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소비재 XLP ETF 특징 관련주 수익률 완벽정리

필수소비재 ETF인 XLP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XLP 개요

기본정보

  • 운용사: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
  • 상장일: 1998. 12. 16.
  • 기초지수: S&P Cons Staples Select Sectot TR USD
  • 시가총액: $17,489.07M
  • 총수수료: 0.09%
  • 60일 평균 거래량: 8,741,496

필수소비재 특징

필수소비재는 우리가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제품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식료품, 위생용품, 에너지 등이 포함되는데요.

생존에 꼭 필요한 물품으로 가격이 상승해도 수요가 크게 줄지 않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반복적으로 소비되어 시장에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합니다.

안정적인 매출과 수익으로 꾸준한 배당금을 지급하며 이러한 특징 덕분에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XLP 구성 종목

필수소비재 관련 주식에 99% 이상 투자합니다.

총 39개 종목에 투자하며, 그중 상위 10개 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

  • PG (프록터 & 갬블) 14.24%
  • COST (코스트코) 13.86%
  • WMT (월마트) 11.4%
  • KO (코카콜라) 9.57%
  • PM (필립모리스 인터네셔널) 4.94%
  • PEP (펩시코) 4.5%
  • MDLZ (몬덜리즈 인터내셔널) 3.9%
  • MO (알트리아그룹) 3.64%
  • CL (콜게이트-팜올리브) 3.47%
  • TGT (타겟) 3.01%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72.5%를 차지 하고, 시가총액 규모를 보면 대형주 비중 62.4% 중형주에 36.63% 투자합니다.

대형주 비중이 커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XLP 수익률, 분배율

기간별 수익률 (24.10.11. 기준)

XLP SPY수익률 비교차트
  • 1주 0.21%
  • 1개월 -0.92%
  • 3개월 6.43%
  • 6개월 11.54%
  • 1년 25.34%
  • 3년 8.03%

2024년 올해 들어 약 15.63%의 수익률을 기록.

분배율

  • 배당수익률 2.58%
  • 연간 지급금 $2.11
  • 5년 배당성장률 6.11%
  • 연속 배당 증가 10년

분배 내역 (분기배당)

  • 23. 3. 20. $0.34
  • 23. 6. 20. $0.53
  • 23. 8. 18. $0.449
  • 23.12.18. $0.54
  • 24. 3. 18. $0.55
  • 24. 6. 24. $0.58
  • 24. 9. 23. $0.44

주가 전망

  • 현재가 $87.35달러 (24.10.14. 기준) → $80.67 (24.11.15.)
  • 12개월 최저 목표가 $76.05 → $77.11
  • 최고목표가 $99.08

XLP ETF에 대해 애널리스트들의 목표가를 종합해 보면,
평균 $87.35로 현재가 대비 약 7%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결과입니다.

  • Beta 0.41
  • PER 27.83


주식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베타 지수는 1보다 작은 값일 때 시장보다 변동이 적다는 뜻입니다.

앞서 필수소비재는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경기 악화에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것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 베타입니다.

XLP ETF의 베타 값은 0.41로 시장의 흐름보다 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덜 오르고, 덜 내린다는 의미죠.

[내용추가]

트럼프 당선 확정 이후 코인, 주식 급등하는 상황에서

미연준 파월의장이 금리 인하에 대해 보수적인 발언을 했습니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때문인데요. 미국은 꾸준히 인플레이션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고

금리인하를 천천히 하겠다, 상황에 따라서 미루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럴 경우 인플레이션 수혜섹터인 필수소비재가 안정적인 투자처가 될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아래 정리해 놓은 글을 참고하면 도움이 됩니다.

가치투자 저평가주식 찾는법 >> P/E P/S BETA 샤프지수 용어정리 CLICK!

미국주식시장 이해하기>> 대표지수 종류와 의미

금 투자 레버리지 >> 3배 수익률을 제공하는 etn

알면 좋은 경제 >> 단기 연체 등록 기준, 조회법, 삭제 알아두기

TLT 미국 장기채 배당금 채권 투자 비중 늘릴까?

TLT ? 미국 20년 이상 만기 국채 투자하는 ETF로 월배당 투자상품입니다.

오늘은 미국 장기국채를 대표하는 TLT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LT 개요

  • 운용사 iShares
  • 기초지수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 상장일 2002.7.22.
  • 순자산총액 $59,221.89M [약 77,988억 원]
  • 수수료율 0.15%
  • 현재가 $95.55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국채에 직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로 20년 이상의 만기를 가진 채권에 투자합니다.

