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ETF 세금 및 투자 주의사항

최근 한 달간 국내 상장 ETF 중 자금 유입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ETF. 코스닥 시장의 대표지수를 2배의 수익률로 추종하며, 급등락장 속에서 기회를 노리는 투자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ETF의 개요, 세금 구조, 수익률 계산법, 투자 시 유의사항까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정리해드립니다.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ETF 세금 수익률 투자 유의사항

1.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ETF 개요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출시일: 2015년 12월 17일
  • 기초지수: 코스닥150 (KOSDAQ 150)
  • 순자산총액: 20,056억 원 (국내 ETF 중 순자산 19위)
  • 총보수율: 1.1591%
  • 투자위험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는 코스닥150 지수를 일일 수익률의 2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형 ETF입니다. 일반 ETF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크기 때문에 단기 트레이딩 전략에 더 적합합니다.

2. 코스닥150 지수란?

코스닥150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중 유동성,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선별된 150개 종목으로 구성된 대표지수입니다. 구성 종목은 반기마다 정기적으로 변경되며, 2010년 1월 4일 종가 1,000포인트를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주요 포함 업종은 바이오, 2차전지, 반도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등 고성장 기술 중심 기업군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수 자체의 변동성이 크고 민감하게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3. 레버리지 ETF의 세금 구조

많은 분들이 ETF 투자 수익은 비과세라고 알고 있지만, 이는 국내 주식형 ETF에만 해당합니다.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는 국내 기타형 ETF로 분류되며, 매매차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하지만 이 과세는 실제 매매차익 전체가 아닌 ‘과표기준가 증가분’에 한해서 적용되므로, 실제 부담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과세 기준 예시

  • 매수일: 1월 5일, 매입가 7,000원 / 당시 과표기준가: 7,200원
  • 매도일: 3월 5일, 매도가 8,000원 / 당시 과표기준가: 7,900원
  • 실 매매차익: 1,000원
  • 과표기준가 증가분: 700원
  • 세금: 700원 × 15.4% = 107.8원

또한,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이하라면 종합과세 대상이 아니므로,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에게는 세금 부담이 크지 않습니다.

4. 수익률 및 투자 시 유의사항

  • 3개월 수익률: -8.83%
  • 연초 대비 수익률 (YTD): +7.73%
  • 1년 수익률: -39.35%
  • 25.4.기준

🚨 레버리지 ETF 수익률 계산 주의사항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는 일일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복리 효과로 인해 수익률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5%, -5%를 반복해도, 단순 2배 수익률이 아닌 누적 수익률은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높은 총보수(1.1591%) 역시 장기 보유에 불리한 구조로, 단기 매매 전략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5. 투자 전략 및 마무리 코멘트

레버리지 ETF는 ‘타이밍이 생명’입니다. 특히 시장 전체가 과도하게 하락한 구간에서는, 반등에 성공할 경우 일반 ETF 대비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구조입니다.

📈 반면, 반등이 지연되거나 추가 하락 시 손실도 2배로 확대되기 때문에, 무작정 매수하기보다는 분할 매수 전략, 손절 기준 설정, 보유기간 최소화 등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Tip: 급락장 이후 저점에서 진입하여 빠르게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라면, 레버리지 ETF는 짧은 시간 안에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리스크 또한 크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TIGER 미국S&P500 ETF 분석

TIGER 미국S&P500

TIGER 미국S&P500 ETF는 한국판 SPY로 불리기도 합니다.
투자자금 유입이 크게 늘면서 국내상장 주식형ETF 순자산2위를 기록하고있는데요.

지난해 4월과 비교했을 때 수수료 변화, 환헤지 여부에 따른 수익률 차이 등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TIGER 미국S&P500 개요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출시일: 2020년 8월 7일
  • 순자산 규모: 80,025억 원
  • 기초지수: S&P 500
  • 총보수: 0.2019%
  • 현재가: 21,335원

TIGER 미국S&P500 ETF는 국내 상장 주식형 ETF내에서 순자산 규모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만 해도 3조 원 규모였으나, 현재는 8조 원을 돌파하면서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 변화 비교

기준일순자산(AUN)주당 가격수수료
2024년 4월31,390억 원17,605원0.1716%
2025년 3월80,025억 원21,335원0.2019%

지난해와 비교했을때 꾸준한 주가상승, 자금유입으로 순자산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아쉽게도 수수료도 높아졌네요. 아마도 운용 비용 증가 및 시장 환경 변화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2. 환헤지 영향

TIGER 미국S&P500 운용성과

TIGER 미국S&P500 ETF는 환노출형입니다. 환율 변동의 영향을 직접 받게되는데 현재 환율(1,450원대)이 상승하면서 ETF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환헤지에 따른 수익률 비교

  • 환노출형: +15.53%
  • 환헤지형: +5.15%

최근 6개월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환노출형의 수익이 크게 앞서있는걸 알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인데요.

환율 상승기에는 환노출형이 유리하지만, 반대로 환율이 하락할 경우 환헤지가 더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주가가 하락한다면 어떨까요? 3개월 투자 수익률을 비교해보면

  • 환노출형: -1.40%
  • 환헤지형: -4.45%

S&P500지수가 최근 조정받는 모습을 보이고있습니다. 3개월 수익률이 손실구간에 들어왔습니다.
주가는 하락했지만 환율을 오르고있는 상황이라 환노출형은 손실 방어 효과를 보고있습니다.

현재 1,450~1,460원대 환율이 과도하게 높다고 판단된다면, 향후 환율 하락을 예상하고 환헤지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구성 종목

S&P500 지수는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500개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TIGER 미국S&P500 ETF는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투자 비중이 결정됩니다.

▶상위 보유 종목

  1. 애플 (7%)
  2. 마이크로소프트 (5%)
  3. 엔비디아 (5%)
  4. 아마존 (3%)
  5. 메타 (2%)
  6. 알파벳 A (1%)
  7. 버크셔 해서웨이 B (1%)
  8. 브로드컴 (1%)
  9. 알파벳 C (1%)

상위 10개 종목이 포트폴리오의 34%를 차지하며, 나머지 490개 종목은 2% 미만의 비중으로 분산 투자됩니다.

4. 수익률 및 분배금

▷수익률 (2025년 3월 기준)

기간수익률
1개월-1.23%
3개월-0.23%
YTD-2.40%
1년26.49%
3년18.18%

▷분배금

  • 연간 배당률: 1.08%
  • 최근 배당: 1주당 45원
  • 배당 지급 일정: 1월, 4월, 7월, 10월 (분기 배당)

▷1년 총 수익률 (토탈 리턴)

  • 주가 상승률: 25.41%
  • 배당 수익률: 1.08%
  • 총 1년 수익률: 26.49%

5. 전망 및 투자 전략

S&P500 ETF의 향후 움직임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인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 미국 연준(Fed)의 금리 정책
    •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경우, 증시 상승 가능성 증가
    • 반대로 금리 동결 또는 인상 기조가 유지되면 조정 가능성 존재
  2. 빅테크 기업 실적 발표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는지 여부가 중요
    • 긍정적 실적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주가 조정 가능성 존재
  3. 미국 경제 연착륙 vs 침체 가능성
    • 경제가 연착륙하면 증시 상승 전망
    • 반대로 경기 침체가 현실화되면 S&P500 지수도 하락할 가능성 있음
  4. 지정학적 리스크
    • 글로벌 공급망, 미중 무역 갈등, 전쟁 등의 변수로 인해 변동성 지속

월가 전망 (S&P500 ETF 목표가)

예상 목표가가격 ($)
최저566.41
최고816.27
평균704.03

현재가(594달러) 대비 22%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6. 요약 정리

TIGER 미국S&P500 ETF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투자처로 적합합니다.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S&P500 지수를 추종하며,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패턴을 보여왔습니다.

  • 금리 인하 기대감AI 혁신이 지속된다면 긍정적인 전망 유지
  • 환율 변동성에 따라 환헤지 여부를 전략적으로 선택할 필요 있음

앞으로도 시장 변화를 주기적으로 분석하며 투자 전략을 업데이트해 나가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스닥 100지주 2배 활용법: 레버리지 QLD 뜻, 배당

QLD : 나스닥100 지수의 성과를 2배로 추적하는 레버리지 ETF

나스닥100지수는 금융섹터를 제외한 기술주 중심의 100개기업을 포함합니다.

미국 주요 지수중 하나로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는 QQQ가 있습니다.

오늘은 QQQ의 2배레버리지 상품인 QLD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QLD ETF 나스닥100지수의 일일 성과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

1. QLD ETF

QLD(ProShares Ultra QQQ)는 나스닥100 지수의 일일 성과를 2배로 추적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즉, 나스닥100 지수가 하루 동안 1% 상승하면 QLD는 2% 오르고,
반대로 1% 하락하면 2% 떨어집니다.

