을 이루며 독보적인 기업으로 자리 잡게 될 겁니다.

    시장의 심리가 불안정하고 경기순환 사이클상 경기둔화 시기에는 성장주의 약세가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유용한 글 미국 빅테크 관련

    기술섹터 QQQ vs XLK 비교 선택

    크라우드스트라이크홀딩스 주가 전망

    아주 쉽게 미국반도체 투자하기: 한국판 SOXX

    경기침체 올까? 장단기 금리차 역전해소

    코스피200 ETF 주가전망, 대결 TIGER vs KODEX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국내 대표기업 200개 종목에 분산투자 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주식형 ETF중에서 운용 규모 1위가 KODEX200입니다. 2위가 TIGER 미국 S&P500 인데,

    1위를 코스피200이 지키고 있다니 놀랍네요.

    운용 규모 순위 50위권 안에는

    국내 주식: 코스피200, 2차전지 산업.

    미국 주식: 대표지수, 반도체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자산운용사별 코스피200 etf를 비교해보며 어떤 상장지수펀드가 나을지 선택해보겠습니다.

    그나저나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한다고 밸류업지수, 공매도 제도개선, 금투세 폐지

    몇 가지 정책들이 나오고 있는데 코스피는 오를 기미가 안 보이네요. 다들 떠나야 오르기 시작하겠죠.

    코스피200

    코스피200 실시간 차트를 보면서 토론글을 읽어봤는데,

    국장은 개미 돈 털어먹는 도박장이다, 그렇게 당하고도 또 왔다, 아시아중 한국만 마이너스,

    전쟁 나도 이 정도는 아니지 않냐 등

    분위기가 아주 살벌하네요.

    삼성전자 또 신저가 기록했다죠.

    분위기가 이러니 다들 떠날 때 관심을 가져 보자고요.

    본론으로 돌아와서 코스피2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kodpi200 지수

    증권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중에서 시장과 산업을 대표하고 유동성을 갖춘 종목을 200개 선정해 구성한 지수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기아, 셀트리온 등

    한국 사람이라면 이름만 들어도 아는 기업입니다.

    코스피200 ETF

    자산운용사마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인덱스펀드로 지수에 포함된 모든 종목에 분산 투자하기 때문에 ETF를 고를 때에는

    거래가 잘 이뤄질 수 있는지 운용 규모와 수수료율 구성 종목

    이렇게 세가지 정도 확인하고 선택하면 됩니다.

    아래는 순자산총액이 큰 순서대로 작성되었습니다.

    KODEX 20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2002.10.14.
    • 순자산총액: 55,974억 원 (주식형ETF 중 AUM1위)
    • 수수료: 0.1936%
    • 현재가: 33,020원

    TIGER 200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2008. 4. 3.
    • 순자산총액: 18,366억 원 (주식형ETF 중 17위)
    • 수수료: 0.0939%
    • 현재가: 33,060원

    RISE 200

    • 운용사: KB자산운용
    • 상장일: 2011. 10. 20.
    • 순자산총액: 11,368억 원(30위)
    • 수수료: 0.0547%
    • 현재가: 33,240원

    PLUS 200

    • 운용사: 한화자산운용
    • 상장일: 2012. 1. 10.
    • 순자산총액: 5,869억 원 (61위)
    • 수수료: 0.0525%
    • 현재가: 33,565원

    비교표

    KODEXTIGERRISEPLUS
    순자산총액55,974억18,366억11,368억5,869억
    수수료0.1936%0.0939%0.0547%0.0525%
    kospi200 etf 비교표

    kodex가 수수료가 높습니다.

    왜 저렇게 높게 책정됐는지 궁금하네요. 물론 수수료는 상시 변동 할 수 있습니다.

    모두 상장한 지 10년 이상 되어서 수수료율이 갑자기 상승, 하락 할 것 같지는 않고,

    현재 발표된 수수료율 선에서 유지된다고 보면 됩니다.

    순자산총액은 50억 미만일 경우 상장폐지 될 수 있습니다.

    AUM이 가장 낮은 PLUS 200이 5천억이 넘으니 4개 ETF 모두 안정적인 규모입니다.

    구성 종목

    200종목에 분산 투자합니다. 종목 구성은 같고, 투자 비중을 살펴보겠습니다.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의 50%비중을 차지하고, 그 중 삼성전자에 23% 투자합니다.

    비교 결과 종목 구성, 비중 모두 같다고 보면 됩니다.