채권은 만기가 길수록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위험회피 성향의 투자자라면 단기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채권 금리 현황 24.10.5.기준

  • 2Y 3.9195%
  • 5Y 3.8005%
  • 10Y 3.958%
  • 30Y 4.244%

24. 11. 5. 기준 채권 금리 현황

  • 2Y 4.1785%
  • 5Y 4.1685%
  • 10Y 4.31%
  • 30Y 4.491%

(신규 추가 내용)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미국 재정적자로 대선 결과 여부에 상관없이 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는 전문가들이 많아졌습니다. 영국과 프랑스의 경우 증세 정책으로 채권 금리가 급 상승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연관된 내용을 정리한 것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경제 현황으로 알아보는 채권 금리 전망  바로가기.


미국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합니다. 반대로 채권 금리가 내려가면 가격은 상승하는데요.

일반적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채권의 발행 금리가 낮아지게 되고, 채권의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안정적인 투자처인 채권에 투자금이 몰리게 되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곧 TLT ETF의 가격상승으로 이어집니다.

TLT 투자 성과

수익률

  • 1주 -2.75%
  • 1개월 -3.19%
  • 3개월 5.1%
  • 6개월 5.15%
  • 1년 15.17%
  • 3년 -10.32%
  • 10년 0.39%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되었지만, 장기채권 가격이 크게 오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이미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주가가 올라온 상태였기 때문에 실제 금리 인하가 시작되었지만, 추가 상승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경제 성장의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 역시 채권 가격 상승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분배금

  • 연간 분배율 3.82%
  • 5년 배당성장 2.74%
  • 최근 분배금
    24. 10. 1. $0.32
    24. 9. 3. $0.31
    24. 8. 1. $0.31
    24. 7. 1. $0.29

>> 분배내역 자세히 보기 click!

현명한 채권 투자 비중

TLT는 정기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안전자산으로 분류하는 채권투자 상품입니다.

채권은 안정적인 투자 자산이지만, 장기채권은 변동성이 커서 기대수익률이 높은 만큼 손실의 위험도 큰 편 이라는 걸 염두에 두세요.

만약 안정적인 채권투자를 원하다면 단기채권, 좀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장기투자에 초점을 맞춘다면 장기채권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기간에 따른 채권을 골랐다면 이제 채권의 투자 비중을 살펴보겠습니다.

투자 전문가, 대가들이 제안한 채권 투자 비중의 기준을 몇 가지 정리해 볼게요.

채권 자산 배분

1. 60/40

많은 전문가가 주식 60%, 채권 40%의 포트폴리오를 추천합니다. 이것은 전통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로 볼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성장과 리스크 관리에 균형을 맞춘 방법이에요.

2. 나이 비율

일부 다른 시각을 가진 전문가는 투자자의 나이 비율에 맞춰 채권 비중을 조절하라고 권유합니다. 예를 들어 20대는 20%, 60대는 60%로 채권 비중을 확보하는 것이죠. 젊을 수록 회복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주식에 좀 더 많이 투자하고,  가까운 노후를 대비해야 하는 나이대는 위험이 큰 주식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3. 금리 수준 : TLT 투자비중 전략

경제 현황에 따라 채권의 투자 비중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금리가 낮은 수준이거나, 내려갈 환경에서는 채권의 비중을 늘립니다.

이와 반대로 고금리가 유지되거나 금리 인상이 시작된다면 채권의 비중을 줄여야 합니다.

시장의 흐름에 채권 가격은 반응하게 되어있습니다. 그 시기를 정확히 맞추지 못할 뿐이죠.

금리 인상, 인하의 기대감 만으로도 채권 가격이 빠르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시기를 맞추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면 결국 이기는 게임이죠.

TLT 정리

TLT는 미국 국채 중에서도 20년 이상 만기 장기채에 투자합니다.

단기채와 비교했을 때 기대 수익이 높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큰 편입니다.

TLT는 장기채권 ETF 중에서 운용 규모 1위, 전체 기간에 걸친 채권ETF 중에서도 3위인 우량펀드입니다.

채권이라는 안정적인 투자자산 + 풍부한 유동성을 확보한 셈이죠.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주식과 함께 빠지지 않는 자산군인 채권의 비중을 조절해 보세요.