QLD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6년 6월 19일
기초지수NASDAQ 100 Total Return Index
순자산산$7,902.7M
수수료0.95%
현재가$112.92

QLD는 나스닥100 ETF인 QQQ의 2배 레버리지 상품으로,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일일 기준 2배 수익을 추적하는 구조로 나스닥100지수의 단순 2배 성과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2. 구성 종목

QLD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만큼,
주요 구성 종목도 동일합니다.


현재 주요 보유 종목은
애플 (AAPL), 마이크로소프트 (MSFT), 엔비디아 (NVDA), 아마존 (AMZN),브로드컴 (AVGO),,

이외에 국채 및 스왑 계약을 포함합니다.

3. 수익률 및 배당

📈 최근 수익률

수익률
1개월1.47%
3개월14.09%
6개월30.68%
(YTD) 연초대비4.32%
1년36.85%

💰 배당내역

연간 배당률: 0.24% (적은 수준)

배당 지급 내역 (분기 배당)

  • 2024.03.20: $0.06
  • 2024.06.26: $0.11
  • 2024.09.25: $0.05
  • 2024.12.23: $0.06

QLD는 레버리지 ETF임에도 배당을 지급하지만, 배당금이 크진않습니다.

4. 투자 전략

리스크 관리

QLD는 횡보장에서 장기 보유 시 기대 수익이 낮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10%이내로 제한,
손절매 구간 설정 (10% 하락 시),
장기 보유는 지양하는 등
투자 전 계획을 세우세요.

효과적인 투자 전략

나스닥100 지수가 급등하는 강세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 특징에 따라 금리 인하 기대감이 클 때 매수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단기 및 스윙 트레이딩에 적합하며,

손절매 및 추가 매수 전략 수립이 필수입니다.

5. 핵심 요약

QLD는 나스닥100지수 2배추종 레버리지 ETF입니다.

강세장에서 빠르게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상품이지만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여 단기 트레이딩 및 리스크 관리 전략을 철저히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LD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 주식시장이 대세 상승장이거나,
  • 보유하고있는 나스닥100ETF가 일시적인 이슈 등으로 5%이상 크게 하락 했을때,
  • 단기적인 이슈들(기업 실적발표, 금리 발표 등)이 공개되는 시점 전후로 주가의 흐름을 보고 매수할 수 있습니다.

>> 나스닥100 ETF 투자 분석

>> QLD 공식홈 바로가기

>> 국내상장 나스닥100ETF 5개 비교표

S&P500 종류 알고 국내 미국상장 성공 투자하기

S&P500 종류 를 크게 국내상장, 미국상장으로 나눠보고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

이 글을 보시고나면 내가 투자하고싶은 S&P500 ETF가 무엇인지 현명한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S&P500 종류

1. S&P500 ETF란?

S&P500 ETF는 미국 대표 주가 지수인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뜻합니다.


S&P500 지수는 미국 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의 주가 흐름을 반영하는 지수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tandard & Poor’s)에서 작성하는 이 지수는
다우존스, 나스닥과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3대지수 중 하나입니다.

400개 종목의 공업, 20개의 운수업, 40개 공공, 40개 종목의 금융업 등 총 500개의 종목 주가를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S&P500 ETF는 해당지수에 포함된 500개 기업을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투자합니다.


ETF 1주만 매수해도 500개 기업에 분산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율적인 투자 상품입니다.

2. 특징

S&P500 지수에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구 페이스북) 등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IT, 소비재, 산업재 등 다양한 산업을 포함하고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업들로 구성되어있어
미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그대로 반영하는 지수로 평가받습니다.

ETF의 가장 큰 장점은 간편한 분산투자입니다.

투자자가 개별 종목을 일일이 분석하거나 선택할 필요 없이, ETF 1주만으로도 수백 개 기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며, 초보 투자자도 상대적으로 낮은 리스크로 투자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편리하게 제공합니다.

3. s&p500 종류

S&P500 ETF는 해외 상장(미국 상장) ETF국내 상장 ETF로 구분됩니다.

▷ 해외 상장 ETF

해외 상장 ETF는 해외 주식 계좌와 달러 환전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ETF 옵션, 높은 운용 규모와 유동성, 그리고 낮은 수수료율이 장점입니다.

  • SPY: 1993년 상장된 역사 깊은 ETF로 순자산 613,547M 달러(원화로 약 797조 원)에 달하며, S&P500 종류 중 가장 큰 규모, 아주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 VOO: 뱅가드(Vanguard)에서 운용하며, 0.03%의 낮은 수수료로 SPY의 대체재로 인기 있습니다.
  • IVV: 블랙록(BlackRock)에서 운용하는 ETF로, 0.03%의 낮은 수수료와 풍부한 유동성을 자랑합니다.
  • SPLG: 1주당 가격이 다른 ETF보다 약 8배 저렴하며, 0.02%의 가장 낮은 수수료율을 제공합니다. 소액 투자나 적립식 투자에 적합합니다.

    [참고로, 25.1.14.기준. SPLG의 1주당 가격은 $68.41 SPY $581.39.]

▷ 국내 상장 ETF

국내 상장 ETF는 국내 주식 계좌로 바로 거래가 가능해 접근이 비교적 간편하고,

ISA, 연금저축계좌 등 절세계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상장 SPY의 한국판이며, 똑같은 투자 전략으로 모든 증권사에서 운용할 정도로 대표적인 인덱스펀드입니다.

  • TIGER 미국S&P500: 미래에셋자산운용 2020년 상장. 순자산 73,013억 원, 연배당률 1.19%.
  • KODEX 미국S&P500: 삼성자산 운용, 환노출형(H)과 배당금을 자동 재투자하는 TR형 두 가지 옵션 존재.
  • ACE 미국S&P500: 한국투자신탁 운용, 0.1725%의 수수료율을 제공.
  • RISE 미국S&P500: KB자산운용 운용, 0.1633%로 가장 낮은 수수료율. 순자산 7,932억 원 규모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 국내상장 전체를 놓고 본다면, 적은 숫자는 아닙니다.
  • 이외에도 키움(KOSEF), 한화자산운용(ARIRANG), 우리(WOORI) 등 총 8개가 있습니다.

▷ 레버리지 ETF

S&P500 기초지수의 변동의 2~3배의 성과를 추적하는 ETF입니다.

  • SSO: 2배
  • UPRO: 3배

▷ 인버스 ETF

S&P500 지수의 역방향 성과 추적 (-1~ -3배)

  • SH: -1배
  • SDS: -2배
  • SPXU: -3배

4. 수익성과 배당

S&P500 ETF는 장기 투자에 적합한 상품으로 평가됩니다.


역사적으로 S&P500 지수는 10년 이상 투자 시 상당한 수익을 기록했으며, 200%를 넘는 수익률을 보여준 시기도 있습니다.


S&P500ETF의 연간 배당률은 평균 1.1%내외로 소소한 편이지만
꾸준한 배당금과 높은 배당 성장률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괴리율이 0.01%수준으로 신뢰도 높고,
BETA수치 1미만으로 시장 전체의 변동폭 대비 민감도가 낮습니다.

참고로 달러 평균 매수(DCA) 전략을 활용하면 시장 변동성을 줄이면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국내상장ETF는 절세계좌(ISA, 연금저축)를 활용하면 투자 수익의 세금을 절약할 수도 있습니다.

5. 총정리

S&P500 ETF는 투자 대가 워런 버핏이 추천하는 인덱스펀드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갖춘 투자 상품입니다.
투자 목표와 성향에 따라 해외 상장 또는 국내 상장 ETF를 선택하세요.

  • 해외 상장 ETT는
    다양한 옵션과 달러 보유, 낮은 수수료, 풍부한 유동성으로 안정성 및 신뢰도 확보.
  • 국내 상장 ETF는
    접근의 편리성, 절세 계좌 활용가능, 투자 전략에 따라 환헤지 등 활용가능.
S&P500 ETF 비교표 click
S&P500 ETF국내상장해외상장
통화원화달러
수수료율0.12~0.81%0.02~ 0.09%
세금매매차익 15.4%

분배금 15.4%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손익통산X
매매차익 22%
(250만원
공제)

분배금 15.4%

금융소득종합과세는 분배금만 해당.

손익통상O
기타절세계좌활용환차익 기대

모든 S&P500 ETF는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운용 규모, 수수료, 환헤지 여부, 분배금 재투자(TR) 옵션 등을 고려해 선택하면 됩니다.

ETF 투자 성공의 비결은 꾸준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S&P500 ETF는 시간과 함께 투자 가치를 증명할 것입니다.

