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OMC 뜻?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서 기준금리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핵심 기구입니다.
- 구성원: 연준 이사 7명 + 지역 연준 총재 5명(총 12명)
- 역할: 경제 현황을 분석하여 금리 변동, 통화량 조절과 채권 매입·매각 등 경제 안정을 위한 결정을 수행함.
2. 2025 FOMC 일정
FOMC 회의는 매년 8회 개최됩니다.
한국 시간 기준으로 목요일 새벽에 결과가 발표되며 회의 일정과 금리 발표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의 일정 | 금리 발표일 |
1월 28~29일 | 1월 30일 |
3월 18~19일 | 3월 20일 |
5월 6~7일 | 5월 8일 |
6월 17~18일 | 6월 19일 |
7월 29~30일 | 7월 31일 |
9월 16~17일 | 9월 18일 |
10월 28~29일 | 10월 30일 |
12월 9~10일 | 12월 11일 |
중요한 회의:
3월, 6월, 9월, 12월 →점도표(Dot Plot) 및 경제 전망(SEP) 발표

3. 금리 전망
- 현재 예상:
현재 기준금리 4.25~4.50%는 상반기까지 유지, 25년 올해 1~2회 금리 인하 할것.- 3~6월: 첫 금리 인하 예상.
- 연말: 추가 한 차례 인하 가능성
- 전망 배경:
- 물가: 2% 목표치에 근접하였으나 일부 하락 우려 존재
- 고용: 실업률 4%대 유지중
- 인플레이션 둔화: 2024년 대비 개선되었으나 경기 과열 가능성 존재
- 금리 인하 횟수: 1~2회로 예측
4. 금리 변동 영향
- 미국 경제: 금리 인하 시 주식시장 상승 가능성 있음.
- 글로벌 경제:
- 한국 등 수출국 환율에 영향
- 투자 유입 및 외화 변동성 확대
- 미국 기준 금리 인하시: 달러 약세, 글로벌 투자 유입, 한국 금리 인하, 금융 비용 축소, 물가 안정 기대.
- 미국 기준금리 인상시: 달러 강세, 미국시장으로 자본이동, 한국 금리 인상, 국내 수출 기업상승, 원자재 수입비용 증가, 기업 자금 조달 비용 증가
5. 투자 고려사항
- FOMC 발표 전날 큰 포지션 금지:
시장 변동성 크므로 리스크 관리 필수 - 물가지표(CPI)와 실업률 확인:
연준의 정책 방향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 - 점도표 활용:
향후 금리 흐름의 방향성 파악에 유용
미국 기준금리 변동은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줍니다.
FOMC 기준금리 발표일 전후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므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고,
향후 금리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CPI(물가지표)와 실업률,
점도표를 활용한다면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FOMC 금리 점도표 바로가기
[좌측 메뉴에서 Part3: 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d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