기본 40%, 투자자의 연령대가 높다면 비중을 더 늘리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기준 금리의 상승과 인하는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범위이기 때문에 금리 흐름을 고려해 장기 투자한다면 금리 헷지 전략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을 것 같네요.


TLT 기간별 채권 비교

채권 ETF VS 주식 ETF 특징 비교, 나에게 맞는 건? >> Click

단기채권 모아보기 >> BSV SHY 비교 분석 Click

한번에 정리 ETF 세금! Click!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월배당 수익률 분석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배당수익률 10.55% 월배당으로 제2의 월급 만들기 프로젝트!

오늘은 커버드콜 전략의 국내 상장 고배당 + 월배당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ETF는 기존 TIGER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에서 새로운 명칭으로 변경된 것입니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개요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23.6.20. 상장
  • 기초지수 Dow Jones U.S Dividend 100 7% Premium Covered Call Index
  • 시가총액 7,536억 원
  • 총수수료율 0.7053%
  • 현재가 10,320원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해 월 배당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펀드입니다.

해당 펀드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에 포함된 기업에 투자하며,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초과 수익을 실현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커버드콜?

커버드콜 전략은 주식 투자와 옵션거래를 결합시킨 투자방식입니다.

주가가 상승할 때 옵션을 행사하여 주식을 매수합니다. 이 경우 주가 상승으로 인한 수익을 모두 누릴 수는 없지만, 프리미엄은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 하락 시 옵션이 행사되지 않기 때문에 투자자는 주식을 보유하게 되고, 프리미엄은 추가 수익으로 남습니다.

커버드콜은 주가가 큰 폭의 상승과 하락없이 횡보하는 모습을 보일 때 가장 좋은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구성종목

비중 1위는 미국상장 고배당 ETF SCHD에 약 5.66% 투자합니다. 해외계좌 개설, 환전 없이도 SCHD에 투자 할 수 있는 셈이죠.

그 외에 홈디포(HD) 4.19%,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VZ) 4.07%, 시스코시스템즈(CSCO) 3.96%,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Y) 3.95%가 상위 5개 종목입니다.

tiger 미국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구성종목 상위10개

기간별 성과

배당이 주목적으로 투자하는 경우 주가 상승으로 시세차익의 욕심은 내려놓기 마련인데, 수익률이 상당히 높은걸 알수 있습니다. 최근 횡보장이라 좋은 전략이 된 것 같네요.

수익률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 3개월 4.09%
  • 6개월 3.47%
  • 12개월 12.95%

배당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최근 분배내역을 살펴보겠습니다.

  • (24.9.30.) 92원
  • (24.8.30.) 94원
  • (24.7.31.) 98원
  • (24.6.28.) 95원
  • (24.5.31.) 95원

최근 1년을 기준으로 배당수익률 10.55%, 1주당 배당금 1,089원입니다.

배당 기여도를 확인한 결과 배당수익 10.55%, 주가 수익 약5.35%로 토탈리턴 15.89%입니다. 배당을 재투자했다면 최적의 성과를 낼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상장 배당 ETF가 415개 있는데요. 그중에서 배당수익률 2위를 했습니다.
1위는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이 했습니다. [배당수익률 12.03%]

 

정리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는 커버드콜 전략의 월배당 ETF입니다.

커버드콜 전략으로 보유한 주식에 대해 콜 옵션 판매로 수익성을 증대 시킬수 있고, 하락의 위험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옵션 전략에 전문 지식 없이도 개인 투자자가 이러한 투자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건 큰 장점입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미국 대표 지수들이 신고가를 연일 갱신했었는데요. 3분기 접어들면서 하락, 횡보하는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큰 폭의 상승과 하락이 없는 현재 상태가 오히려 커버드콜 전략에 유리하게 작용해 좋은 성과를 보여줬습니다.

SCHD는 미국 상장 고배당ETF로 서학개미 매수 1위를 할 만큼 유명한 배당 상품입니다. 오늘 소개한 TIGER 2호를 매수하면 해외 계좌 없이도, SCHD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앞으로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한다면 이익에 제한이 생깁니다. 결국 큰 상승을 놓칠 수 있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단기 투자 전략에 적합한 상품이라 경제 흐름과 시장 분위기를 잘 파악하며 투자해야 합니다.

더 보기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월배당 수익률 분석”

SOXX 구성종목 수익률 체크! 주가 전망은 어떨까?