>> 미국상장 S&P500 ETF 모보기

>> 국내상장 S&P500 ETF 모아보기

>> S&P500 시총가중 vs 동일가중 비교

>> S&P500 인덱스 펀드를 추천하는 이유

캐시우드 포트폴리오 돈나무언니 매수,매도 종목은?

캐시우드 일명’돈나무언니’로 알려져 있는 ARK Invest창립자입니다.

ARK Invest(아크인베스트)는 혁신 기술에 투자하는 ETF를 운영하는거로 유명하죠.

워런 버핏, 레이달리오, 켄피셔와 같은 큰손 투자자 중 한명이고,

올해 가장 큰 수익률을 기록한 투자자가 캐시우드입니다.

그녀의 투자 전략과 보유 종목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유망한 혁신 기업은 어디일지, 그 아이디어를 엿보도록 하겠습니다.

1.캐시우드

글로벌 혁신 투자자 캐시우드는 미래 성장 산업을 이끌어갈 기업을 발굴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인정받은 투자자입니다.

ARK Invest에서 운용하는 대표ETF ARKK는 혁신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로 주목 받고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그녀는 특히 인공지능, 유전자 편집, 핀테크, 클라우딩 컴퓨팅, 메타버스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혁신 테마에 주로 투자합니다.

24년 3분기 내로라하는 투자 대가들을 제치고 46.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수익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2.보유종목

캐시우드
  • 테슬라(TSLA) 10.98%
  • 로쿠(ROKU) 7.66%
  • 코인베이스 글로벌(COIN) 5.28%
  • 로블록스(RBLX) 4.79%
  • Block(SQ) 4.07%
  • Robinhood(HOOD) 3.85%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PLTR) 3.75%
  • 쇼피파이(SHOP) 3.42%
  • CRISPR 세러퓨틱스(CRSP) 3.22%
  • UiPath(PAHT) 2.45%
  • 인텔리아 세러퓨틱스 (NTLA) 2.29%
  • 10X Genomics(TXG) 2.22%
  • Twist Bioscience Coporation 2.21%
  • DraftKings(DKNG) 2.16%
  • 메타 (META) 2.08%
  • Recursion Pharms(RXRX) 1.98%
  • 테라다인(TER) 1.88%
  • ARKB 1.82%
  • PagerDuty(PD) 1.65%
  • 베라사이트(VCYT) 1.53%
  • Beam(BEAM) 1.46%
  • Unity Software(U) 1.38%

3.매수

캐시우드의 포트폴리오는 상당히 많은 기업을 보유하고있고,

24년 3분기 기준. 매수 종목 52개 매도 종목은 100개가 넘습니다.

그 중에서 눈에 띄는 종목만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신규매수

애플을 소량 매수했고, 새롭게 매수한 종목 중 가장 큰 비중은 MKFG입니다.


백만주 이상 신규 매수한 마크포지드 홀딩은 플랫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소재를 설계하는 기업입니다.

항공우주, 에너지, 자동차, 전자 제품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제조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추가매수

기존 보유 비중에서 약 5배에 해당하는 주가를 추가 매수한 종목은 아이보타입니다.

온라인 서비스업으로 IPN이라는 단일 네트워크를 이용해 소비자에게 디지털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기술 회사입니다.

두 번째로 기존 대비 3배 비율을 추가 매수한 템퍼스AI는 여러 질병을 진단하고 개인별 맞춤 의료를 지원하는 기술을 가진 기업입니다.

이 외에 아마존, 종양학 회사 가단트 헬스, 반도체회사 AMD, 소셜플랫폼 레딧 등이 있습니다.

4.매도

부분매도

  • ZOOM Video(ZM)
  • IWF
  • SPY
  • VUG

매도 종목 중 눈에 띄는 건 99.95% 거의 전량 매도한 줌입니다.

24년 1분기부터 비중을 줄이기 시작해 3분기 99.9% 매도했습니다.

IWF, SPY, VUG는 모두 상장지수펀드로 미국 대표 지수 S&P500과 미국 성장주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IWF : 러셀100지수를 추종. 미국 중대형주 1000개 기업 투자.

SPY : S&P500지수를 추종.

VUG : CRSP US Large Growth 지수 추종. 대형 성장주

특징

캐시우드 포트폴리오 종목에는 큰 특징이 있습니다.

  • 기술 중심 : AI, 핀테크, 유전자 편집 등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
  • 고성장 : 장기적인 성장, 점유율을 중요시함
  • 변동성 : 리스크가 크더라도 가능성에 초점
  • 테마주 : 아주 명확한 테마를 보유

포트폴리오 비교

워런버핏의 포트폴리오는 어떨까?

미국 투자의 거장들이 추천하는 투자상품

워런버핏 종목은? 매수 매도 보유 현황 포트폴리오

워런버핏 Warren Buffett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존경받는 투자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워런 버핏의 투자 종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투자 대가의 포트폴리오를 보고, 매수와 매도 종목을 알아보는 것 만으로도

주식 시장을 전망하는데 아주 유용한 정보가 될 겁니다.

1. 워런버핏

“10년 이상 보유할 생각이 없다면 단 하루도 보유하지 마라”

워런버핏의 유명한 명언 중 하나입니다.

버핏의 투자 철학이 그대로 나타난 한 문장이죠.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회장,

CEO인 그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토대로 종목을 선정합니다.

그의 투자 특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가치투자
  • 단순한 사업 구조 선호
  • 기업 본질적 가치에 기반한 장기투자
  • 재무 건전성 및 수익성을 최우선 고려
  • 군중 심리를 배제한 논리적, 데이터 중심의 투자

2. 보유 종목

워런버핏이 보유하고 있는 종목 리스트.
[24년3분기 기준]

워런버핏 보유종목

[매수종목: %(붉은색), 매도종목 %(푸른색)]

  • 애플(APPL) 26.24%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XP)15.44%
  • 뱅크오브아메리카(BAC) 11.88%
  • 코카콜라(KO) 10.79%
  • 쉐브론(CVX) 6.56%
  • 옥시덴털 페트롤리움(OXY) 4.94%
  • 무디스(MCO) 4.4%
  • 크래프트 하인즈(KHC) 4.29%
  • 처브(CB) 2.93%
  • 다비타(DVA) 2.22%
  • 씨티그룹C) 1.3%
  • 크로거(KR) 1.08%
  • Sirius XM Hldgs(SIRI) 0.93%
  • Verisigh(VRSN) 0.91%
  • 비자(V) 0.86%
  • 마스타카드(MA) 0.74%
  • 아마존AMZN) 0.7%
  • 에이온(AON) 0.53%
  • 캐피털 원 파이낸셜(COF) 0.51%
  • Nu Holdings(NU) 0.44%
  • 앨라이 파이내셜(ALLY) 0.39%
  • T-모바일 US(TMUS) 0.36%
  • 차터 커뮤니케이션(CHTR) 0.34%
  • 루이지애나-퍼시픽(LPX) 0.24%
  • Liberty Media(FWONK) 0.22%
  • 도미노피자(DPZ) 0.21%
  • Liberty Media(LLYVK) 0.21%
  • (LLYVA) 0.09%
  • 헤이코(HEI.A) 0.08%
  • 풀 코퍼레이션(POOL) 0.06%
  • NVR(NVR) 0.04%
  • Liberty Latin Class A(LILA) 0.01%
  • 제프리스(JEF) 0.01%
  • 디아이지오(DEO) 0.01%
  • 레나 Class B(LEN.B) 0.01%
  • VOO 0.01%
  • SPY 0.01%

<’24. 4분기 요약 추가>

24년 4분기 비중 조정 요약

  • 매수 종목: 옥시덴탈, 베리사인,SIRI, 컨스텔레이션브랜드, 도미노피자, 풀
  • 매도 종목: NU, 루이지애나 퍼시픽, 리버티 미디어, Charter 커뮤니케이션, T모바일,시티,뱅크오브아메리카
  • 특징; 금융주 비중 축소, 내수 소비 및 에너지 비중 확대.

▷장기투자 3종목

가장 오랜 기간 보유한 종목은 282개월로

무려 23년간 유지하고 있습니다.

23년이상 장기 보유 종목:
아메리칸엑스프레스, 코카콜라, 무디스

3. 매수 종목

3-1신규 매수

  • 도미노피자(DPZ)
  • 풀 코퍼레이션(POOL)

풀 코퍼레이션(POOL)은

글로벌 수영장 용품 및 장비 유통 업체로 미국, 캐나다, 유럽 등

410여 개의 판매점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3-2추가 매수

  • Sirius XM Hldgs(SIRI)
  • 헤이코(HEI.A)

비행기 엔진 부품 생산 업체인 헤이코는 방위산업 관련주입니다.

