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QQ QQQM 차이 나스닥100 추종 인덱스펀드 어떤게 좋을까?

QQQ QQQM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입니다.

이 두 ETF의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알아보고 투자 목표에 따라 어떤 펀드를 선택하는 게 나을지 알아보겠습니다.

QQQ QQQM 개요

QQQ는 Invesco에서 운용하는 나스닥100 지수 추종 ETF입니다. 1999년 상장되어 금융을 제외한 100개의 기업의 지수 성과를 반영합니다.

특히, 기술주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QQQ는 순자산총액 $288,727.4M로 기술 섹터 내에서 규모 1위입니다.

덕분에 거래량이 많고, 유동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QQQM은 QQQ와 같은 지수를 추종합니다. Invesco 운용사 2020년 상장되었습니다.

QQQM은 QQQ보다 낮은 수수료율이 적용되고, 1주당 가격이 약 198달러 정도로 QQQ보다 2.4배 낮습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투자 금액으로 소액 투자자들에게 좋은 전략을 제공합니다.

QQQ QQQM 비교표

QQQ QQQM 수익률 기초지수 현재가 비교표

비교표

[내용 추가] 24.11.8.기준 순자산총액 

QQQ $288,727.4M → $310,821.5M

QQQM $33,398M→ $36,552.4M

24.11.8. 기준 현재가

QQQ $481.95 → $513.54

QQQM $198.36 → $211.35

1주 사이 6%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당선 확정시 되면서 테슬라만 당일 14%상승했고, 

미국 증시, 달러, 비트코인 다 크게 상승했습니다. 

유동성과 투자 편의성

QQQ는 거래량이 아주 많은 ETF입니다. 뛰어난 유동성은 투자 상품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향후 기술 섹터를 대표하는 상장지수펀드로, 안정적으로 운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QQQM 역시 유동성 좋은 편이지만 QQQ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거래량을 보이게 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필요한 순간에 원활하게 매수, 매도하기 위해서는 QQQ가 더 나을 수 있습니다.

투자 종목

투자 종목을 비교해 보면, QQQ QQQM 둘 다 같은 종목, 유사한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투자 비중은 아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100%에 가깝게 동일한 투자 전략은 구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이 QQQ 50.22%, QQQM 50.27%입니다.

섹터별 투자 비중은 100% 일치합니다.

:섹터 비중 1~3위

  • IT 51.07%
  • 통신서비스 16.1%
  • 경기소비재 13.09%

수익률, 배당, 세금

앞서 두 ETF가 같은 Invesco에서 운용하고, 동일한 지수를 기초지수로 같은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현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수익률

역시 유사한 성과를 보입니다. 오차범위 약 0.01% 이내입니다. (24.10.2.기준) → (24.11.8.기준)

  • 1개월 1.33% → 6.52%
  • 6개월 9.59% → 16.98%
  • 1년 34.33% → 38.74%

연간 분배율 qqq qqqm

QQQ 0.59%, QQQM 0.64%입니다.[24.11.8기준]

세금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미국상장 ETF로 연간 250만 원 비과세, 초과분에 대해 22% 양도소득세 부과됩니다.

배당금에는 15%의 배당소득세 부과됩니다.

ETF 투자에 있어서 세금은 한 번 정리해두면 좋은데요.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아래를 참고하세요.

QQQ QQQM 세금 정리

QQQ vs QQQM선택은?

결과적으로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장기투자를 고려한다면 낮은 비용과 소액 투자가 가능한 QQQM이 여러 가지 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단기투자자라면 빠른 판단과 적절한 시기에 거래하기 위해 거래량이 많고 유동성이 풍부한 QQQ가 적합합니다.

매월 정기적으로 미국의 기술주에 분산투자하고 싶다면, 1주당 가격이 낮은 QQQM을 선택하는 게 투자 자금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투자 종목, 성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선택에 앞서 나의 투자 기간과 투자자금을 생각해 보고 결정하세요.

 

더 보기 “QQQ QQQM 차이 나스닥100 추종 인덱스펀드 어떤게 좋을까?”

VTI ETF 주가 수익률 전망 SPY 비교

VTI ETF는 해외 상장지수펀드 운용 규모 4위로 미국 시장 전체를 추적합니다.

오늘은 VTI ETF에 대해 이해하고, 수익률 주가 전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VTI ETF 개요

  • 운용사: Vanguard
  • 상장일: 2001.5.24.
  • 기초지수: CRSP US Total Market TR USD
  • 총수수료: 0.03%
  • 시가총액: $437,165.54M
  • 현재가: $280.58

간단히 개요만 살펴봐도 저비용, 높은 유동성을 갖고 있는 VTI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개인 투자자가 미국 시장 전체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VTI 1주를 매수하면 미국 주식 시장의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를 포함 상장된 3,660여 개의 기업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미국 대표 지수 중 미국 시장 전체 흐름을 반영하는 S&P500지수에 속한 대형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중,소형주도 포함되어 있어 폭넓은 분산 투자가 가능한데요. 구성 종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2. VTI 구성 종목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등 미국의 대형주 약 73%, 그 외 중,소형주 약 27%에 투자됩니다.

섹터별 비중을 보면,

  • IT 30.5%
  • 금융 13.2%
  • 헬스케어 12.3%
  • 경기소비재 10%
  • 산업재 8.8%
  • 통신서비스 8%
  • 필수소비재 5.6%
  • 에너지 3.6%
  • 부동산 2.9%
  • 유틸리티2.4%
  • 소재 2.1% 입니다.

구성 종목의 분포를 보면 미국의 주요 대기업들이 높은 비중으로 포함되어있고, 성장 잠재력을 가진 중형주, 소형주도 적절히 포함하고 있습니다.

비중 1위부터 5위를 살펴보면

  • 애플 6.07%
  • 마이크로소프트 5.84%
  • 엔비디아 5.13%
  • 아마존닷컴 3.29%
  • 메타 플랫폼스 1.95% 입니다.

상위 4개 종목을 제외한 나머지는 약 1%대 이하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낮은 비중으로 세부적으로 쪼개어 많은 종목에 투자하는걸 알수 있죠.

3. 성과

기간별 수익률

  • 1개월 1.1%
  • 3개월 5%
  • 6개월 8.76%
  • YTD 19.49%
  • 1년 34.01%
  • 3년 9.27%
  • 5년 15.27%

분배금

  • 연간 분배율 1.33%
  • 최근 분배금 $0.87(24.9.27.)

 

4. SPY ETF 비교

미국 대표 지수에는 S&P500이 있습니다.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SPY와 비교를 해볼게요.

투자자들에게 SPY ETF 역시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로 인식합니다.

미국 시장 500여 개의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구성 종목 상위 10개가 VTI와 동일합니다. 구성 종목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VTI는 3,660여 개 기업에 투자하는 반면 SPY는 500개의 종목에 투자한다는 것이고,

세부적으로 소형주의 비중이 SPY는 0%에 가깝지만 VTI는 약 8.4%를 차지합니다.

상대적으로 대형주의 비중이 높은 게 SPY입니다.

  • 미국 전체 종목에 투자하고 싶다면 VTI
  • 미국 전세 시장에 투자하지만, 대형주에 더 집중하고 싶다면 SPY

VTI와 SPY의 수익률은 종목 수에 비해 미미한 차이를 보입니다.

  • 1개월 수익률이 VTI 1.1% SPY 1.19%
  • 6개월 수익률 VTI 8.76%, SPY 9.59%
  • 1년 수익률 VTI 34.01% SPY 34.82%

수익률은 1%이내의 차이를 보이고, 연간 분배율역시 0.1%차이밖에 나지않습니다.

결과적으로 두 펀드 모두 대형ETF로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고, 비슷한 성과를 나타냅니다.

아주 낮은 비용으로 중소형주를 포함한 광범위한 투자상품은 VTI, 대형주에 좀더 집중한 SPY로 정리할수 있겠네요.

5. 주가 전망

미국 경제와 주식 시장 흐름에 따라 VTI의 주가가 결정됩니다.

미국 경제의 성장이 지속된다면 VTI ETF 주가도 상승할 것입니다. 현재 경기 순환 사이클을 보면, 미국은 경기 하락 국면으로 접어들었는데요. 큰 틀로보면 당분간 침체기를 거쳐 회복 곡선을 그리겠습니다.