SOXX 구성종목 수익률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주가 전망 SOXX 투자 시 알아두면 유용한 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개요

운용사: iShares
상장일: 2001. 7. 10.
기초지수: NYSESemiconductor TR
시가총액: $14,471.45M
총 수수료: 0.35%
현재가: $223.67

SOXX ETF는 미국 반도체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S&P500 지수에 편입된 반도체 관련 기업을 포함하고있어요. 반도체 제조업체, 설계, 관련 기술업체 등 반도체 산업 전체를 포괄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1-1. 운용 규모 순위 SOXX 구성종목

반도체섹터 ETF 중에서 운용규모 2위를 차지하는 인기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 1.  SMH Total Assets($22,656.90MM)
  • 2.  SOXX Total Assets ($14,082.80MM)

기술섹터 전체를 놓고봐도 운용 규모면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있습니다.

  1. QQQ [Invesco QQQ Trust Series I]
  2. VGT [Vanguard Information Technology ETF]
  3. XLK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4. SMH [VanEck Semiconductor ETF]
  5. IYW [iShares U.S. Technology ETF]
  6. SOXX [iShares Semiconductor ETF]

 

2. SOXX 구성종목

SOXX 구성종목 상위10개
SOXX 구성종목

구성종목 상위10개 종목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10.08%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건 브로드컴(AVGO)입니다.
그다음 순서대로 9.37% 엔비디아(NVDA), 7.56% 어드밴스드마이크로디바이시스(AMD), 6.13%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 5.39% 퀄컴(QCOM) 입니다.

총 35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섹터별 비중을 보면 100% IT섹터에 투자합니다.

규모별로 확인해보니 대형주에 78%, 중소형주에 22% 투자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대형주에 쏠려있습니다

3. 수익률

야후파이넨스에서 찾은 SOXX주가 차트
SOXX 주가

기준일 24.9.20.

  • 1주일 0.37%
  • 1개월 -3.61%
  • 3개월 -11.33%
  • 6개월 1.69%
  • 1년 43.63%
  • 3년 27.09%

과거 몇년간 성장세를 유지하며 높은 수익률을 보여줬는데요. 최근 3개월간 주가가 크게 빠진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급 성장한 만큼 단기적으로 조정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반도체 수요 증가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전기차,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5G통신, 사물인터넷 등 반도체 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많습니다.

4. 주가전망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결과를 참고해보면, SOXX의 주가는 여전히 강력한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223.67에서 약 25.9% 상승할 것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는데요. 최저 목표가 $217.21 ~ 최고 목표가 $342.68입니다.
구성 종목 32개 모두 현재 매수 또는 보유 의견으로 현재 반도체 관련주가 많이 하락한 부분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5. 참고사항

SOXX ETF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 알파 10.47 동일 카테고리 평균 -4.1
  • 베타 1.67 카테고리 평균 1.28
  • 샤프비율 0.47 카테고리 평균 0.01

알파(Alpha)는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포트폴리오가 벤치마크 지수 대비 어느정도의 초과 수익을 달성했는지 나타냅니다.
양수(+)알파 10.47은 그야말로 성공적인 운용 성과를 기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동일 카테고리 평균이 음수 알파 -4.1인걸 감안하면 정말 대단한 기록이죠.

베타(Beta)는 특정 자산, 포트폴리오를 전체 시장과 비교한 지표입니다. 베타가 1이라면 시장과 같은 흐름을 보인다는 의미이고, 1보다 크면 시장보다 변동성, 리스크가 크다는것, 1보다 작으면 그 반대를 뜻합니다.
해당 ETF의 베타는 1.67로 시장의 흐름보다 더 크게 반응합니다. 수익이 더 클수도 있고, 손실이 더 크게 날수도 있는것이죠.