비행기에 꼭 필요한 부품이지만 만들 수 있는 회사는 제한적입니다. (군사용 비행기 포함)

4. 매도 종목

4-1전량 매도

  • 리버티 시리우스(LSXMK)
  • 리버티 시리우스(LSXMA)
  • 플로어&데코홀딩스(FND)

4-2부분 매도

  • 울타뷰티(ULTA)
  • 차터 커뮤니케이션(CHTR)
  • 애플(APPL)
  • 뱅크오브아메리카(BAC)
  • Nu Holdings(NU)
  • 캐피털 원 파이내셜(COF)

특징

워런버핏이 매도하고 매수한 종목을 정리해 보면,

애플, 뱅크오브아메리카, 차터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주요 투자 종목과 금융 관련주를 매도했습니다.

반면, 도미노 피자 풀 코퍼레이션과 같은 소비재 기업을 매수했습니다.

브랜드파워를 갖고 있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어낼 기업에 투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 투자 대가들이 추천하는 투자 상품 단 1가지

▷ 나에게 맞는 ETF 찾기

▷ 버핏이 투자한 VOO vs SPY 비교

코스피(KOSPI) ETF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코스피(KOSPI) ETF 국내 대표지수인 코스피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추적하는 상장지수펀드를 의미합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수는 주권으로 929개, 기업으로 816개입니다.

[참고로,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은 1,654개]

코스피지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관련 ETF 종류와 특징들을 비교해 가며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ETF

코스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된 종목을 산출한 지수로 국내 경제지표 중 하나로 활용됩니다.

구성 종목을 살펴보면 (시총이 큰 순서)

  • 삼성전자 (시총 3,199,803억 원)
  • SK하이닉스 (1,156,068억 원)
  • LG에너지솔루션 (916,110억 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691,100억 원)
  • 현대차 (452,339억 원)
  • 셀트리온 (400,727억 원)
  • KB금융 (379.361억 원)
  • 삼성전자우 (375,236억 원)
  • 기아 (374,608억 원)
  • NAVER (322,419억 원)

코스피(KOSPI) ETF

KODEX코스피

24.12.2.기준KODEX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15.8.24.
순자산3,710억 원
수수료0.1729%
현재가-25,195원
  • 특징

운용 규모가 가장 크며,

투자 종목 수 742개로 코스피에 상장된 다수의 종목에 투자합니다.

규모로 봤을 때 대형주에 83%, 중형주 10.7% 소형주에 약 1.6%의 투자 비율을 보여줍니다.

KODEX코스피 TR

KODEX코스피TR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07.21.
순자산275억 원
수수료0.1151%
현재가12,270원
  • 특징

앞서본 삼성자산운용의 코스피 (TR) 상품입니다. 토탈리턴(Total Return)은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코덱스 코스피의 연간 분배율은 2.38%인데 해당 ETF는 분배금을 재투자하게 됩니다.

복리 투자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비교해보면 수익률은 오히려 TR이 뒤처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TIGER코스피

TIGER코스피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17.08.31.
순자산1,310억 원
수수료0.1832%
현재가25,400원
  • 특징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국내 ETF 시장을 선도하는 자산운용사입니다.

특히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데요.

국내 상장 ETF의 운용 규모를 보면 상위 1~2위를 다투는게 TIGER와 KODEX입니다.

TIGER코스피의 구성종목은 총 810개로 코스피 상장된 모든 종목에 투자합니다.

여기서 소개한 etf 중 가장 많은 종목에 투자하며,

소형주 비중도 1.76%로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합니다.

ACE코스피

ACE코스피
운용사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18.10.05.
순자산64억 원
수수료0.0898%
현재가25,445원
  • 특징

아주 낮은 수수료율(0.0898%)이 장점입니다.

18년도에 상장해 운용 기간이 7년 차에 접어들었는데도 순자산총액 64억 원으로 솔직히 투자하기에 망설여지는 규모입니다.

국내상장 ETF는 상장폐지 관리대상 기준을 50억 미만으로 보기 때문에

ACE코스피ETF의 순자산총액은 64억으로 상장폐지와 유동성확보의 불안감이 있습니다.

TIMEFOLIO 코스피액티브

TIMEFOLIO코스피액티브
운용사타임폴리오자산운용
상장일21.05.25.
순자산393억 원
수수료1.1599%
현재가8,750원
  • 특징

코스피ETF 액티브형입니다.

액티브형은 전문가(펀드매니저)가 시장의 흐름에 적극 대응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시장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지만 높은 수수료율과 전문가의 역량이 펀드 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 됩니다.

투자 종목 수 31개로 가장 적으며, 대형주의 비중이 94%를 차지합니다.

수익률을 비교해봐도 4%이상의 초과 수익, 2% 정도의 초과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PLUS코스피

PLUS코스피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15.9.23.
순자산63억 원
수수료0.2562%
현재가25,380원
  • 특징

PLUS코스피의 구성종목은 총 756개입니다.

상위 10개 비중이 42.2%로 앞서본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액티브 etf를 제외하면

약간의 투자 비중 차이만 있을뿐 동일한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습니다.

PLUS코스피 TR

PLUS코스피TR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19.06.25.
순자산1,398억 원
수수료0.2039%
현재가13,330
  • 특징

한화자산운용에도 삼성자산운용과 마찬가지로 코스피와 코스피TR이 있습니다.

PLUS코스피의 연간 배당률은 2.36%이고, 최근 10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습니다.

TR의 경우 이걸 그대로 재투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전체 기간에 걸쳐 TR상품이 하락방어(0.79% 차이), 약간의 높은 수익률(0.38%)을 나타냈습니다.

RISE코스피

RISE코스피
운용사KB자산운용
상장일18.07.24.
순자산1,022억 원
수수료0.1746%
현재가13,330원
  • 특징

운용규모, 수수료, 투자 종목 등 그냥 적정한 수준입니다.

KB자산운용은 기존 ETF브랜드명이었던 KBSTAR에서 리뉴얼을 통해 RISE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a

코스닥150 ETF 어떤게 좋을까?

미국시장 이해하기: 대표지수 핵심

ETF 비교 A vs B

코스피200 ETF 비교

반도체 SOXX vs SMH

SPY vs VOO vs IVV vs SPLG

금ETF 5개 GLD, GLDM etc

코스피(KOSPI) ,코스피200 ETF의 차이점은?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정의와 차이점,

대표할만한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뜻합니다. 코스피 또는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불립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총 839개입니다.

코스피200

코스피200 : Korea Stock Price Index 200

코스피200지수는 해당 지수 옵션거래를 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지수입니다.

코스피에 포함된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200개 선정한 것입니다.

종목의 업종 대표성, 유동성 등의 기준을 반영해 한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볼 수 있습니다.

차이점

코스피(KOSPI) 지수에 포함된 종목 중 시총, 유동성 등을 고려해 산출된 지수가

코스피200지수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비교 시점의 시총/ 기준 시점 시총 × 100)

코스피200지수는 한국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수에 편성된 종목은 대형 우량주가 약 90%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대표ETF

코스피(KOSPI)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8개, 코스피200 지수 추종 ETF는 44개입니다.

코스피 ETF는 투자 종목 수 약 720여인 반면, 코스피200 ETF는 200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각각의 종류를 살펴보고 수익률 체크도 해보겠습니다.

코스피ETF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25.3.10.KODEX코스피TIGER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5.8.24.2017.8.31.
순자산총액4,594억 원1,751억 원
수수료0.1690%0.1790%
연 배당률2.26%1.96%
투자종목수744개820개

코스피200ETF

  • 삼성자산운용, 미셋자산운용
24.11.29.KODEX200TIGER200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02.10.14.2008.4.3.
순자산총액586,610억 원20.930억 원
수수료0.1931%0.0923%
연 배당률2.40%2.53%
투자종목수201개201개

성과 비교

최근 성과를 비교해보면,

25.3.10.기준코스피ETF코스피200ETF
1개월2.16%2.08%
6개월3.05%1.33%
YTD7.33%7.12%
1년-1.95%-4.03%
3년0.57%0.64%

전반적으로 코스피ETF의 수익률 하락 방어도 잘하고, 수익률도 더 괜찮았습니다.

예상대로라면 국내 대형 우량주 위주의 코스피200ETF가 수익률이 좋을 것 같지만,

700여개가 넘는 종목에 분산투자 하는 효과 덕분인지 코스피ETF가 더 안정적으로 보여집니다.

괴리율은 -0.05% ~ -0.09%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정리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의미와 차이점, 관련 ETF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코스피는 839개 종목, 코스피200은 그 중 시가총액 규모, 거래량, 업종의 대표성 등을 고려해 편입된 200개 종목 지수입니다.

한국시장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는 건 KOSPI200지수 입니다.

대형주를 포함 중형주, 가치주 등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하고 싶다면 KODEX코스피, TIGER코스피를 선택하고,

업종의 대표 기업들을 포함 우량주 중심으로 선별된 20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싶다면

KODEX200, TIGER200이 좋은 선택지가 됩니다.