    10개 종목

    종목비중
    삼성전자23.3%
    SK하이닉스9.7%
    KB금융2.7%
    현대차2.6%
    셀트리온2.2%
    신한지주2.2%
    기아2.1%
    NAVER2.1%
    POSCO홀딩스1.8%
    현대모비스1.4%
    kodex 200 구성종목
    코스피200 etf 섹터비중

    성과 (코스피200)

    수익률

    24.11.12.기준수익률
    1개월-4.65%
    3개월-6.93%
    6개월-10.7%
    1년4.04%
    3년-3.24%
    5년5.31%
    코스피200 etf 수익률표

    S&P500지수,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SPY나 QQQ는 장기투자하라고 권장하잖아요?

    근데 그건 미국 이야기고, 코스피200에 장기투자 잘못하면 손실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10년 수익률 4.8%로 장기투자 할 수록 손해가 나는 상황입니다. 이래서 국내 투자자들이 많이 빠져나가는 거겠죠.

    그럼에도 관심 갖고 코스피200 매수했다면 시장 분위기봐서 적절할때 매도하는 전략이 나아보입니다.

    배당

    • 연간 배당률 2.44%
    • 배당 내역 24. 10. 30. 1주당 120원

    (kodex 200 기준입니다. 타 etf 역시 수익률과 배당률은 비슷합니다.)

    주가 전망

    월가에서는 한국시장 전망을 어떻게 전망하고 있을까요?

    MSCI South KOREA 지수를 추종하는 EWY의 주가 전망을 알아봤습니다.

    kodex200 보다 종목수는 100개로 적지만, 포트폴리오 구성이 상당히 유사한 ETF입니다.

    삼성전자 17%, SK하이닉스 9% 등 투자 비중도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강력 매도

    제가 정말 놀라운걸 봤는데요.

    이제까지 제가 주가 전망을 살펴보면서 강력매도라고 나온걸 처음봤어요.

    궁금해서 찾아본 EWY였는데, Strong Sell(그냥 매도도 아니고 강력 매도)입니다.

    코스피200 etf라고해서 별다른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우선 분위기는 좋지 않다는 정도로 참고해보겠습니다.

    도움되는 글

    국내상장 미국나스닥 etf 비교

    ETF 이름 (TR, H, 레버리지)

    고배당 etf 미국 배당다우존스

    채권ETF vs 주식ETF

    손익계산서 보는법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어디서 뭘 봐야할까?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는 기업분석을 위한 여러 지표들 중 하나입니다.

    야후파이낸스를 활용해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 란?

    가계부의 역할을 하는게 기업의 손익계산서입니다.

    얼마를 벌고, 썼는지 알 수 있는 장부인 셈이죠.

    수익, 비용

    • 수익은 “매출액”
    • 지출은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운영비)를 뺀것입니다.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 대차대조표”

    자산, 부채, 자본을 기입하는 밸런스 시트를 생각하면 됩니다. <사진>

    기업의 자산에 포함된 부채와 자본을 파악 할 수 있습니다.

    • 자산 = 부채 + 자본

    현금흐름표

    일정 기간의 현금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손익계산서에서 장부상 수익과 지출을 확인했다면, 현금흐름표는 좀 더 자세하게 현금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확인방법

    야후파이낸스를 활용합니다.

    >> yahoo!finance 바로가기

    야후파이낸스에서 종목을 검색합니다.

    → 카테고리에서 Financials를 선택하세요.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 확인

    Financials에서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분기별로 확인 가능합니다.

    자동번역 기능을 활용하면 편해요.

    영문으로 확인시 상단 첫줄부터 보면됩니다.

    Total Revenue (총매출액) = Cost Of Revenue (매출원가) – Gross Profit (매출총이익)

    재무상태표 확인

    위 사진에서 핑크색부분 Balance Sheet를 선택하세요.

    재무상태표에서 꼭 확인 해야하는 건 부채비율입니다.

    • 자산 Total Assests = 부채 Total Liabilities + 자본 Total Equity

    일반적으로 부채비율(Debt to Equity Ratio)은 200%이하일 경우 적정 수준으로 봅니다.

    • 부채비율 Debt to Equity Ratio = 총 부채 Total Debt ÷ 자기 자본 Total Equity
    • 총 부채 Total Debt = 단기 부채 Current Debt + 장기부채 Long term Debt

    현금흐름표 확인

    앞서 선택한 재무재표 옆에 Cash Flow를 클릭합니다.

    맨 위에 나오는 Operating Cash Flow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현금이 얼마나 들어오는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맨 아래에 Free Cash Flow 잉여 현금흐름은 영업활동의 현금흐름에서 자본적 지출을 차감한 값입니다.