샤프비율(Sharpe Ratio)은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해 위험 조정된 수익률을 측정한 것입니다. 쉽게 말해 샤프비율이 클수록 위험대비 더 높은 수익률을 내고있다는 것입니다. 샤프비율이 낮다는것은 위험대비 수익이 적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샤프비율이 1.3이면 위험당 1.3%의 초과 수익률을 얻은것 입니다. 보통 1이상이면 양호한 성과, 2 이상이면 아주 우수한 성과를 낸 것으로 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MSFT) ETF 종류와 주가 전망

마이크로소프트 ETF 종류와 주가 전망은 어떨까요?
국내상장, 해외상장 ETF 중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 20%이상 큰 비중으로 투자하는 ETF 3가지를 소개하고, 주가 전망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1. 마이크로소프트 비중 23.14% :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시총 1조 달러 이상의 미국 기술주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포함 미국 대형 기술주에 분산 투자하는데요. 기술주의 특성상 변동성이 크지만, 대형주에 분산투자해 안정성을 높인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외에 애플에 27.08%, 엔비디아에 23.72%를 투자합니다. 상위 3개 종목을 합치면 75.71%입니다. 투자 목표에 따라 빅3 종목에 포커스를 맞춰 투자하기 좋은 국내상장ETF네요. 연금계좌를 활용할 수 있어서 세금혜택도 받고,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자세히보기

 


 

2. 비중 23.14% : ACE 마이크로소프트 밸류체인액티브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하드웨어와 같은 관련 기업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성장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얻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펀드 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액티브 ETF로 비용은 높은 편입니다.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성과도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자세히보기


3. 비중 21.13% : XLK

S&P500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 중 기술주로만 구성한 ETF가 XLK입니다. 전반적으로 미국 경제 성장에 따라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패시브 운용방식으로 비용이 낮고,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기술주ETF로 유명한게 QQQ인데요. 알려진 것과 달리 기술주 ETF의 중심은 XLK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 비중을 보면 IT섹터에 100%투자됩니다. [QQQ의 IT섹터 투자 비중은 51%]

 

QQQ vs XLK 비교분석 자세히보기

 


마이크로소프트 주가전망 차트
마이크로소프트 12개월 목표가

4.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전망

위 3가지 펀드는 마이크로소프트에 20%이상 투자하는 ETF이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 상승과 하락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주가 전망을 알아보면, 앞서본 3개 펀드의 성과도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할 것 같은데요.

TIPRANKs를 참고해보면, MSFT의 12개월 평균 목표가는 $501.15입니다. 현재가 $438.69대비 약 14.24%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네요.

최저 목표가는 $470~ 최고 목표가 $550입니다.
최저 목표가가 현재가보다 높다는건 그만큼 현재 주가가 많이 빠져있다는걸 의미합니다.
30명의 애널리스트들의 분석결과 29명이 매수의견, 1명 보유, 매도의견은 0명입니다.

참고로 XLK의 목표가를 확인해봤는데요. 현재가 대비 약 13% 상승여력이 있다고 나왔습니다. 기술섹터 전반적으로 주가가 떨어졌고, 단기적으로 큰 상승은 기대하기 힘들지만 앞으로 IT관련 시장은 크게 확장될 것임에는 틀림없어보이네요.

 


5. 정리

마이크로소프트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 3가지를 알아봤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해외 거래 계좌를 개설해야하고, 환전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특성상 장기투자를 유도하고, 세금혜택도 받을 수 있어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방법입니다.

각각의 ETF를 정리해보면,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높은 안정성과 성장성, ACE 마이크로소프트 밸류체인액티브는 마소 상태계의 확장, XLK는 미국 기술 시장 전반에 걸쳐 투자가 가능합니다.

각각의 특성을 확인하고 투자자의 목표,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ETF 1일 성과 한눈에보기 Finviz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특징 장단점 요약 정리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기업으로 구성된 KEDI Global Generative AI Index를 기초지수로 초과성과를 추구하는데요.
구성 종목과 특징,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 기본개요와 수익률차트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

1.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기본 개요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2024.6.11.상장한 ETF입니다. 순자산총액 485억으로 국내상장ETF 889개중 328위입니다.
현재 한국투신운용에서 게시한 총 보수는 0.45%입니다. 여기에 매매중개수수료율까지 더하면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수수료율은 0.5756%입니다.
주식형ETF의 평균 수수료율이 0.5759%인걸 감안하면 비슷한 수치네요.

기초지수: KEDI글로벌생성형AI Index
상장주식수: 4,900,000주

2.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특징

2-1. 마이크로소프트 중심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는 능동적인 운용상품입니다. 한경지수 KDEI의 생성형AI 지수를 추종하면서 전문 운용사가 시장을 분석해 포트폴리오를 구성 및 조정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소프트웨어 등 관련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갖는 마이크로소프트에 25%내외로 집중 투자합니다. 그 외에 엔비디아, 메타, 퀄컴 등에 분산투자되어 리스크를 낮춰줬는데요.
섹터별 비중을 보면 IT 83%,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16%로 기술 성장주에 초점을 맞춘 펀드입니다.