참고

코스피200 KODEX vs TIGER 비교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종목 확인

ISA계좌로 뭘 사야 좋을까?

레버리지 활용 전략: 2배 SSO 3배 UPRO ETF

레버리지 etf는 기초가되는 지수나 주식 등의 변동률을 2배, 3배로 확대해 수익률을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SSO

SSO [2X]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6. 6. 19.
순자산총액$5,573M
수수료0.89%
현재가$94.34

시가총액 $5,573M은 원화로 약 7초6천억 원입니다.

보통 시가총액은 M, B로 표기되어있습니다.

간단하게 원화로 환산하는 방법을 먼저 보고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 환율 계산법 click!

투자 전략

SSO는 ProShares Ultra S&P500 ETF의 약자입니다.

S&P500지수의 일일 성과 2배를 추구하는 레버리지 투자전략입니다.

특징

미국 대표지수 S&P500를 추종하여 미국 전체 시장의 성과와 연계됩니다.

해당지수를 추종하는 SPY는 장기투자를 권장하지만,

시장의 상승을 확신하더라도 레버리지는 장기보단 단기투자에 적합합니다.

UPRO

UPRO [3X]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9. 6. 23.
순자산총액$4,245.5M
수수료0.91%
현재가$91.70

투자전략

UPRO는 ProShares UltraPro S&P500 ETF의 약자입니다.

S&P500지수의 일일 성과 3배를 추구하는 공격적인 투자상품입니다.

앞서본 2배 레버리지는 Ultra, 3배는 UltraPro로 표기되며 이외에 몇가지 표현들이 더 있습니다.

ETF이름에 대해 정리한 내용르 보고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바로가기>> 이름만봐도 알수있는 ETF 투자전략

특징

3배 레버리지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변동성,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데이 트레이딩이나 초단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S&P500지수가 1%하락하면 UPRO는 3%하락하게되는데,

만약 1%하락하면 3%손해가 발생할 수 있고 손실 구간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더 큰 상승을 해야 합니다.

레버리지

성과

SSOUPRO
1개월1.27%1.54%
3개월9.72%13.6%
1년62.19%96.76%
3년10.3%8.35%

레버리지는 단기 투자용 이라고 했지만, 그간 수익률을 보면

SSO 1년 장기 투자로 62%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spy 1년 수익률 32.72%)

이건 상승장에서 가능한 일이고,

3년 수익률을 보면 3배 레버리지 UPRO의 수익률이 SSO보다 더 낮습니다.

하락을 겪었다면 주가가 크게 올라줘야 회복가능하단 이야기입니다.

동일 기간 SPY는 9.58%의 수익률로 UPRO보다 더 높은 수익이 났습니다.

핵심은 수익률보다 투자하는 기간동안 내가 견딜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주가 전망

S&P500ETF를 대표하는 SPY를 참고해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목표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는

현재가 $590.3에서 22.24%나 높은 $721.58입니다.

  • 최저목표가 $462.94~ 최고 $965.24

미국시장이 앞으로도 확장 상승할 것이란거죠.

지난 7월 SPY의 최저 목표가는 $487.96 최고목표가는 $707.9인걸 감안하면

미국시장을 긍정적으로 보고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SPY의 주가 전망은 아주 좋지만 이걸 바탕으로 SSO와 UPRO에 투자하면 안되겠죠.

레버리지 전망

SSO와 UPRO는 tiprank의 기술 분석 결과 모두 중립적인 모습입니다.

장기적으로 지수는 오를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이동평균 지표등을 참고했을때 단기적으로 명확한 방향을 예상하기 힘든것이죠.

정리

SSO와 UPRO는 기초 자산의 수익률을 일정 배율로 추종하도록 설계되어있어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ETF입니다.

레버리지ETF를 장기간 보유한다면 복리효과로 더큰 손실, 회복이 힘들 수 있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며 단기투자로 접근하고 손절매 구간을 설정하는 전략을 미리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투자자의 성향에 맞게 선택하고,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투자금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ETF 투자 가이드

비교 선택

활용

미국 경제 전망: 주요 뉴스 24년11월 4째주

미국 경제 전망 주요 뉴스를 확인하고 정리해보겠습니다.

미국 경제 전망

스태크플레이션 직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는

트럼프 2기 미국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하게 될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대규모 감세
  • 막대한 재정적자
  • 억만장자와 기업에 대한 감세

이 3가지를 확신했고,

이것은 곧 안정화된 인플레이션을 다시 부추겨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엔비디아 3분기 호실적

엔비디아의 8월~10월 3분기 실적발표. 매출은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94%증가,

순이익 193억 달러로 106%급증.

AI 칩을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 부문 매출이 시장 예측치보다 크게 상회했습니다.

이런 호실적에도 주가는 발표 직후 3%하락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실적 상승에 시장은 익숙해졌다” -라이언디트릭-

기대가 너무 높아 실적이 좋아도 주가가 오르기 힘들다는 분석입니다.

원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

비트코인 9만5천달러 근접

트럼프 트레이드 영향으로 비트코인 9만5000달러에 근접했습니다.

최근 1주일동안 45.12%상승,1달동안 57%상승했는데

그 이유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됐기 때문입니다.

돈나무언니도 “비트코인 가격은 앞으로 규제 완화 기대감에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2030년까지 상승해 최대 150만 달러까지 갈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머니에스

트럼프 불확실성 바이오↓

트럼프 당선인 보건복지부 장관에 백신 음모론자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지명.

올해 주도 업종중 하나였던 제약, 바이오가 지속적인 조정을 받고있습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불확실성이 커진것이 이유인데,

올해들어 10월까지만해도 KRX 헬스케어 지수 24.65%상승했지만 이달들어 7%조정을 받았습니다.

원문 바로가기 >>> 머니투데이

중국 부동산 빼면 성장중

중국 경제 성장이 한계에 다다랐다 = 피크차이나

피크 차이나는 오해라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부동산 부문은 제외하고 민간 분야가 성장하며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 내에서 중국 경제 전문가로 불리는 “니콜라스 라디”

중국과 관련된 오해가 많다고 강조했습니다.

  • 중국의 실질 성장률은 미국보다 2배 이상 높다.
  • 소득 대비 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있다.
  • 몇년간 근원 인플레이션이 1%가 안되는 상황 디플레이션이 아닌 안정적으로 관리 되는 상황이다.
  • 민감투자 감소는 부동산 분야에 있다.

덧붙여 미국 대선이후 중국이 중대한 경제적 역풍을 맞고있다는 점을 동의했지만

트럼프 2기 정책이 미국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중국에 60% 관세 부과시 중국의 수입품 75%감소.
  • 그 영향으로 관세 수입이 늘지않고 적자 확대
  • 그 결과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것.

금리 인상까지도 있을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최근 주식시장 호황은 금리 인하 예상으로 시작되었는데, 조정도 이뤄질것으로 설명했습닏.

원문 바로가기 >> 이데일리

기타

  • 포스코 홀딩스 저점? 4거래 연속 상승

전일대비 4%상승. 307,000원에 거래되며 4일째 연속 상승.

3분기 실적 예상보다 하회했지만 인도 시장 일관제철소 건설계획 발표 영향.

목표주가는 트럼프 2기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인센티브 불확실성 + 리튬가격 하락으로 47만원 하향 조정. >>한경

  • 포드 14% 직원축소

미국 포드, 2027년까지 유럽내 14%에 해당하는 4000명 감원.

환경규제와 전기차 수요 저조등이 원인.

>> 파이낸셜뉴스

미국 경제 전망

시장 이슈 & 섣부른 전망 금지 click!

미국 시장 이해하기 : 대표지수

경기 침체 시그널

미국상장 S&P500 ETF 종류 레버리지 인버스

미국상장 S&P500 ETF를 모아서 정리했습니다.

S&P500지수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인 S&P500은 미국상장 대형기업 500개 주식을 포함하고있습니다.

미국 경제 전반에 걸쳐 흐름을 이해할수 있는 지수입니다.

특징

시가총액 기준으로 미국 상위권에 속한 대형 기업 500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IT 정보기술, 헬스케어, 금융, 소비재, 에너지 등 다양한 섹터가 반영됩니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지수에 영향을 많이 주게 됩니다.

미국의 대표 기업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좋은 성과를 보여주는지 확인할수 있는 지표이고

지수가 오르는건 미국 경제가 강세장, 내려가면 약세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미국상장 S&P500

SPY 미국상장 s&p500

VOO 미국상장 s&p500

  • Vanguard
  • 2010. 9. 7. 상장
  • 순자산총액 $564,012.7M (2위)
  • 수수료 0.03%

IVV

  • iShares
  • 2000. 5. 15.상장
  • $551,7813M (3위)
  • 수수료 0.03%

SPLG

  • SPDR State Street
  • 상장일 2005. 11. 08.
  • 순자산 $50,940.8M (35위)
  • 수수료 0.02%

>> 인덱스 펀드중에서도 운용규모 상위권에 모여있는 ETF입니다.