주식 시장 분위기도 중립적이고,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서 당분간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기엔 힘들어 보이는데요.

tipranks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가 $282.05 대비 약 10%의 상승 여력이 있다고 나왔습니다.

  • 12개월 평균 목표가 $311.41
  • 최저 목표가 $255.96 ~ 최고 목표가 $364.40
    (3,625명의 애널리스트 분석결과)

종합적인 분석 결과 시장에서는 중립적인 성향을 띄고, 분석가들은 매수 의견이 많습니다.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NAV 0.39%
  • 괴리율 0.01%
  • 베타 1.01

괴리율 0.01%면 ETF의 가격이 순자산가치와 거의 일치하다는것입니다.
주가가 과대평가 되어있지 않고, 베타 역시 1.01로 시장의 변동성과 동일해 시장의 상승과 하락에 같은 움직임을 보입니다.

6. 결론

아주 낮은 비용과 높은 유동성이 장점인 VTI는 중,소형주를 포함해 미국 전체 주식 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과거 1년간 약 34%의 좋은 성과를 보여줬지만, 현재 미국 경기 흐름을 잘 파악해 투자 시점을 잡는것이 좋습니다.

경기 순환 사이클에 따르면 현재 경기 하락 국면에 위치해있어,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을 노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장기투자 관점으로 경제 흐름을 파악해 가며 투자 시점을 잡으세요.

VTI는 투자자에게 미국 주식 시장의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투자 전략을 제공하는 ETF입니다.

VTI

S&P500 지수 뜻, 구성 종목, 산출 방법, 투자 전략 이해하기

S&P500 지수 는 미국 시장 전반에 걸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 지수 중 하나입니다.

Standad & Poor’s에서 관리하고, 미국 내 500개 기업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합니다.
s&p500 지수는 경제학자, 투자자, 정책 관련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활용하는 중요한 지표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이 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S&P500 지수 역사

1957.3.4. 처음 발표된 s&P500은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된 최초의 지수입니다.
기존의 다양한 지수들이 있었지만, 더 많은 기업을 포함해 시장 전체적인 흐름을 잘 반영한 지표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발표 이후 많은 경제 위기와 변화를 겪었는데요.
87년 블랙먼데이, 2000년 닷컴 버블, 2008년 금융위기 등을 겪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 S&P500 지수 구성

미국 주식 시장에서 시가총액 기준 대형 500개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약 130억 달러 이상인 기업들이 주로 포함되어 있고, 다양한 산업을 대표하며, 안정적인 기업 운영과 양호한 재무 성과를 가진 기업이어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에서 활동하는 대형 기업 중 몇 가지 기업을 살펴보겠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
  • 애플: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제품 제조
  • 알파벳: 구글의 모회사, 검색 엔진 및 광고 사업
  • 아마존: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테슬라: 전기차, 재생 에너지 제품 제조
  • 버크셔해서웨이: 투자, 보험 분야에서 활동
  • 존슨앤드존슨: 헬스케어 및 소비재

3. 산출 방식

시가총액 가중 평균값입니다. 각 기업의 시가총액이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가중치가 변하게 되는데요.

이런 산출 방식은 대형 기업의 주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시총이 큰 대형 기업의 주가 상승과 하락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이죠.

그 결과 지수의 변동성은 잘 반영하지만, 대기업에 과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지수는 매일 거래 종료 후 업데이트되고, 정기적으로 재편성됩니다.

  • 정기 재편성일 : 매 분기마다 재편성됨 (1월, 4월, 7월, 10월)
  • 비상 재편성: 기업의 합병, 파산, 인수 등 급격하게 변화가 발생한 겨우

정기 재편성, 비상 재편성을 통해 시장의 최신 동향을 반영하도록 합니다.

4. S&P500 지수 활용 투자 전략

s&P500은 상장지수펀드(ETF)로 손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초보 투자자, 개인투자자에게 아주 유용하고 인기 많은 투자 대상이 됩니다.

S&P500에 투자는 장기투자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곡선을 그려왔습니다.

주식 시장에 투자한다면 단기적인 변동성은 감내해야 합니다.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한다고 할지라도 리스크는 있습니다.

5. 경제적 의미

미국의 대표 지수 중 하나로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입니다.

지수의 상승은 기업의 성장성과 소비자 신뢰 상승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고,
반대로 지수의 하락은 경기 침체와 같은 시장의 불안감,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많은 투자자과 경제학자, 정책 입안자 등은 S&P500 지수를 경제 동향을 판단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6. 총 정리

s&P500은 미국 경제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미국의 다양한 산업을 포함하고, 대형 기업의 성과를 반영합니다.

경제와 관련한 이해 관계인들에게 경제 분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고, 투자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힌트를 주기도 합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지수의 하락으로 리스크도 커지지만, 오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 꾸준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지표입니다.

경제와 투자에 깊이 있는 통찰을 배울 수 있는 S&P500지수를 잘 활용해 건전한 투자를 영위할 수 있습니다.

더 보기 “S&P500 지수 뜻, 구성 종목, 산출 방법, 투자 전략 이해하기”

S&P500 ETF 비교 수수료 수익률 배당 : SPY SPLG VOO IVV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미국상장 ETF 4개를 알아보고,

포트폴리오, 수수료, 수익률 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S&P500 지수

>> 지수차트(click!)

S&P500지수는 미국의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미국의 대표 지수 중 하나입니다.

Standard & Poor’s의 약자로 미국 시장 전반에 걸친 경제 흐름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S&P500지수는 기업의 시장 가치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산출하여 대형 기업일수록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등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 대기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SPY, SPLG, VOO, IVV를 살펴볼게요.

2. S&P500 ETF

S&P500 ETF 순자산총액 순위표
s&p500 인덱스펀드 AUM순위

2-1 SPY S&P500 ETF

  • 발행사: SPDR State Street
  • 상장일: 1993.01.22.
  • 현재가: $571.47
  • 순자산총액: $589,484M
  • 수수료: 0.0945%

2-2 SPLG S&P500 ETF

  • 발행사: SPDR State Street
  • 상장일: 2005.11.08.
  • 현재가: $67.22
  • 순자산총액: $46,148.5M
  • 수수료: 0.02%

SPY와 SPLG는 동일한 자산운용사의 ETF입니다. 순자산총액, 현재가, 수수료에서 차이가 있을뿐 같은 지수를 추종하고 거의 똑같은 성과를 나타냅니다.
SPLG가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낮고, 현재가 역시 67달러로 부담이 적어 투자 접근에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2-3 VOO

  • 발행사: Vanguard
  • 상장일: 2010.09.07.
  • 현재가: $525.38
  • 순자산총액: $524,885.9M
  • 수수료: 0.03%

2-4 IVV

  • 발행사: iShares
  • 상장일: 2000.05.15
  • 현재가: $574.07
  • 순자산총액: $526,847.1M
  • 수수료: 0.03%

SPY, VOO와 IVV는 1주당 가격이 520달러~580달러 정도를 유지하고 있고, 순자산총액 약 685조 이상으로 미국상장 ETF 중에서도 손꼽히는 대형 펀드입니다.

S&P500지수를 기초지수로 구성종목 500개 기업에 유사한 비율로 투자합니다. 그 결과 성과 역시 비슷한데요. 약간의 차이점이라고 하면 운용사가 다르고, 수수료율 정도를 꼽을 수 있겠네요.

2. 구성 종목

산업별 투자 비중을 살펴보면 IT섹터에 약 33% 내외, 금융 12%, 헬스케어 11%, 경기소비재 10%, , 통신서비스 8%, 산업재 7%, 필수소비재 5%, 에너지 3%, 유틸리티, 소재, 부동산에 약 2%로 구성됩니다.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비중의 34%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종목 구성은 거의 같기 때문에 대표로 SPY의 10개 종목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애플 6.9%
  • 엔비디아 6.69%
  • 마이크로소프트 6.67%
  • 아마존 3.49%
  • 메타 2.48
  • 알파벳 classA (GOOGL) 2.06%
  • 알파벳 classC(GOOG) 1.73%
  • 버크셔해서웨이 1.71%
  • 일라이릴리 1.61%
  • 브로드컴 1.53%

참고로, GOOGL은 주주에게 의결권이 있는 클래스 A주식입니다. GOOG는 클래스 C로 의결권이 없습니다. 의결권은 없지만 배당금이나 주가 상승을 통한 이익은 얻게 됩니다.