2-2. 장점

액티브 ETF는 전문 운용팀이 투자 결정을 하게 됩니다.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와는 반대되는 개념이죠.
액티브는 시장 상황과 기업 분석을 통해서 투자 종목을 선택하고 비중을 조정합니다. 전문적으로 운용되어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글로벌 IT기업으로 꾸준한 성장을 했고, 오픈AI에 투자도 적극적으로 하는 모습입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갖는 기업입니다.

2-3. 단점

액티브 ETF의 특성상 운용하는데에 드는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전문 운용팀이 관리 분석을 하는데에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요. 다소 높은 수수료율은 장기적으로 수익률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는 항상 리스크가 따라오기 마련이죠. 마이크로소프트를 중심으로 IT 관련 대형 기업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 종목으로 생각되지만, 기업의 성장과 실적과는 별개로 예측할 수 없는 각종 리스크에 노출됩니다. 기술 산업은 특히 변화가 빠른 산업이라 주의를 해야합니다.

3. 투자 의견

신규 상장ETF는 유동성 확보가 잘되는지 꼭 확인해 봐야 합니다. 상장 초기에는 자금 유입도 잘되는 듯 보이지만, 이게 지속되는지 잘 살펴보고 투자 결정을 해야 하죠. 상장 후 시장 반응이 어떤지 관찰해보세요.

자산 운용사에서 새롭게 상장 시킨 ETF들을 살펴보면 현재 트렌드를 알 수 있습니다. 기초 자산군은 앞으로 주도할 산업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구성 종목을 확인해 주도주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IT섹터의 특성상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개별 이슈에 주가가 크게 변동 할 수 있지만 투자를 결심했다면 단기적인 변동성에는 휘둘리지 말아야 합니다.
운용사에서 전담 팀이 전문적으로 관리하지만, 투자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점검해야 합니다.

참고로 액티브 ETF는 운용자의 역량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를 통해 전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지만, 꾸준히 잘 관리되는지 투자자가 직접 점검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운용팀의 과거 성과를 조사한다거나 비슷한 ETF를 비교해보는것 입니다.
매수하기 전에 거래량과 괴리율을 확인한다면 적정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지정가 매수를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죠.


ETF 매수 전에 확인하세요 : 리스크 파악하기 추적오차, 괴리율 등

ACE ETF :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상세정보

저평가 주식찾기 : 가치투자 용어정리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종목 기대 수익률 비용 등 정리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미국 테크 기업들 중에서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인 종목에 투자합니다.
기술 산업의 성장성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인데요. 24년 9월 10일 상장했습니다. 미국 주식 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국내 자산운용사에서는 미국에 투자하는 다양한 ETF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 1조달러클럽에 포함되는 종목은 뭘까요?포트폴리오와 ETF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ETF 설명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ETF

1.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개요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입니다.  이름을 분석해 보면 KODEX는 삼성자산운용사의 ETF 브랜드명이고,
미국테크 1조달러기업은 한화로 시총 약 1,330조 원 이상을 기록한 기업을 의미합니다.
해당 ETF는 생성형AI를 이용한 서비스, pc, 스마트폰 등 인공지능 기술혁신에 핵심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미국 테크 빅3에 75%를 투자해 그야말로 우량주 3종 세트라고 볼 수 있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가 그 3종입니다.

상장일 기준 애플 27.2%, 엔비디아 25.8%, 마이크로소프트 23.4%비중을 차지합니다.
개별 종목의 최대 투자 비중은 25%이내로 입니다. 애플은 약간 초과되었네요.

2. KODEX 1조달러클럽: 구성종목

미국 빅테크 3대장인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를 약 25%의 큰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그 외에 알파벳A, 메타, TSMC, 브로드컴, ASML, 퀄컴 이 포함되어있네요.
섹터별 비중은 IT섹터에 83%, 통신 서비스 섹터에 약 16%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부 미국 기업으로 AI 산업 실적의 성장에 기대를 갖고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3. 기대 수익률과 리스크

과거 미국 기술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빠른 속도로 크게 오른 만큼 현재는 상승세를 약간 멈춘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미래 주도 산업은 여전히 빅테크가 이끌어 갈 것으로 예상되고, 현재 기대에는 못 미치지만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은 여전히 좋은 편입니다.
앞으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기대수익률은 높습니다.