    즉, 세금이나 각종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찐 현금이라고 볼수 있죠.

    실제로 기업이 사용가능한 현금값에 가장 근접한 수치로 보면됩니다. 배당과도 연관되어있으니

    현금흐름표에서 꼭 확인할 목록입니다.

    도움되는 글

    왜 투자 고수들은 ETF에 투자하라고 할까?

    ETF 패시브 전략 vs 액티브 전략

    나에게 맞는 ETF는? 주식etf vs 채권etf

    A or B 고민해결!

    나스닥100 QQQ vs QQQM

    기술섹터 QQQ vs XLK

    미국 S&P500 5개 비교 SPY VOO ,,,

    국내상장 나스닥100etf 4개 비교

    국내상장 S&P500 4개 비교

    국내상장 미국상장 어느게 유리할까?

    SOL 조선TOP3플러스 트럼프 수혜주 한화오션 어때?

    SOL 조선TOP3플러스 트럼프 당선으로 수혜 섹터로 손꼽히는 조선주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조선/해운 관련 ETF는 5개 정도가 있는데 그 중 운용 규모가 가장 크고 거래량도 많네요.

    SOL 조선TOP3플러스

    • 운용사: 신한자산운용
    • 상장일: 2023 .10 .05.
    • 기초지수: FnGuide 조선 TOP3 플러스 지수
    • 순자산(AUM): 3,324억 원
    • 수수료: 0.5217%
    SOL 조선TOP3플러스

    구성 종목

    국내 조선주 14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이름이 TOP3라서 그런지 3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 이름만 봐도 알수있는 ETF 명칭 해석

    종목비중
    HD한국조선해양22.32%
    삼성중공업19.73%
    한화오션17.01%
    HD현대중공업12.29%
    HD현대미포11.68%
    HD현대마린솔루션5.32%
    한화엔진4.36%
    한국카본1.77%
    HD현대마린엔진1.50%
    동성화인텍1.06%
    태광0.98%
    하이록코리아0.97%
    세진중공업0.78%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TIGER 조선TOP10을 (24.11월) 최근 상장했는데요.

    구성 종목 상위 10개 SOL 조선TOP3플러스와 동일합니다.

    조선주 중에서도 대형주만 투자하고 싶다면 tiger조선top10도 괜찮아 보이는데,

    신규 상장이라 수수료 변동이나 자금 유입 등의 변화를 추후 확인해 보겠습니다.

    TIGER 조선TOP10 [참고용]

    •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24. 10.22.
    • 24.11.14.기준 AUM 206억 원
    • 수수료 0.35%

    수익률

    24.11.14.기준수익률
    1개월12.44%
    3개월5.63%
    6개월22.72%
    YTD44.01%
    1년63.52%

    주가전망

    코스피 시총 2천조 아래로 빠졌습니다. 삼성전자 이제 4만 전자 된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네요.

    한국 주식 다 내다 팔고 있는데 그 와중에 방산주, 조선주는 매수세가 들어왔습니다.

    조선주는 진짜 아예 잊혀질정도로 관심이 없어졌는데 트럼프 당선되면서 이렇게 관심받게 되네요.

    당선되고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모든 긍정적 기대감이 반영되는 듯합니다.

    “미국의 조선업은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 한국의 건조 능력, 보수, 수리, 정비 분야에서 긴밀한 양국 협력이 필요하다”

    -트럼프 당선인-

    한화오션은 제가 정말 제의지와 상관없이 장기투자를 알게 해준 종목인데요ㅜ.ㅜ

    이번에 30% 넘게 오르면서 수익은 고사하고 그간 기다린 세월의 위로를 받았습니다.

    트럼프 2기가 본격 시작되면 조선주가 더 오를 수 있을지 지켜보려고요.

    조선주 특성상 실적이 나오려면 2년이상은 걸리기 때문에 이제 슈퍼사이클이 시작된다는 말이 나오고 있으며

    미국과 협력관계가 짙어지면 주가가 더 상승하겠네요. 근데 요즘 주가가 미리부터 빠르게 급등해서 그냥 매도할까 싶네요.

    도움되는 글

    이슈에 따라 변화하는 주식시장 흐름정리(최신업데이트)

    환율 계산 쉽고 빠르게!

    한국국채 30년ETF 투자 어떨까?

    미국국채: 단기,중기,장기채 알아보기

    금이 오르면 은이 오른다?!

    국내 금ETF 3개 비교

    선택 A or B

    1. QQQ vs QQQM
    2. SPY vs SPLG
    3. SOXX vs SM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