3. 수익률 및 배당

SPY : 24.9.27.기준

  • 1주 0.57%
  • 1개월 2.08%
  • 3개월 4.92%
  • 6개월 9.92%
  • YTD 21.37%
  • 1년 35.95%
  • 3년 10.51%
  • 5년 15.90%
  • 10년 13.18%

연간 분배율 1.23%입니다. SPY 기준으로 연간 지급금 7.01달러, 5년 배당성장률 5.04%입니다.
4개 ETF 모두 비슷한 성과를 보입니다. 운용 규모와 수수료, 운용사의 차이 외에는 비교 우위를 정하기 힘듦니다.

4. 비교 결론

SPY, SPLG, VOO, IVV는 모두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입니다.
가장 유명하고 거래량이 매우 높은 SPY, 큰 규모와 낮은 비용의 IVV, VOO.
가장 낮은 수수료와 1주당 가격이 낮아 소액 분산투자에 유리한 SPLG.

s&p500 etf 비교표
s&p500 etf 비교표

각각의 장점을 확인하고, 투자자의 성향 목표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SPLG를 선택했는데요. 그 이유는 운용 규모나 기간으로 봤을 때 모두 안정적인 ETF라고 판단했고,
그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수료와 1주당 가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주당 가격이 500달러 이상 넘어가면 정기적으로 매수하기에 부담이 되는데,

SPLG의 경우 1주당 가격이  $67정도로 매달 꾸준히 모아가기에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s&p500 국내상장 etf 글자           

금 종류 1돈 g단위 24 18 14k 금값 시세 확인법

금 종류 단위 시세확인

금은 아주 중요한 귀금속이면서, 유한한 투자자산입니다. 금은 오랜 기간 화폐로 사용되었고,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이죠.
그 희소성 덕분에 현재까지 주얼리로 사용되고 가치 있는 안전자산으로 인정받습니다.

오늘은 금 종류 와 1돈, 금괴, 금바의 단위를 알아보고 실시간 금 시세 확인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금 종류 24k 18k 14k 시세표
금 시세표 9.30.기준

1.금 종류

1-1 24k 18k 14k 금 종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k”를 사용합니다. 캐럿의 약자인 케이 ‘k’는 우리가 금반지 등 액세서리를 보면 안쪽 면에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24k는 순수한 금을 의미합니다. 보통 돌반지로 활용되고, 다른 금속이 전혀 섞이지 않아 투자용으로 적합합니다.

18k는 금 함량 75%, 다른 금속 25%가 들어있습니다. 주로 은, 구리가 섞여 있는데요. 덕분에 순금보다 단단하고 다양한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14k는 금 53.8%, 다른 금속 41.7% 구성비를 갖습니다. 위 2가지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액세서리로 널리 사용됩니다.

  • 24k : 순수 금 99.99% 가장 고가. 투자용, 돌반지 등 활용됨. 쉽게 변형이 가능.
  • 18k : 금 75% (순금 18/24), 비교적 높은 순도로 색상과 광택이 뛰어남. 진한 금색
  • 14k : 금 53.8% (순금 14/24),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실생활용으로 적합. 연한 금

1-2 옐로우골드, 화이트골드, 레드골드, 로즈골드 금 종류

합금 기반으로 색깔에 따라 종류를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 옐로우골드: 일반적으로 순금을 의미합니다. 클래식한 느낌.
  • 화이트골드: 백금으로 불립니다. 순금에 팔라듐, 니튬 등의 금속을 혼합하여 만듭니다. 은백색으로 세련된 느낌.
  • 레드골드: 구리를 많이 혼합합니다. 붉은색이 강해 개성있는 느낌.
  • 로즈골드: 구리를 혼합하는데 레드골드 보다 구리의 함량이 더 많습니다. 분홍빛으로 부드럽고 로맨틱한 느낌.

2. 금 g 단위

“금 1돈에 얼마” 우리는 한 돈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금을 사고 팔때 주로 사용하는 1돈, 금괴, 금바의 단위를 알아보겠습니다.

2-1 1돈

국내에서만 사용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1돈을 3.75g을 의미합니다. 해외에서는 주로 그램(g)이나 온스(oz)를 사용합니다.

소량 단위로 거래하던 것이 문화로 자리 잡으며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1돈 이라는 단위를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최근에는 1g단위까지 소량 거래되는 경우도 많고 국제적으로 비통용되어 g으로 표현하는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 1g = 금속의 기본 단위. 표준
  • 1돈 = 3.75g
  • 1oz = 31.1035g

2-2 금바, 금괴

금바, 금괴 모두 보통 99.99% 24k로 제작합니다. 이런걸 ‘퍼펙트 골드’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금바”는 1g~20g정도의 소형 금으로 얇은 직사각형 형태를 의미하고,

“금괴”는 1kg = 1,000g로 금바 보다 더 두껍고 큰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 그 모양은 다양해지는 추세입니다)

금괴는 보통 사각형의 모양으로 겉에 제조사, 순도, 무게가 각인되어 제작됩니다.

3. 금 값 시세확인법

금 시세는 한국 거래소 또는 국제 거래소를 통해 실시간 금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한국거래소 : 한국거래소 웹사이트
  • 국제표준 금 시세 확인:  런던 금시장(LBMA), 뉴욕상업거래소(COMEX)

투자자가 참고하면 좋은 지표로는 GLD가 있습니다.

금 시세에 따라 성과를 나타내는 미국상장 ETF로 금 가격을 추적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금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대한민국금거래소 1g 콩알금과 24k 돌반지 제작이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참고하세요.

 

 

XLU ETF 미국 유틸리티 구성 종목 수익률 주가전망(VPU비교)

XLU ETF 미국 유틸리티 섹터에 투자. 유틸리티의 기본 개념과 유틸리티섹터 순자산총액 1위 XLU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게요.

1. 유틸리티

  • 유틸리티 섹터는 주가 상승으로 시세차익보다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 관련 기업들은 전기, 수도, 가스 등 필수 서비스를 제공해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습니다.=필수 서비스
  • 기후 변화 대응 정책으로 성장 가능성도 존재하죠.

그런데 최근 유틸리티 섹터의 주가가 상당히 오른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 이유로는 전력공급난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전력 공급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 정책의 시행, 극단적인 기후 변화, 경제 회복 등 앞으로 전력 공급난이 심화되면서 유틸리티 기업들이 안정적인 수익원을 제공하는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XLU ETF 개요

  • 운용사: 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기초지수: S&P Utilites Select Sector
  • 상장일: 1998. 12. 16.
  • 순자산총액: $18,255M
  • 총 수수료:0.09%
  • 현재가: $79.76

XLU ETF는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유틸리티 회사에 분산 투자합니다. 전기, 수도, 가스, 재생 가능 에너지와 같은 필수 서비스 제공 업체들인데요. 경기 침체기에도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특성이 있어 위험회피형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섹터입니다.

2-1 XLU ETF 종목 구성(상위5개)

  • 넥스트라에너지 14.32% (주로 태양광, 풍력을 통해 전기 생산, 전통적인 발전소와 에너지 저장, 스마트 그리드 기술에도 투자)
  • 서던 8.38% (미국 남부지역 전기와 가스 공급, 특히 석탁과 천연가스를 활용해 전력생산)
  • 듀크에너지 7.62% (미국 북동부, 남부지역 전력 공급, 강력한 인프라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 콘스텔레이션 에너지 5.43% (주로 전력 도매 및 소매시장에서 활동, 에너지 소비 최적화에 초점)
  • 아메리칸 일렉트릭파워 컴퍼니 4.52% (발전소, 재생가능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S&P500유틸리티 섹터 지수를 추종하며, 전통적인 발전소 운영 기업과 청정에너지 전환 중인 기업들에 투자합니다.

2-2 XLU ETF 수익률 확인

24.9.24.기준

  • 1개월 : 6.46%
  • 3개월 : 15.14%
  • 6개월 : 26.74%
  • 1년 : 30.15%
  • 5년 : 7.67%

2-3 주가 전망

XLU ETF 주가전망 차트
XLU ETF 주가전망

분석가들의 구성 종목에 대한 매매 의견을 종합해 보면, 매수 24개 보유 9개로 종합 매수 의견입니다.