SPY, VOO, IVV, SPLG를 세부적으로 비교하며

저라면 어떤거에 투자할지 정리한 글이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바로가기

IVVW

  • iShares
  • 2024. 3. 14. 상장
  • 순자산 $ 27.8M
  • 수수료 0.25%

RSPA

  • Invesco
  • 상장일 2024. 7. 17.
  • 순자산 $273.9M
  • 수수료 0.29%

S&P500인덱스 펀드만큼이나 인기 많은 나스닥100etf가있습니다.

미국 대표지수가 궁금하시다면 >> 바로가기

레버리지

레버리지ETF는 해당지수를 2배, 3배를 증폭해 추종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시장의 초과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X, 3X, Ultra 등으로 표기합니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ETF는 선물,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비용이 일반ETF보다 높습니다.

레버리지, 인버스 표기방법 상세보기 click!

SSO [2X]s&p500etf

  • ProShares
  • 2006. 6. 19. 상장
  • 순자산총액 $5,487.5M(280위)
  • 수수료 0.89%

SPUU [2X]

  • Direxion
  • 2014. 5. 28.
  • 순자산 $153.2M
  • 수수료 0.61%

SPYQ [2X]

  • AXS
  • 상장일 2024. 9. 30.
  • 순자산 $6.6M
  • 수수료 1.3%

UPRO [3X]

  • ProShares
  • 상장일 2009. 6. 23.
  • 순자산 $4,058.3M
  • 0.91%

SPXL [3X]

  • Direxiom
  • 상장일 2008. 11. 05.
  • 순자산 $5,247.8M (287위)
  • 수수료 0.91%

인버스 s&p500etf

인버스ETF는 특정지수의 반대방향의 움직임에 성과를 추구하는 방식입니다.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을 낼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인버스는 하락장, 단기투자, 시장하락을 대비한 헷지 등의 전략으로 활용합니다.

SH [-1X]

  • ProShares
  • 상장일 2006. 6. 19.
  • 순자산 $890.5M (782위)
  • 수수료 0.89%

SPDN [-1X]

  • Direxion
  • 상장일 2016. 6. 8.
  • 순자산 $134.1M
  • 수수료 0.58%

SDS [-2X]

  • ProShares
  • 상장일 2006. 7. 11.
  • 순자산 $428.0M
  • 수수료 0.89%

SPXS [-3X]

  • Direxion
  • 상장일 2008. 11. 05.
  • 순자산 $403.6M
  • 수수료 1.07%

SPXU [-3X]

  • ProShares
  • 상장일 2009. 6. 23.
  • 순자산 $518.4M
  • 수수료 0.89%
미국상장 s&p500

미국 빅테크 주식 엔비디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전망 실적발표

미국 빅테크 관련주 엔비디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공지능, 소비자 시장, 클라우드 등 빅테크 분야 선두 기업입니다.

실적 발표, 주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빅테크

빅테크 기업은 주로 IT 소프트웨어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세계 시장을 주도하며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입니다.

엔비디아

엔비디아는 AI 칩 독보적인 대체 불가 강자입니다. AI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분기별 실적이 예상을 크게 웃돌았는데요.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에서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호실적 발표했습니다.

실적 발표일 (NVDA)

  • 3분기 실적발표일 11월 20일
  • 4분기 25년 2월 13일 예정

예측치 비교

발표일매출 [예측]
2024.11.20[32.97B]
2024.8.28.30B [28.68B]
2024.5.22.26.04B [24.65B]
2024.2.21.22.1B [20.55B]
2023.11.21.18.12B [16.18B]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는 AI, 클라우드기술을 보유하고 Azure, OpenAI와의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기술개발에 아낌없는 투자를 하고있습니다.

실적 발표일 (MSFT)

  • 3분기 실적발표 10월30일
  • 4분기 25년 1월 29일 예정

예측치 비교

발표일매출 [예측]
2024.10.30.65.6B [64.55B]
2024.7.30.64.7B [64.38B]
2024.4.25.61.86B [61.86B]
2024.1.30.62B [61.1B]
2023.10.24.56.5B [54.53B]

아마존 미국 빅테크

아마존은 AWS(웹서비스) 부문 덕에 좋은 실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WS부문은 아마존 전체 이익의 약 63%를 차지하는 주요 핵심사업입니다.

AWS를 통해 AI와 클라우드 성장에 집중하고, AI 훈련과 관리 서비스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적 발표일 (AMAN) 미국 빅테크

  • 3분기 실적발표 10월 31일
  • 4분기 25. 1. 30. 예정

예측치 비교

발표일매출 [예측]
2024.10.31.158.9B [157.25B]
2024.8.1.147.98B [148.68B]
2024.4.30.143.31B [142.65B]
2024.2.1.170B [165.95B]
2023.10.26.143.1B [141.53B]

엔비디아 주가전망

지난 8월 제가 확인했던 엔비디아의 목표가는 최저 $100~ 최고 $200으로 평균 목표가 약 $144.17이었습니다.

8.6. 기준 엔비디아 102.44달러였는데

11월 현재 $148.29로 3개월 동안 조용히 올랐네요.

월가의 애널리스트의 분석결과를 보면 여전히 강력한 매수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 최저 목표가 $90
  • 최고 목표가 $200
  • 평균 목표가 $157.82

현재가 대비 약 6.43%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주가전망

마이크로소프트도 3개월 사이에 $399.79 → $426.89 약 6% 이상 상승했습니다.

지난 8월에 32명의 애널리스트 분석결과 모두 매수 의견이었고, 25%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결과를 봤었는데

실제로 몇 달 사이 오른 걸 보니 투자 시 참고할만한 괜찮은 자료입니다.

11월 현재 MSFT의 목표가는

  • 최저 목표가 $425
  • 최고 목표가$550
  • 평균 $495.33

현재가 대비 16.03% 상승여력이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아마존 주가전망

아마존은 경기둔화에 따라 전자상거래 부문의 소비 감소 가능성, 기업의 비용 절감 확대가 주요 과제로 생각됩니다.

8월달만해도 저평가 받고 있다는 느낌이 강했고 기대보다 주가가 오르지 않고 오히려 떨어지는 상황이었는데요.

3달 사이 아마존도 상당히 올랐네요. $160.49 → $211.48 무려 32% 상승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상승여력 40%나왔거든요. 지금은 어떨지 볼게요.

  • 최저 목표가 $197
  • 최고 목표가 $285
  • 평균 $239.35

현재가 $211.48대비 약 13%상승 가능. 애널리스트 45명의 분석 결과 44명이 매수의견입니다.

앞서본 세 종목 중 가장 크게 올랐는데 여전히 투자할만한 매력을 가진 종목입니다.

정리 미국 빅테크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클라우드 기술과 AI 기반으로 좋은 실적을 발표하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도 높이 평가 받는 상황입니다.

관련 기술의 수요 증가로 앞서본 빅테크 기업은 기술 혁신을 이루며 독보적인 기업으로 자리 잡게 될 겁니다.

시장의 심리가 불안정하고 경기순환 사이클상 경기둔화 시기에는 성장주의 약세가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유용한 글 미국 빅테크 관련

기술섹터 QQQ vs XLK 비교 선택

크라우드스트라이크홀딩스 주가 전망

아주 쉽게 미국반도체 투자하기: 한국판 SOXX

경기침체 올까? 장단기 금리차 역전해소

SPLG ETF 배당 주가전망 투자기록

SPLG ETF는 미국의 대표지수 S&P500을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입니다. 구성종목, 개별 종목 이슈와 성과 기록 시작합니다.

SPLG 개요

SPY
운용사SPDR State Street
상장일2005. 11. 08.
기초지수S&P500 TR USD
시가총액$47,579.57M
총수수료0.02%

참고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에는 SPY VOO IVV 가 있습니다.

운용사와 수수료, 규모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뿐 투자 성과는 동일합니다.
최근 VOO를 선호하는 이유는 낮은 수수료 덕분인것 같은데요.

비교해서 알아두면 좋은게 SPLG입니다. 제가 투자하고있는 etf이기도합니다.
똑같이 s&p500지수를 추종하고 수수료가 가장 낮고, 무엇보다 1주당 가격이 $68.19로 분할 매수하기 좋습니다.

[spy, voo, ivv 의 경우 1주당 가격 $500 이상]

덧붙여, 평균 거래량이
SPLG (8,027,506)가
voo (4,811,330) ivv (3,872,018) 보다 많습니다.