기술 산업은 변동성이 큰 편이라 리스크 역시 큽니다.
특정 기업의 실적이 좋게 나오더라도, 기술의 변화나 기대감에 주가가 그만큼 오르지 못할 수가 있는데요.
개별 기업의 성과 외에도 예측하기 힘든 각종 이슈들에 주가가 크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투자 목표를 정해야합니다.

4. 비용과 배당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ETF는 연 0.3%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운용보수 0.269%, 수탁보수 0.02%, 그 외 0.11%의 사무, 판매보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보수는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총 보수가 아닙니다.
앞으로 투자 자금이 얼마나 유입될지, 운용 규모에 따라 총 부담 수수료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해당ETF는 성장주에 투자하는 펀드로 배당금은 크지 않습니다.
투자하는 기업 중 일부 배당금을 지급하는 종목이 있긴 하지만, 애초에 투자 목적은 주가 상승으로 차익 실현을 하는 것 입니다.
부수적으로 소소하게 배당금을 재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5. 핵심 정리

KODEX 미국테크 1조달러 기업포커스 ETF는 미국 기술 대형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구현합니다. 대형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리스크가 큰 기술주 임에도 안정적인 면을 갖고 있습니다. 해당ETF는 국내 상장된 미국 ETF로 ISA계좌나 연금계좌를 활용해 미국 기업에 투자 할 수 있다는게 상당히 큰 매력인데요. 세금 혜택을 받으면서 장기투자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상세보기

크라우드크트라이크 홀딩스 : CRWD 주가 전망

기술주 ETF : XLK QQQ비교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홀딩스 주식 CRWD 주가 전망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홀딩스(CrowdStrike Holdings, Inc : CRWD는 글로벌 사이버 보안 회사입니다.
최근 AI, 자율주행 자동차 등 미래 주도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보안 솔루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덕분에 크라우드 스트라이크의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 크라우드 스트라이크의 최근 이슈와 주가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홀딩스 사이버 보안. 디지털 화면에 좌물쇠가 5개있다. 희미하게 키보드 위에 손이 올려져있는 모습이 보인다.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홀딩스 – 사이버 보안

1.IT대란

지난 7월 글로벌 IT 대란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계와 크라우드 스트라이크의 업데이트 패치 충돌이 생겼는데요.
이 사태로 항공편이 마비되고, 병원 운영이 중단 되는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직접적인 피해액만 50억 달러를 초과합니다.

이번 일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덕분에 클라우드 기반의 보안 솔루션 수요가 증가했죠.
기업은 이것을 계기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2.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주가

이번 사태로 CRWD의 주가는 11% 급락한 반면, 경쟁사는 약 5%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4% 하락했죠.
주가에 큰 타격을 받은 뒤 약간의 반등은 보였지만 여전히 횡보하는 모습입니다.

24.9.13. 기준 6개월 수익률 -21.92%, 3개월 수익률 33.63%, 최근 5일 4.34%입니다. 그간 얼마나 큰 폭의 하락이 있었는지 알 수 있죠.
일각에서는 이번 하락이 단기적 이슈로 기인한 것이라 매수 기회라고 말합니다. 하락의 이유야 어찌됐든 중요한 건 이것을 발판으로 기업이 앞으로 어떤 모습을 보여주느냐 입니다.

3. 핵심 기술 및 입지

CRWD의 핵심 기술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사이버 공격을 탐색하고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악성코드, 비정상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차단하며 대응하는데요.
전세계의 데이터를 수집해 사이버 위협의 패턴을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모듈형으로 설계되어있어, 기업이 활용하기 편리하게 기능을 추가하거나 조정하도록 되어있습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는 사이버 보안의 선도 기업 중 하나입니다. 업계의 주요 리더로 자리잡고 있죠.
정부 기관, 금융 기관, 기업이 주요 고객층입니다. 시장 지배력은 어느정도 잡혀있는 기업입니다. 앞으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며 시장을 더욱 확장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4.전망

사이버 보안 사건이 있었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평가가 많습니다. 이번 사고로 주가 하락이 오히려 매수 기회라고 보는 투자자들도 있으니까요. 애널리스트들의 분석결과를 참고해보면, 현재가 대비 약 25.17%의 상승 여력이 있다고 합니다.