12개월 예상 최저 목표가는 $70.78이고, 최고 목표가 $91.79입니다.

현재가 $79.76 대비 약 1.99%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결과입니다.

이 수치는 제가 지난 6월 살펴본 결과보다 낮아진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사이 주가가 많이 올랐다는 의미겠죠.
이런 거 보면 참 매수 적기를 잡는 것이 쉽지 않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전력 수요 증가와 공급난 우려가 커지면서 유틸리티 섹터 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정보 기술 관련주들이 주춤하는 순간, 그 사이를 유틸리티, 리츠, 필수 소비재 섹터가 메꿔주는 느낌이 드네요.

 

3. 유틸리티 ETF : VPU비교

XLU와 자주 비교되는 VPU가 있습니다.

XLU의 투자 종목 수는 34개, VPU는 69개인데요. VPU의 경우 유틸리티 관련 기업에서도 중,소형주를 포함 폭넓게 투자합니다. 상대적으로 XLU는 대형 유틸리티 주식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데요. 상위 10개 종목의 구성이 거의 같고, 비중이 50% 이상으로 유사한 성과를 나타냅니다.
순자산 총액기준 XLU가 VPU보다 약 2.2배가 더 크고, 수수료는 0.01% 낮습니다.

XLU VPU ETF 비교표.
XLU vs VPU

기본 정보만 비교해 봤는데,
유틸리티 ETF 중 운용 규모도 가장 크고 수수료율이 낮은 XLU를 많이 선택하는 이유가 있었네요.

4. 정리

XLU ETF는 유틸리티 대형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매력적인 투자 상품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고 지금의 시장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추가로 주가 상승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게 유틸리티 섹터입니다.

이런 예상은 경기 순환 사이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지금 미국은 경기 확장기의 막바지입니다. 경기 순환에 따라 곧 후퇴기에 접어든다는 걸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이 8월부터 해소되었고, 금리 인하가 시작되었습니다.

몇 가지 지표들을 종합해서 생각해 보면 하반기 xlu의 전망은 밝다고 생각됩니다.

어쩌면 시장에서는 이미 이런 분위기가 반영된 것 같기도 하네요.

 

코리아 밸류업 지수 궁금증 QnA 한국거래소

코리아 밸류업 지수 발표에 따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밸류업 지수 100종목에 대해 알아봤었습니다.
글을 보기에 앞서 먼저 밸류업 관련 용어와 종목을 살펴보고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이제 곧 실시간 지수가 공개되는데요. 지수와 관련된 궁금증들을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Q. 코리아 밸류업 지수 포함 종목 100개로 선정한 이유?

A. 자산운용사와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100종목으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업계에서는 현재 코스피200과 차별성을 강화하자는 의견과 운용상의 편의성, 선정 기업의 대표성 등을 감안해 약 100개에서 150개의 종목을 선정하길 희망했습니다. 100종목 이하로 지수를 구성할 경우 유동성 문제 등 자금 유입에 제약이 생길 우려가 있어 100종목으로 확정되었습니다.

 

Q. 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공시기업에 인센티브?

A.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계획 할 초기에는 공시기업의 편입 기준 완화와 같은 특례가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시총 요건 미달 등의 사유로 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기업이 존재했습니다.

최소 요건 미달로 미편입된 기업은 콜마홀딩스, 에프앤가이드, 에스트래픽, 디케이앤디, DB금융투자 가있는데요.

이들 기업에 대해서 한국IR협의회와 연계한 정기기업보고서를 발간하고 기업홍보와 투자자 미팅 기회를 제공, 공시우수법인 코스닥 대상 가점 등의 지원이 이뤄집니다.

추후 추가적인 인섹티브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 특례없이 정식 기준에 의해 편입된 기업: 메리츠금융지주, DB하이텍, 키움증권
  • 특례를 통한 편입 기업: 현대자동차, 우리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신한지주
  • 최소요건 미달로 미편입된 기업: 콜마홀딩스, 에프앤가이드, 에스트래픽, 디케이앤디, DB금융투자

Q. 코리아 밸류업 지수 와 관련된 투자 상품은?

A. 9월 30일 실시간 지수가 공개된 이후 관련 투자 상품의 상장 예비 심사 등이 이뤄집니다. 통상 6~8주 정도 걸리기 때문에 11월 초 ETF가 상장될 예정입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지수 선물은 11.4. 상장 예정입니다.

 

Q. 후속 지수 개발 추진?

A. 이번 코리아밸류업지수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후속 지수 개발 수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예를 들면, 밸류업 지수를 활용한 레버리지 지수, 섹터지수, 밸류업 top10지수, 옵션 전략 지수등이 그것인데요.

향후 신뢰도 높은 세부 선별 기준을 마련하고 시장의 의견을 수렴해 후속 지수 개발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Q. 일본의 밸류업 지수와 차별점?

A. 일본은 JPX150지수가 있습니다. 자본효율성이 우수한 75개 종목과 시장 평가가 우수한 기업 중 시총 상위 75종목을 기준으로 구성 종목을 선정한 지수인데요.

해당 지수와의 차별점은 코리아밸류업지수의 경우 투자 지표를 폭넓게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는 점입니다. 산업군 내에서 상대평가를 도입해 업종 대표성을 강화 하였고, 밸런스를 고려해 선정되었습니다.

Q. PBR과 ROE를 주요 지표로 선택한 이유?

A.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요인으로 낮은 자본효율성과 주주환원이 지목되었습니다.
실제로도 국내 증시의 ROE와 배당 성향은 주요국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입니다. 두 지표가 국내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핵심 지표입니다.

  • PBR은 업종마다 편차가 크기 때문에 산업군 내에서 상대평가를 도입해 상위 50% 이내의 기업을 선정하였고,
  • ROE는 국내 증시 저평가 요인의 핵심 지표로서 수익성과 자본구조 개선의 노력을 위해 산업군 내 순위 비율 우수 100개 기업을 선정하는 방식을 적용합니다.

 

더 보기 “코리아 밸류업 지수 궁금증 QnA 한국거래소”

허니콤블라인드 단점 탑다운 설치 사용리뷰

허니콤블라인드 요즘 가장 선호되는 블라인드 중 하나입니다.

허니콤블라인드는 두 겹의 원단이 맞물려 벌집 모양을 만들어내 붙여진 이름인데요.
이러한 구조 덕분에 공기층이 생겨 단열 효과를 높여주고, 다양한 조절 방식으로 빛 차단이 가능합니다.

제가 실제 설치한 경험을 바탕으로 허니콤블라인드의 장점 단점을 알려드릴게요.

1. 허니콤블라인드 장점

  • 여름에는 외부의 열을 차단, 겨울에는 실내 온기를 유지
  • 추가 옵션으로 탑다운 선택 시 자연광을 위, 아래에서 조절 가능
  • 저층 세대의 사생활 보호 강화
  •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 암막 기능 강화 가능
  • 반자동 시스템으로 사용의 간편화
  • 무타공 설치가 가능해 초보자도 쉽게 설치

2. 허니콤블라인드 단점

  • 일반블라인드 대비 다소 높은 가격
  • 습기가 많은 곳에서 원단 처짐이나 손상 우려
  • 탑다운 방식의 경우 복잡한 조작 방법
  • 탑다운방식은 양쪽에 조절 끈이 달려있어 미관상 조잡한 느낌

허니콤블라인드 설치

3. 설치 방법

허니콤블아인드를 설치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천장 벽을 뚫어서 고정하는 것과
이지홀더, 노노피스, 노피스, 안뚫어 고리 등으로 불리는 무타공 설치 방법입니다.

저는 타공과 무타공 두 가지 방법으로 설치를 해봤는데요.

타공해서 설치하는 게 확실히 안정감이 있습니다.

반면, 무타공 설치는 정말 누구나 설치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고
추후 이사 등으로 제거할 때에도 비교적 간단히 철거가 가능합니다.

무타공 설치에 필요한 부자재는 블라인드 길이에 따라 최소 2개~ 4개를 설치해야 하는데,
제 경험상 길이가 길다 싶으면 3개보다는 보수적으로 4로 설치하는 게 훨씬 튼튼하고 안정감 있습니다.
무타공 설치를 위한 피스는 2개당 대략 4,500원~7,000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듭니다.