[24.11. 내용추가] SPLG의 순자산총액 $52,444M 주식형ETF 중 운용규모 35위.

구성종목

s&p500지수에 포함된 500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비중이 큰 10개 종목을 살펴볼게요.

구성종목구성 비중
NVDA (엔비디아)7.16%
AAPL (애플)6.89%
MSFT (마이크로소프트)6.09%
AMZN (아마존닷컴)3.68%
META (메타)2.44%
GOOGL (알파벳 class A )1.95%
TSLA (테슬라)1.87%
BRKb (버크셔해서웨이 class b)1.72%
GOOG (알파벳 class C)1.61%
AVGO (브로드컴)1.51%
  • 구성종목 상위 10개 비중이 전체의 34.77%
  • 섹터별 비중(24.11.기준)
    IT 33.08%
    금융 13.34%
    경기소비재 107%
    헬스케어 10.5%
    통신서비스8.9%
    산업재 7.6%
    필수소비재 5.6%
    에너지 3.5%
    유틸리티 2.6%
    부동산 2.2%
    소재 1.9%

기간별 성과

SPLG 투자 수익률

기간수익률
1개월3.49%
3개월3.6%
6개월15.73%
ytd23.22%
1년36.32%
3년10.83%
5년16.06%

배당

  • 배당수익률 1.25%
  • 연간 지급금 $0.86
  • 5년 배당 성장률 5.42%
  • 연속 배당증가 3년
배당 일자배당금
23.3.20.$0.18
23.6.20.$0.20
23.9.18.$0.20
23.12.18.$0.22
24.3.18.$0.20
24.6.24.$0.22
24.9.23$0.22
SPLG배당 내역

주요 성과 비교

미국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성과를 비교 확인해보겠습니다. (단위 %)

SPLGQQQVTIVUGVTV
S&P500NASDAQ100TOTALGrowthValue
1개월3.490.323.623.573.48
3개월3.63.413.770.527.56
6개월15.73-0.9315.3616.2914.8
YTD23.2214.2221.9525.4720.15
1년36.3220.3836.0540.4831.73
3년10.8335.309.129.4710.56
SPLG 수익률 비교표
  • QQQ는 나스닥100, VTI는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 VUG는 성장주, VTV는 가치주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 24년 올해 들어 성장주ETF VUG가 25%로 가장 좋은 수익률을 보여줬고, 그다음 SPLG입니다.
  • 기술주 비중이 높은 QQQ의 경우 6개월 수익률 마이너스입니다. 3년 수익률 35%로 급상승했었습니다.
  • 1년 수익률 5개를 모두 놓고 보니 사실 미국시장 전체에 걸쳐 우상향 하고있는걸 알수 있고, 어디에 투자해도 나쁘지 않은 결과입니다.

SPLG 주가 전망

SPLG는 24.10.16.기준 $68.72입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 목표가를 살펴보면

  • 최저 목표가 $53.52
  • 최고 목표가 $108.96

평균 $81.82입니다. 현재가 대비 약 20%의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코스피200 >> KOSPI200 ETF 3개 비교 분석

금 투자 >> 금 종류 단위 알아보기

금 투자>> 금 투자 방법 4가지

금 ETN 3배 레버리지 전략

채권 >> 미국채 투자하고 월배당 받기

VTI ETF 주가 수익률 전망 SPY 비교

VTI ETF는 해외 상장지수펀드 운용 규모 4위로 미국 시장 전체를 추적합니다.

오늘은 VTI ETF에 대해 이해하고, 수익률 주가 전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VTI ETF 개요

  • 운용사: Vanguard
  • 상장일: 2001.5.24.
  • 기초지수: CRSP US Total Market TR USD
  • 총수수료: 0.03%
  • 시가총액: $437,165.54M
  • 현재가: $280.58

간단히 개요만 살펴봐도 저비용, 높은 유동성을 갖고 있는 VTI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개인 투자자가 미국 시장 전체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VTI 1주를 매수하면 미국 주식 시장의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를 포함 상장된 3,660여 개의 기업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미국 대표 지수 중 미국 시장 전체 흐름을 반영하는 S&P500지수에 속한 대형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중,소형주도 포함되어 있어 폭넓은 분산 투자가 가능한데요. 구성 종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2. VTI 구성 종목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등 미국의 대형주 약 73%, 그 외 중,소형주 약 27%에 투자됩니다.

섹터별 비중을 보면,

  • IT 30.5%
  • 금융 13.2%
  • 헬스케어 12.3%
  • 경기소비재 10%
  • 산업재 8.8%
  • 통신서비스 8%
  • 필수소비재 5.6%
  • 에너지 3.6%
  • 부동산 2.9%
  • 유틸리티2.4%
  • 소재 2.1% 입니다.

구성 종목의 분포를 보면 미국의 주요 대기업들이 높은 비중으로 포함되어있고, 성장 잠재력을 가진 중형주, 소형주도 적절히 포함하고 있습니다.

비중 1위부터 5위를 살펴보면

  • 애플 6.07%
  • 마이크로소프트 5.84%
  • 엔비디아 5.13%
  • 아마존닷컴 3.29%
  • 메타 플랫폼스 1.95% 입니다.

상위 4개 종목을 제외한 나머지는 약 1%대 이하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낮은 비중으로 세부적으로 쪼개어 많은 종목에 투자하는걸 알수 있죠.

3. 성과

기간별 수익률

  • 1개월 1.1%
  • 3개월 5%
  • 6개월 8.76%
  • YTD 19.49%
  • 1년 34.01%
  • 3년 9.27%
  • 5년 15.27%

분배금

  • 연간 분배율 1.33%
  • 최근 분배금 $0.87(24.9.27.)

 

4. SPY ETF 비교

미국 대표 지수에는 S&P500이 있습니다.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SPY와 비교를 해볼게요.

투자자들에게 SPY ETF 역시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로 인식합니다.

미국 시장 500여 개의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구성 종목 상위 10개가 VTI와 동일합니다. 구성 종목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VTI는 3,660여 개 기업에 투자하는 반면 SPY는 500개의 종목에 투자한다는 것이고,

세부적으로 소형주의 비중이 SPY는 0%에 가깝지만 VTI는 약 8.4%를 차지합니다.

상대적으로 대형주의 비중이 높은 게 SPY입니다.

  • 미국 전체 종목에 투자하고 싶다면 VTI
  • 미국 전세 시장에 투자하지만, 대형주에 더 집중하고 싶다면 SPY

VTI와 SPY의 수익률은 종목 수에 비해 미미한 차이를 보입니다.

  • 1개월 수익률이 VTI 1.1% SPY 1.19%
  • 6개월 수익률 VTI 8.76%, SPY 9.59%
  • 1년 수익률 VTI 34.01% SPY 34.82%

수익률은 1%이내의 차이를 보이고, 연간 분배율역시 0.1%차이밖에 나지않습니다.

결과적으로 두 펀드 모두 대형ETF로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고, 비슷한 성과를 나타냅니다.

아주 낮은 비용으로 중소형주를 포함한 광범위한 투자상품은 VTI, 대형주에 좀더 집중한 SPY로 정리할수 있겠네요.

5. 주가 전망

미국 경제와 주식 시장 흐름에 따라 VTI의 주가가 결정됩니다.

미국 경제의 성장이 지속된다면 VTI ETF 주가도 상승할 것입니다. 현재 경기 순환 사이클을 보면, 미국은 경기 하락 국면으로 접어들었는데요. 큰 틀로보면 당분간 침체기를 거쳐 회복 곡선을 그리겠습니다.

주식 시장 분위기도 중립적이고,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서 당분간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기엔 힘들어 보이는데요.

tipranks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가 $282.05 대비 약 10%의 상승 여력이 있다고 나왔습니다.

  • 12개월 평균 목표가 $311.41
  • 최저 목표가 $255.96 ~ 최고 목표가 $364.40
    (3,625명의 애널리스트 분석결과)

종합적인 분석 결과 시장에서는 중립적인 성향을 띄고, 분석가들은 매수 의견이 많습니다.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NAV 0.39%
  • 괴리율 0.01%
  • 베타 1.01

괴리율 0.01%면 ETF의 가격이 순자산가치와 거의 일치하다는것입니다.
주가가 과대평가 되어있지 않고, 베타 역시 1.01로 시장의 변동성과 동일해 시장의 상승과 하락에 같은 움직임을 보입니다.

6. 결론

아주 낮은 비용과 높은 유동성이 장점인 VTI는 중,소형주를 포함해 미국 전체 주식 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과거 1년간 약 34%의 좋은 성과를 보여줬지만, 현재 미국 경기 흐름을 잘 파악해 투자 시점을 잡는것이 좋습니다.