현재가 $259.51, 평균 목표가 $325.17 ( 목표가 최저 $265 ~ 최고 $420)
예상 목표가 최하 가격이 265달러로 현재가 보다 높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폭락한 덕분인 것 같네요. 이번 일을 계기로 전화위복 할지 기대가 되는 기업입니다.

총 40명의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34명 매수, 5명 보유, 1명 매도 의견으로 “강력 매수”입니다.

주가 전망은 밝지만 위기 대응 능력은 다시 한번 평가를 받아 봐야하지 않을까요.
덧붙여 현재 시장 전반의 상황을 고려해 투자 결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자신의 투자 목표와 리스크 감당 능력을 점검해보세요.

 


 

리스크 파악하기 : ETF 추적오차, 유동성, 비용

국내 자산운용사 비교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주가 전망 상세보기 : Tiprank

JEPI 월배당 ETF 투자하기 괜찮을까?

JEPI (제피)는 매달 배당금을 주는 ETF입니다.  23년 배당수익률이 평균 10.59%에 달하는데요.  24년 현재까지 약 7.56%의 배당금 수익률을 제공했습니다. 제2의 월급을 만들수 있는 월배당 ETF에 관심이 가시나요? 여기서 JEPI의 주요 정보와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JEPI 주가전망 차트. TIPRANKS
JEPI 12개월 목표가

1.JEPI 개요

  • 운용사: JPMorgan
  • 출시일: 2020. 5. 20.
  • 순자산총액: $34.96B
  • 총 수수료: 0.35%
  • 현재가 : $58.35

JEPI는 연 7% 정도의 배당 수익률를 제공하고, 매달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최근 1년 기준 1주당 배당금은 $4.19입니다. 순 자산 총액 약 349억 달러로 안정적인 규모입니다.
일반적으로 $1B = 십억달러 이상이면 ETF 상장 폐지의 위험도 낮고, 충분한 유동성을 갖춘 안정적인 규모로 볼 수 있습니다.

2. 포트폴리오

JEPI는 약 130여 개의 종목을 담고 있습니다.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이 15%내외로 한 종목 당 2%를 넘지 않습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프로그레시브(PGR) 1.71%이고 두 번째는 트레인테크놀로지(TT) 1.67%입니다.
그 외 메타(META), 에브비(ABBV), 엔비디아(NVDA)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섹터 비중을 보면 JEPI는 다양한 산업에 분산 투자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IT섹터에 19%, 헬스 케어 15%, 산업재 13%, 금융 11% 그 외 소비재, 유틸리티, 통신 서비스, 부동산 등에 투자합니다.

3. JEPI 성과

1개월 수익률 4.15%, 6개월 5.96%, 1년 수익률 13.55%입니다. 최근 몇 달간 기술주의 하락세가 크다 보니 배당주가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좋아보이는데요.

연간 배당금 4.19달러, 배당 수익률 7.19%를 기록했습니다. 최근 배당금 지급은 9월 3일 0.4달러가 지급되었네요.

4. 투자 시 주의 사항

JEPI는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해 배당금을 높이게 됩니다. 커버드콜 전략은 주가가 급등하는 시기에는 되려 수익률에 제한이 생기게 되는데요. 앞으로 주가가 보합세를 유지할 것 같다면 주가 상승 시세차익과 배당금 둘 다 노릴 수 매력적인 ETF입니다.
JEPI와 같은 액티브 펀드는 펀드 매니저의 역량이 펀드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매니저의 능력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지게 되죠. 반대로 펀드 매니저가 잘못된 결정을 하거나, 시장 예측을 잘못한다면 손실이 날수도 있습니다.
JEPI는 0.35%로 낮은 수수료율을 부담하지만 장기적으로 JEPI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을 참고해보면, 보유 종목 중 102개는 매수, 18개 보유로 매도 의견은 0개입니다.
예상 평균 목표가 $63.48로 현재가 $58.28보다 약 8.93%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결과도 있는데요.
최저 목표가 $53.2 ~ 최고 목표가 $71.85로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매월 배당금으로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는 JEPI.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투자 옵션이지만, 커버드콜 전략의 제한점과 펀드 매니저의 능력, 투자 구성 종목,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해 투자해야 합니다.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결과를 보면 투자 공부에 도움이 됩니다. : TIPRANKS

ETF 배당금 찾아보는 방법 : SeekingAlpha

ETF 세금 이야기 : 같은종목에 투자해도 세금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