참고로 무타공 설치시 블라인드에 끼워서 설치하기 때문에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 뻑뻑하게 열릴 수 있습니다.

샷시 타입마다 길이가 다르기때문에 무타공 선택 전 꼭 여유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세요!

허니콤블라인드(컬러:웜그레이)

4. 사용 총평

허니콤 블라인드는 원단 재질이 구김이 안 가고 물에 강한 편입니다. 오염되더라도 물티슈로 쉽게 닦아낼 수 있어서 관리하기가 편합니다.

암막 기능을 원한다면 원단 안쪽 내부 면을 흰색이 아닌 검정계열의 은박원단을 선택하세요. 주의해야 할 점은 블라인드 2개를 이어서 설치할 경우 약간의 빛이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붙여서 설치해야 합니다.

1개를 설치하더라도 양쪽에 여유분을 줘야 암막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요.

허니콤블라인드는 추가로 선택하는 옵션이 다양한편입니다.

꼭 확인해야 할 3가지는 세미오토, 탑다운, 무타공 피스입니다.

4-1.첫 번째 세미오토

세미오토란? 블라인드를 내릴 때 줄을 잡아당기는 형식이 아닌 한번 “톡” 당겨주면 자동으로 내려가는 기능입니다.

상단으로 올릴 때도 속도가 빨라서 굉장히 유용한 옵션입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이건 거의 필수로 선택해야 하는 옵션 같습니다. 굉장히 편리한 기능이에요.

허니콤블라인드 탑다운 설치된 모습
허니콤블라인드 탑다운 (컬러: 화이트)

4-2.두 번째 탑다운

탑다운은 블라인드 상단부를 내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건 주로 저층 세대를 위해 나온 기능으로 볼 수 있는데요.

창문에서 가운데 부분만 블라인드로 가릴 수 있어서 채광은 살리고, 사생활은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있습니다.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약간의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도 낼 수 있습니다.

탑다운은 장점도 있지만, 조절 끈이 양쪽에 두 개라 블라인드를 이어서 설치하면 끈이 조잡해 보일 수 있고, 조작하는데 순서가 있어서 처음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탑다운 사용 영상>> CHECK!

4-3. 세 번째 무타공 설치

우선 블라인드를 단단하게 부착하고 싶다면 타공을 한 뒤 설치하는 걸 추천합니다.

하지만, 타공이 힘든 초보자이거나 블라인드에 간단하게 설치하고 싶다면 무타공 설치고 나쁘진 않습니다. 블라인드의 가로 길이가 길다면 안정적으로 피스를 4개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해 공간에 맞는 블라인드를 찾으시길 바랍니다! 더 보기 “허니콤블라인드 단점 탑다운 설치 사용리뷰”

경제 경기 뜻 차이점 예시로 알아보는 용어정리

경제 경기 두 단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다는 용어입니다. 저 역시 경제 위기, 경기 침체와 같은 말들을 많이 듣고 사용하지만, 두 단어의 의미를 구분해서 생각해본 적은 없는데요.

오늘은 경제와 경기 용어 정리와 그 예시를 살펴보고 차이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제 경기 용어가 써있다1. 사전적 의미

경제는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모든 활동. 이것을 통해 이뤄지는 사회적 관계를 뜻합니다.

경기는 매매나 거래에서 나타나는 호황, 불황의 경제 활동 상태를 의미합니다.

경기는 특정 기간이나 주기를 나타내고 다양한 지표를 통해 측정 되고,
경제는 서비스의 생산, 소비 등 관련된 모든 활동과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2. 차이점

경제는 전체 구조, 시스템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경기는 경제 활동의 상태가 흐름을 특정 기간, 시점에 초점을 맞춘 개념입니다.

경제는 항상 변화하며 지속적인 반면 경기는 특정 기간에 한정되고 주기적으로 반복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기 순환 사이클”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죠.

경제는 고용률, 물가, GDP 등 다양한 종류의 지표를 통해 설명하게 되고, 경기는 소비자 신뢰 지수나 경기 순환 지표 등 특정 지표를 통해 분석 평가됩니다.

3. 용어 활용 예시

3-1. 경제 경기

  • 지속적인 투자와 혁신이 국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입니다.
  • 정부는 저성장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경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 세계 경제는 현재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습니다.
  • 경제 발전, 경제가 안정되다, 경제가 침체되다.

3-2. 경기

  • 전문가들은 내년부터 경기 침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경제가 성장하고, 정체기를 거쳐 다시 성장하는 것을 경기 순환 주기라고 말합니다.
  • 경기가 회복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경기 부진, 경기 침체, 경기를 타다.

4. 경제 경기 : 정리

두 단어 모두 경제 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용어입니다. 이 두 단어는 의미과 그 범위에서 차이점을 갖습니다.

경제는 생산, 소비, 분배와 같은 전체 시스템을 모두 포함하며 경제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는데 쓸 수 있습니다.

경기는 경제 활동의 단기적, 기간의 변동을 나타내는 용어로 경제의 현재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경제 전반에 걸쳐 심각한 문제를 발생 시킨 상황인 2008년 금융 위기,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를 “경제 위기” 라고 표현한다면,

경기 사이클의 한 부분으로 경제 활동의 주기적인 하락이 나타난 2001년 미국 경기 침체, 코로나19로 경제 활동 감소가 일어난 과정을 “경기 위기”라고 표현합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산업군 및 보도자료 확인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선정 방법부터 종목 리스트 확인!

해당 지수는 기업의 매출 성장률, 투자 효율성, 고용 창출, 혁신력 등을 평가해 기업의 경쟁력을 수치화 한 지수입니다.
지난 24일 밸류업지수의 구성 종목과 선정 기준이 발표되었고, 곧 실시간 지수가 공개되는데요.
30일 공개되는 실시간 지수를 확인하기전에 종목 선정 기준을 간단히 살펴보고, 어떤 기업이 포함되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지수 개요

  • 명칭: 코리아밸류업 지수 Korea Value-up Index
  • 기준시점” 24. 1. 2.
  • 구성종목: 100종목
  • 정기 변경: 매년 6월로 연1회
  • 방식: 유동시가총액가중방식
  • 비중상한: 개별종목 비중 15%로 제한

2. 선정 기준

시가총액 + 수익성 + 주주환원 + 시장평가 + 자본 효율성 = 기업가치 창출.

  • 시가총액은 상위 400위 이내,
  • 최근 2년 연속 적자이거나 2년 합산 손익 적자 제외,
  • 최근 2년 연속 배당을 줬거나 자사주 소각을 실시한 경우,
  • PBR 순위가 전체 또는 산업군 내 50% 이내,
  • 위 4가지를 충족한 기업 중 ROE 순위 비율이 우수한 기업 100개를 선정.

3. 산업군 비중

한국 경제 산업구조를 고려해 전체 산업군을 고르게 편입되어있습니다.

정보기술 24종목, 산업재 20종목, 헬스케어 12종목을 필두로 자유소비재, 금융, 에너지등 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종목 산업별 비중 그래프
코리아 밸류업 지수 산업별 비중

4.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리스트

4-1 정보기술 :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DX, 한미반도체, LG이노텍, HPSP, 리노공업, DB하이텍, 이수페타시스, LX세미콘, 주성엔지니어링, 티씨케이, 파크시스템스, 심텍, 하나머티리얼즈, 해성디에스, 드림텍, 두산테스나, 원익QnC, 비에이치, 넥스틴, 이녹스첨단소재, 피에스케이, 코미코

4-2 산업재 :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HMM,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한항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글로비스, 두산밥캣, 한국항공우주, 한진칼, HD현대일렉트릭, 팬오션, LIG넥스원, 에스원, HD현대인프라코어, 현대엘리베이,한전KPS, 에스에프에이, 에코프로에이치엔, 윤성에프앤씨, 경동나비엔, NICE평가정보

4-3 헬스케어 : 코리아 밸류업 지수 종목

셀트리온, 한미약품, 클래시스, 케어젠, 메디톡스, 텐티움, 종근당, 파마리서치, 씨젠,JW중외제약, 동국제약, 엘앤씨바이오

4-4 자유소비재

현대차, 기아, F&F, 코웨이, 휠라홀딩스, 에스엘, 한세실업, 메가스터디교육, 골프존, 케이카, 쿠쿠홈시스.