경기 순환 사이클에 따르면 현재 경기 하락 국면에 위치해있어,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을 노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장기투자 관점으로 경제 흐름을 파악해 가며 투자 시점을 잡으세요.

VTI는 투자자에게 미국 주식 시장의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투자 전략을 제공하는 ETF입니다.

VTI

S&P500 지수 뜻, 구성 종목, 산출 방법, 투자 전략 이해하기

S&P500 지수 는 미국 시장 전반에 걸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 지수 중 하나입니다.

Standad & Poor’s에서 관리하고, 미국 내 500개 기업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합니다.
s&p500 지수는 경제학자, 투자자, 정책 관련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활용하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이 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S&P500 지수 역사

1957.3.4. 처음 발표된 s&P500은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된 최초의 지수입니다.
기존의 다양한 지수들이 있었지만, 더 많은 기업을 포함해 시장 전체적인 흐름을 잘 반영한 지표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발표 이후 많은 경제 위기와 변화를 겪었는데요.
87년 블랙먼데이, 2000년 닷컴 버블, 2008년 금융위기 등을 겪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 S&P500 지수 구성

미국 주식 시장에서 시가총액 기준 대형 500개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약 130억 달러 이상인 기업들이 주로 포함되어 있고, 다양한 산업을 대표하며, 안정적인 기업 운영과 양호한 재무 성과를 가진 기업이어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에서 활동하는 대형 기업 중 몇 가지 기업을 살펴보겠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
  • 애플: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제품 제조
  • 알파벳: 구글의 모회사, 검색 엔진 및 광고 사업
  • 아마존: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테슬라: 전기차, 재생 에너지 제품 제조
  • 버크셔해서웨이: 투자, 보험 분야에서 활동
  • 존슨앤드존슨: 헬스케어 및 소비재

3. 산출 방식

시가총액 가중 평균값입니다. 각 기업의 시가총액이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가중치가 변하게 되는데요.

이런 산출 방식은 대형 기업의 주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시총이 큰 대형 기업의 주가 상승과 하락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이죠.

그 결과 지수의 변동성은 잘 반영하지만, 대기업에 과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지수는 매일 거래 종료 후 업데이트되고, 정기적으로 재편성됩니다.

  • 정기 재편성일 : 매 분기마다 재편성됨 (1월, 4월, 7월, 10월)
  • 비상 재편성: 기업의 합병, 파산, 인수 등 급격하게 변화가 발생한 겨우

정기 재편성, 비상 재편성을 통해 시장의 최신 동향을 반영하도록 합니다.

4. S&P500 지수 활용 투자 전략

s&P500은 상장지수펀드(ETF)로 손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초보 투자자, 개인투자자에게 아주 유용하고 인기 많은 투자 대상이 됩니다.

S&P500에 투자는 장기투자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곡선을 그려왔습니다.

주식 시장에 투자한다면 단기적인 변동성은 감내해야 합니다.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한다고 할지라도 리스크는 있습니다.

5. 경제적 의미

미국의 대표 지수 중 하나로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

지수의 상승은 기업의 성장성과 소비자 신뢰 상승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고,
반대로 지수의 하락은 경기 침체와 같은 시장의 불안감,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많은 투자자과 경제학자, 정책 입안자 등은 S&P500 지수를 경제 동향을 판단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6. 총 정리

s&P500은 미국 경제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미국의 다양한 산업을 포함하고, 대형 기업의 성과를 반영합니다.

경제와 관련한 이해 관계인들에게 경제 분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고,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힌트를 주기도 합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지수의 하락으로 리스크도 커지지만, 오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 꾸준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지표입니다.

경제와 투자에 깊이 있는 통찰을 배울 수 있는 S&P500지수를 잘 활용해 건전한 투자를 영위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S&P500 지수 뜻, 구성 종목, 산출 방법, 투자 전략 이해하기”

미국 투자 거장들이 추천하는 상장지수 펀드(ETF): 전략 및 조언

미국의 투자 거장들이 추천하는 상장지수펀드(ETF) 투자 전략 및 조언

ETF(=상장지수펀드)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낮은 비용으로 수십 개에서 수 백에게 이르는 종목을 한번에 투자 할 수 있다는 것과 투자 거장들이 ETF에 언급한 내용이 ETF를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데요. 투자 거장들이 언급한 조언들과 전략을 알게 되면 좀 더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워런 버핏, 피터 린치, 레이 달리오 등 투자 거장들의 미국 ETF에 대한 전략과 조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거장들의 전략
투자 거장들의 ETF

1. Warren Buffett, 워런 버핏

오마하의 현인- 장기 투자와 비용 절감의 중요성 강조

워런 버핏은 장기 투자와 낮은 비용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투자 대가로 유명합니다. 버핏은 ETF에 대해서도 같은 접근을 하고 있죠.  워런버핏은 “대부분의 투자자에게는 지수 추종 ETF=인덱스펀드가 투자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대표적으로 S&P500지수를 추종하는 SPY나 IVV, VOO가 있죠. 주식형 ETF 중에서도 순자산총액이 크고, 거래량도 많아 항상 인기랭킹 상위에 위치해있습니다. 워런 버핏의 발언은 상장 지수 펀드의 비용 효율성에 주목한 것인데,  투자자가 ETF에 부담하는 낮은 비용을  통해 장기적인 성과를 추구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영향으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버핏이 강조하는 장기 투자 원칙과 딱 맞아 떨어집니다.

2. Ray Dalio, 레이 달리오

원칙의 달리오- 포트폴리오 구성 다각화&위험 관리

Bridgewater Associates(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창립자인 레이 달리오는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투자의 대가로 유명하죠. 2012년 타임지에서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는데요. 레이 달리오는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며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라”는 원칙을 제시합니다. 미국 ETF는 이런 다각화 전략을 아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 보는데요. 레이 달리오의 전략을 확인해보면, ETF를 통해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그는 경기 순환 사이클과 시시각각 바뀌는 경제 변화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것을 권장하고, ETF를 활용해 경제 전반에 걸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3. Peter Lynch, 피터 린치

투자의 마법사- 다양한 분야에 접근

성공적인 투자 전략 핵심사항으로 피터린치는 다각화와 분야별 접근을 강조했는데요. 그는 자신의 투자 철학인 ‘자신이 아는 것에 투자하라’는 원칙을 통해 특정 분야의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와 같은 원칙은 미국 ETF 투자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데요. 그 예시로 IT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투자자라면 기술성장주 중심의 ETF에 투자해 잠재적 성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 스스로 잘 아는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피터 린치의 전략은 일부 산업이나 섹터에 집중해 공부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4. Jim Rogers, 짐 로저스

상품의 대가- 글로벌 투자 그리고 경제의 변화

국제 투자자이자 저자인 짐 로저스는 글로벌 투자와 경제 변화에 상당한 통찰력을 가진 투자자로 잘 알려져 있죠. 짐 로저스는 “글로벌 경제, 다양한 시장을 반영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짐 로저스의 의견은 글로벌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미국의 상장지수펀드, 그 중에서도 글로벌 자산군을 포함한 ETF의 중요성을 언급합니다. 예를 들면 세계 전체 시장을 추종하는 ETF는 세계 경제의 변화를 반영고며, 다변화하는 경제의 흐름을 포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합니다.

5. John Bogle, 존 보글

인덱스 펀드의 아버지- 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ETF의 특징

인덱스 펀드를 유행시켰고, s&p500 ETF를 처음 설정한 인물. 미국의 대표적인 자산 운용사인 뱅가드 그룹, 그룹의 창시자인 존 보글은 “저비용 인덱스 펀드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는데요. 존 보글은 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의 특징, 그 장점에 대해 깊은 신뢰를 나타냈습니다.  “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가 가장 좋은 투자 방법 중 하나이다”라고 주장했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 ETF중 S&P 500 지수처럼 광범위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장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존 보글의 철학처럼, 미국 ETF는 시장의 평균적인 성과를 추구하고, 개별 주식의 리스크를 줄이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할 수 있습니다.

comment

미국 ETF는 유명한 투자 거장들이 말하는 전략과 철학에 부합하는 최적의 투자 도구입니다. 미국의 투자 전문가, 명장, 거물들이라고 불리는 5명의 전략을 살펴봤는데요. 워런 버핏의 장기 투자와 비용 절감의 중요성, 레이달리오의 포트폴리오 구성 다각화와 리스크괄니, 피터 린치의 다양한 분야, 짐 로저스의 글로벌 투자 관점과 경제 변화, 존 보글의 인덱스 펀드 등은 미국 ETF의 투자 전략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투자 거장들이 제시한 조언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세운다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투자 성과를 이루지 않을까요.

초보투자자를 위한 투자 가이드.

인덱스펀드에 대해알고 가기.

인덱스펀드의 부문별 실적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