4-5 금융/부동산

신한지주, 삼성화재, 메리츠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DB손해보험, 미래에셋증권, 한국금융지주, 현대해상, 키움증권, 다우데이타

4-5 소재

고려아연, 한솔케미칼,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효성첨단소재, 나노신소재, 효성티앤씨, 동원시스템즈, TKG휴켐스.

4-6 필수소비재

KT&G, 오리온, BGF리테일, 동서, 오뚜기, 삼양식품, 롯데칠성, 콜마비앤에이치

4-7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엔씨소프트, JYP Ent, 에스엠, 제일기획, SO OP.

4-8 에너지

S-oil

 

더 보기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산업군 및 보도자료 확인”

밸류업 뜻 경제용어 정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지수 요약 정리

밸류업 프로그램
밸류업

1.value up 뜻

밸류업 (Value Up)은 기업이나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과정을 뜻합니다.

Value : 가치, 소중하게 여기다, (가치, 가격을) 평가하다.

기업에서는 경영 개선, 기술 혁신, 마케팅 전략 등을 활용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 노력하는데요. 최근 나이키 실적 하락으로 ceo가 교체되었는데 이 또한 밸류업을 통해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밸류업과 관련된 몇 가지 용어들을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2. 기업밸류업 프로그램

기업 밸류업프로그램이란? 정부와 유관기관이 함께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국내 주식시장은 양적 성장을 이뤄왔음에도 저평가받고있는 상황인데요. 이것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합니다.
이를 극복하고 발전하기 위해 지원 방안을 마련한 것입니다.

주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상장기업의 자율적 재무지표 선정
  •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 공시, 이행.
  • 한국거래소에 전담 부서 설치, 지원체계 구축.

3. 밸류업지수

밸류업지수는 (Value Up Index) 기업 가치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얼마나 효과적으로 가치를 증대하는지 알 수 있는 평가 자료로 볼 수 있죠. 이 지표를 통해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요소까지 고려해 기업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3-1. 밸류업 지수 산출 방법

밸류업 지수는 여러요소를 종합해 산출합니다.

재무 지표(매출 성장률, 순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ROE 등)
+ 시장 반응(주가 변동률, 시장 정유율)
+ 혁신 지표(R&D 투자, 신제품 출시 개수)
+ 운영 효율(원가 절감 비율, 생산성 지표) 등
이러한 지표를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 점수를 매기고 종합 점수로 최종 밸류업 지수를 산출하게 됩니다.

3-2. 밸류업 지수 활용

  • 밸류업지수는 다양한 측면으로 기업 가치를 측정하는 분석 자료로 활용됩니다.
  • 투자자에게는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판단하고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업 스스로 밸류업 지수를 분석하여, 개선 사항이나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전략을 세울수 있게 도와줍니다.
  • 동일 산업 내에서 기업간의 상대적 비교가 가능합니다. 기업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활용 할 수 있습니다.
  • ESG 성과와 관련된 지표가 포함되어 있어,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 평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4. 정리

오늘은 밸류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기업의 경쟁력은 단순히 수익, 매출 증가를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고객 가치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밸류업”은 기업이 자산 가치를 극대화하고,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요.
밸류업은 기업의 미래를 밝히고 동시에 국가의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참고로 9월 30일에 실시간으로 밸류업 지수가 공개되는데요.

밸류업 지수 산출 이후 관련 ETF 상장 심사가 돌입되어 11월 초에 관련 펀드들이 상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수선물 역시 11월 4일 상장 예정으로 발표되었고요. 이번 지수에 포함된 100종목은 국가에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우량주들이 포함되어 있고, 해당 기업 보유 주주들은 배당소득세 감면 혜택이 있어 국내 주식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비교 TIGER KODEX ACE RISE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4가지를 비교해보고 투자자에게 맞는 최적의 ETF를 찾아보겠습니다 .

최근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안전한 투자처를 찾고있습니다.

그 중 빠지지 않는 투자상품은 뭘까요?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미국 대표지수 중 하나로 미국 시장 전반에 걸쳐 분산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입니다.
미국의 대표 500개 기업에 투자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하는 것이죠.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TR, ACE 미국S&P500, RISE 미국S&P500은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ETF입니다.
각각 어떤 특징을 갖는지 비교해보고 투자자 성향에 맞는 etf는 무엇일지 모색해보겠습니다.

위 4가지를 선정 기준은 국내 상장 주식형 ETF 중에서 100위권 안에 드는ETF입니다.

1.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4종: 개요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4개 비교표

1-1 TIGER 미국S&P500

발행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 2020.08.07.
순자산총액: 45,637억 원 (국내 ETF 896개중 4위)
총 보수율: 0.1789%
현재가: 19,005원

1-2 KODEX 미국S&P500(TR)

발행사: 삼성자산운용
상장일: 2021.04.09.
순자산총액: 16,565억 원 (16위)
총 보수율: 0.1837%
현재가: 17,370원

1-3 ACE미국S&P500

발행사: 한국투신운용
상장일: 2020.08.07.
순자산총액: 12,443억 원 (27위)
총 보수율: 0.1714%
현재가: 19,215원

1-4 RISE 미국 S&P500

발행사: KB자산운용
사장일: 2021.04.09.
순자산총액: 5,270억 원 (66위)
총 보수율: 0.1372%
현재가: 16,635원

순자산총액 기준으로 봤을 때 TIGER가 45,637억 원으로 압도적으로 크네요. 국내 상장 896개의 ETF중 4위로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대표 펀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1주당 가격이 모두 2만원 이하로 분할 매수하기에 부담이 없네요. 수수료는 KB자산운용의 RISE가 0.1372%로 가장 낮습니다.
주식형 ETF의 평균 수수료가 0.5759%인 걸 감안하면 모두 낮은 수수료율에 속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참고로 수수료는 리밸런싱 등 상황에따라 변동 할 수 있습니다.
상장일이 20년 21년으로 약 3년 정도의 운용 기간을 거쳤으니 어느 정도 검증은 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낮은 수수료가 무조건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최근 상장한 ETF의 경우 수수료율이 크게 변동할 수 있어서 주의해야합니다. ]

2. 종목구성; SPY VS 국내 상장 미국 S&P500

s&p500지수를 추종하는 미국 상장 대표 spy의 구성 종목을 먼저 살펴볼게요.

국내 ETF역시 SPY와 거의 같은 포트폴리오를 구현하기 때문에 SPY의 동향을 살펴보면 투자에 도움이 됩니다.

2-1 SPY 구성 종목

SPY 구성종목 도넛차트
SPY 구성종목 상위10개

상위 10개 종목 중 눈에 띄는 건 역시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입니다. 각각 6%이상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요, 이 세 종목은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QQQ에서도 비중 3위이내로 동일하게 투자되는 종목입니다. 어디가도 빠지지 않는 종목들이죠.

2-2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구성 종목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구성종목10개의 도넛차트
TIGER 미국S&P500 ETF 구성종목

SPY와 비교해보면 종목 구성은 10개 모두 동일합니다. 투자 비중에서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전 이 정도는 크게 신경쓰진 않아요.

국내 상장 4개의 구성 종목 아주 약간의 투자 비중(%)차이만 있는 상황인데요. 거의 같은 ETF로 봐도 무방합니다.

섹터별로 투자 비중을 확인해볼게요.

  • IT 30.75%
  • 금융 12.51%
  • 헬스케어 11.27%
  • 경기소비재 9.50%
  • 통신서비스 8.56%
  • 산업재 7.80%
  • 필수소비재 5.67%
  • 에너지 3.21%
  • 소재 2.46%
  • 유틸리티 2.32%
  • 부동산 2.14%it섹터에 30% 그 외 금융, 헬스케어,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수익률

포트폴리오가 거의 같아서 수익률은 TIGER를 대표로 살펴볼게요.

24.9.24.기준

  • 1개월 수익률은 1.80%
  • 3개월 0.51%
  • 6개월 8.9%
  • 1년 32.66%

최근 1년을 기준으로 배당 수익률 1.25%입니다. 1주당 배당금이 238원이네요.

연간 4번 배당이 이뤄지는데 1월, 4월, 7월, 10월입니다.
1년간 배당 성장률 25.26%로 배당금을 재투자하는것도 좋은 투자 방법일 수 있겠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S&P500(tr)은 배당을 재투자하는 TR(토탈리턴) 펀드입니다. KODEX의 경우 TR(토탈리턴) 또는 H(환헤지)  두 종류만있어서 분기별로 배당을 받고 싶으시다면 ACE나 TIGER를 선택하시는게 낫습니다.

4.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정리

미국 대표지수중 하나인 s&p500을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4개를 살펴봤습니다.
SPY는 미국에서도 역사 깊고 유명한 인덱스펀드인데요.
국내 상장 미국S&P500ETF는 SPY의 훌륭한 대체재입니다. 국내 연금계좌가 있다면 세금 혜택도 받고 장기 투자를 유도할 수 있어서 꼭 활용하는 걸 추천합니다.

국내 상장 ETF중 순자산총액이 가장 높은 건 TIGER입니다. KODEX와 ACE역시 큰 규모로 유동성이 좋아 보이네요.

수수료가 가장 낮은 건 RISE 0.1372%입니다. 수수료율은 상시 변하기 때문에 운용 규모와 기간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TIGER의 수수료는 0.1789%로 운용규모 측면에서 1등 수수료도 적정한 수준으로 보여지네요.

인덱스 펀드의 특성상 기초 지수를 추적해 동일한 수익률을 목표로 합니다. 투자 종목 구성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해당 펀드의 운용 규모, 유동성이 확보되었는지, 수수료를 확인하고 ETF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덧붙여 ETF 매수시 INAV, 괴리율을 확인해 현재 주가가 거품이 있는 건 아닌지 체크하세요. 지정가 매수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미국 나스닥100 ETF 5개 비교 정리 : TIGER KODEX ACE RISE,,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5종입니다. NASDAQ100지수를 기초 지수로 동일한 성과를 추적하는 ETF입니다.
국내 대부분의 자산운용사에서 상장시킨 상품으로 손꼽히는 인기 펀드인데요. 미국 상장 ETF QQQ를 벤치마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순자산총액, 총 수수료 등을 비교해보고, QQQ와 구성 종목 차이점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미국 나스닥100 ETF 5개 개요

1-1 TIGER 미국나스닥1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2010.10.18. 상장
  • 순자산총액 36,992억 (전체 ETF 889개중 7위)
  • 총 수수료 0.2052%
  • 현재가 118,145원

1-2 KODEX 미국나스닥1000TR

  • 삼성자산운용
  • 2021.4.9. 상장
  • 순자산총액 12,214억 원 (28위)
  • 총 수수료 0.1793%
  • 현재가 17,680원

1-3 ACE 미국나스닥100

  • 한국투신운용
  • 2020.10.29. 상장
  • 순자산총액 10,298억 원(35위)
  • 총 수수료 0.1927%
  • 현재가 20,300원

1-4 RISE 미국나스닥100

  • KB자산운용
  • 2020.11.6. 상장
  • 순자산총액 6,749억 (51위)
  • 총 수수료 0.1740%
  • 현재가 19,660원

1-5 SOL 미국나스닥100

  • 신한자산운용
  • 2024.3.12. 상장
  • 순자산총액 245억 원 (445위)
  • 수수료 0.4186%
  • 현재가 11,200원
미국 나스닥100 ETF 5개
나스닥100 ETF 5종

5개 자산운용사의 미국 나스닥100 ETF의 운용규모, 수수료를 비교해봤습니다.

순자산총액이 가장 큰 것은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입니다. 국내 주식형 ETF 889개중 7위를 할 정도로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수수료가 가장 낮은건 KB자산운용사의 RISE 미국나스닥100 입니다.

신한자산운용사의 SOL은 가장 최근 상장했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운용규모가 245억 원으로 가장 작고, 수수료는 가장 높습니다.
제가 5월에 확인했을때는 총 수수료가 0.1596%로 가장 낮은 수수료율이었는데, 몇달 사이에 확 올랐네요.

신규 상장 ETF를 조심해야하는 이유입니다.
수수료율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낮다고 선택하지말고, 운용규모와 거래량을 확인한 뒤 투자하는게 현명한 방법입니다.
몇 달 사이에 0.3%이상 수수료율이 올랐다니 놀랍네요.

일반적으로 운용 규모가 클수록 투자자가 부담하는 수수료율은 낮아집니다. SOL을 제외한 4개의 ETF는 지난 5월 대비 수수료가 모두 낮아진 수치입니다.

2. 미국 나스닥100 구성종목

5개의 자산운용사 모두 상위 10개 종목이 동일합니다. 약간의 비중 차이는 있지만 순위까지 같을 정도로 똑같은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습니다.

투자 종목이 같기 때문에 ETF선택에 있어서 운용규모와 수수료만 확인한 뒤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구성 종목에서 중요한 점은 운용사끼리 비교가 아닌 미국 상장 QQQ와의 차이점일것 같네요. 확인해보겠습니다.

미국 나스닥100 ETF 구성종목 비교
나스닥100 ETF 구성종목

2-1 QQQ 구성종목 ; 미국 나스닥100

미국 상장 QQQ와 국내상장 나스닥100ETF의 구성 종목 상위 10개는 동일합니다.

순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QQQ는 엔비디아의 비중이 조금 더 높습니다.  0.5%내외 차이로 별 의미는 없어보이네요.

QQQ 구성종목 도넛차트
QQQ 상위 10개 종목

전체적으로 봤을때 국내 나스닥100 ETF는 QQQ의 투자 전략을 그대로 갖고 왔습니다.

해외 거래 계좌가 없거나, 환전의 번거로움이 귀찮은데 QQQ에 투자하고 싶다? 그럼 국내 계좌를 활용해 국내 상장 나스닥100ETF 어떤 것을 선택해도 같은 투자 전략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나 ISA계좌를 활용해 투자한다면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국내 상장 ETF의 높은 수수료율을 커버 할 수도 있겠네요.

2-2 리밸런싱

덧붙여, 나스닥 100지수는 금융주를 제외한 기술, 소비재, 헬스케어, 통신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기술주와 성장주에 대한 투자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정기적으로(매년 1회) 기업을 재편성하여 시장 변화를 반영하고, 필요 시 추가 조정을 하게됩니다.

기초지수의 종목 재편성에 따라 해당 ETF도 리밸런싱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ETF 리밸런싱은 기초지수에서 삭제, 추가된 종목이 반영됩니다. 리밸런싱 과정에서 거래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ETF의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수익률

앞서 소개한 ETF의 수익률은 거의 같은 흐름을 보입니다. KODEX의 경우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TR(토탈리턴), H(환헤지) 두종류가 있는데요. TR의 경우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형식으로 복리 투자개념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위에서 소개한건 TR상품으로 수익률이 약간 더 높을 수 있습니다.
나스닥100 대표ETF QQQ의 수익률을 살펴볼게요.

  • 1개월 수익률 1.16% (24.9.20.기준)
  • 3개월 수익률 5.74%
  • 1년 수익률 27.02%
  • 3년 수익률 8.57%
  • 5년 수익률 21.30%
  • 10년 수익률 17.89%

 

4. 미국 나스닥100 총정리

미국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국내상장 ETF 5종을 비교해봤습니다.

QQQ의 투자 전략을 벤치마킹한 국내상장ETF는 투자 종목, 기초지수가 거의 동일한 펀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 전략의 차이보다는 운용 규모와 낮은 수수료를 비교해야합니다.

운용규모가 가장 큰 것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나스닥100 입니다. KODEX, ACE 역시 순자산총액 1조원 이상으로 유동성이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수수료가 가장 낮은건 KB자산운용의 RISE, ACE, KODEX를 꼽을수 있는데요. 운용규모까지 고려하면 KODEX가 상당히 괜찮아 보이네요.

KODEX는 다른 펀드와 달리 분배금을 재투자하는 TR상품입니다. 배당을 받지 않고 재투자하는 형식이니 참고하세요.

 

 

SOXX 구성종목 수익률 체크! 주가 전망은 어떨까?

SOXX 구성종목 수익률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주가 전망 SOXX 투자 시 알아두면 유용한 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개요

운용사: iShares
상장일: 2001. 7. 10.
기초지수: NYSESemiconductor TR
시가총액: $14,471.45M
총 수수료: 0.35%
현재가: $223.67

SOXX ETF는 미국 반도체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S&P500 지수에 편입된 반도체 관련 기업을 포함하고있어요. 반도체 제조업체, 설계, 관련 기술업체 등 반도체 산업 전체를 포괄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1-1. 운용 규모 순위 SOXX 구성종목

반도체섹터 ETF 중에서 운용규모 2위를 차지하는 인기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 1.  SMH Total Assets($22,656.90MM)
  • 2.  SOXX Total Assets ($14,082.80MM)

기술섹터 전체를 놓고봐도 운용 규모면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있습니다.

  1. QQQ [Invesco QQQ Trust Series I]
  2. VGT [Vanguard Information Technology ETF]
  3. XLK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4. SMH [VanEck Semiconductor ETF]
  5. IYW [iShares U.S. Technology ETF]
  6. SOXX [iShares Semiconductor ETF]

 

2. SOXX 구성종목

SOXX 구성종목 상위10개
SOXX 구성종목

구성종목 상위10개 종목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10.08%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건 브로드컴(AVGO)입니다.
그다음 순서대로 9.37% 엔비디아(NVDA), 7.56% 어드밴스드마이크로디바이시스(AMD), 6.13%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 5.39% 퀄컴(QCOM) 입니다.

총 35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섹터별 비중을 보면 100% IT섹터에 투자합니다.

규모별로 확인해보니 대형주에 78%, 중소형주에 22% 투자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대형주에 쏠려있습니다

3. 수익률

야후파이넨스에서 찾은 SOXX주가 차트
SOXX 주가

기준일 24.9.20.

  • 1주일 0.37%
  • 1개월 -3.61%
  • 3개월 -11.33%
  • 6개월 1.69%
  • 1년 43.63%
  • 3년 27.09%

과거 몇년간 성장세를 유지하며 높은 수익률을 보여줬는데요. 최근 3개월간 주가가 크게 빠진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급 성장한 만큼 단기적으로 조정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반도체 수요 증가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전기차,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5G통신, 사물인터넷 등 반도체 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많습니다.

4. 주가전망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결과를 참고해보면, SOXX의 주가는 여전히 강력한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223.67에서 약 25.9% 상승할 것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는데요. 최저 목표가 $217.21 ~ 최고 목표가 $342.68입니다.
구성 종목 32개 모두 현재 매수 또는 보유 의견으로 현재 반도체 관련주가 많이 하락한 부분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5. 참고사항

SOXX ETF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 알파 10.47 동일 카테고리 평균 -4.1
  • 베타 1.67 카테고리 평균 1.28
  • 샤프비율 0.47 카테고리 평균 0.01

알파(Alpha)는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포트폴리오가 벤치마크 지수 대비 어느정도의 초과 수익을 달성했는지 나타냅니다.
양수(+)알파 10.47은 그야말로 성공적인 운용 성과를 기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동일 카테고리 평균이 음수 알파 -4.1인걸 감안하면 정말 대단한 기록이죠.

베타(Beta)는 특정 자산, 포트폴리오를 전체 시장과 비교한 지표입니다. 베타가 1이라면 시장과 같은 흐름을 보인다는 의미이고, 1보다 크면 시장보다 변동성, 리스크가 크다는것, 1보다 작으면 그 반대를 뜻합니다.
해당 ETF의 베타는 1.67로 시장의 흐름보다 더 크게 반응합니다. 수익이 더 클수도 있고, 손실이 더 크게 날수도 있는것이죠.

샤프비율(Sharpe Ratio)은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을 고려해 위험 조정된 수익률을 측정한 것입니다. 쉽게 말해 샤프비율이 클수록 위험대비 더 높은 수익률을 내고있다는 것입니다. 샤프비율이 낮다는것은 위험대비 수익이 적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샤프비율이 1.3이면 위험당 1.3%의 초과 수익률을 얻은것 입니다. 보통 1이상이면 양호한 성과, 2 이상이면 아주 우수한 성과를 낸 것으로 봅니다.

 

ETF 단점 이것이 알고싶다!

ETF 단점 ?!  ETF(상장지수펀드)는 투자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단점도 존재합니다. 여기서는 상장지수펀드(ETF)의 단점을 간단하고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ETF 단점 : 비용

ETF는 낮은 비용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운용 전략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액티브ETF, 레버리지, 인버스 ETF의 경우 수수료가 높은편인데요.
상장지수펀드는 일반적으로 거래 수수료, 매수 매도 가격차이로 인한 매매스프레드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빈번하게 매수 매도를 할 경우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2.추적 오차

ETF 단점 중 하나는 추적 오차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기초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입니다. 기초 지수를 완벽하게 추적하지 못할 경우 추적 오차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지수의 구성 종목을 바꿀 때 ETF가 즉각 반영하지 않는다면 추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etf가 지수를 복제하기 위한 비용이나 운영 방식에 따라 추적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3. 낮은 유동성

모든 ETF가 유동성이 높은건 아닙니다. 신규 상장한 ETF이거나 일부 소형 ETF, 특정 자산군에 투자하는 ETF 등은 유동성이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 유동성이 낮다는 것은 매매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다는 뜻인데요. 내가 원하는 가격에 매수 매도가 어렵다면 수익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상장 폐지

ETF도 상장된 상품으로 상장 폐지의 위험이 있습니다. 상장 폐지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낮은 유동성, 자산 규모의 축소, 시장 환경의 변화입니다. 실제로 FCG(인도, 중국 기업에 투자하는 ETF)는 낮은 거래량과 자산 규모 감소로 상장 폐지 되었습니다.

최근 국내 자산 운용사에서 16개 종목을 상장 폐지 요청했다고 합니다.
ETF 투자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ETF가 상장되었지만 투자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보니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는데요.
상장폐지시 해지상환금을 지급받지만, 일부 손실을 감안해야합니다.


5. ETF 단점 : 다소 복잡한 구조

일반 펀드와 달리 ETF의 구조는 복잡한 편입니다. 특히 2배, 3배레버리지, 인버스 ETF 의 경우 원래 지수를 역으로 추적하는 구조인데요. 투자 위험성도 크고 목표와 다른 움직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일일 수익률 기준으로 설계되어있어 큰 손실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


6. 제한적인 분산투자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가 가능한게 ETF이지만, 모든 ETF가 체계적이고 적절한 분산 투자를 하는 건 아닙니다. 특정 섹터, 자산군에 집중해 투자하는 ETF도 많은데요.

특정 종목의 투자 비중이 전체의 절반을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술 섹터로 분류된 ETF만해도 수십개가 넘는데요.
그 중에는 포괄적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정 종목에 쏠려있는 것도 상당히 많습니다.

자칫 ETF의 특징을 확인하지 못하고 투자할 경우 적절한 분산 투자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어요.

ETF 단점 분산투자 전략


7. 세금, 시장 리스크

투자에있어서 세금을 고려하지 않etf을 수 없죠. ETF 역시 세금이 부과됩니다. ETF의 상장 위치와 종류에 따라 세금이 다르게 적용되는데요.
ETF의 세금은 딱 한번 정리해놓으면 앞으로 투자시 많은 도움이 될거에요.

ETF 역시 주식처럼 시장 리스크를 고려해야합니다. 전체 시장이 하락하게되면 ETF의 가치도 하락하게됩니다. 시장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 특정 자산군에 집중 투자한 ETF는 큰 수익 또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차로 알아보는 경기 침체 전망 자세히 보기.


ETF 단점 정리

ETF는 여러 장점이 있지만, 앞서 언급한 단점들도 있습니다. 투자하기 전에 위 사항을 확인하고, 나에게 맞는 투자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ETF의 단점을 파악하고 약간의 정보만 확인한다면 간단하고 유용한 분산 투자의 도구가 될 것입니다.

 

경기순환 사이클 지금의 위치는? Fidelity

마이크로소프트 (MSFT) ETF 종류와 주가 전망

마이크로소프트 ETF 종류와 주가 전망은 어떨까요?
국내상장, 해외상장 ETF 중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 20%이상 큰 비중으로 투자하는 ETF 3가지를 소개하고, 주가 전망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1. 마이크로소프트 비중 23.14% :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시총 1조 달러 이상의 미국 기술주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포함 미국 대형 기술주에 분산 투자하는데요. 기술주의 특성상 변동성이 크지만, 대형주에 분산투자해 안정성을 높인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외에 애플에 27.08%, 엔비디아에 23.72%를 투자합니다. 상위 3개 종목을 합치면 75.71%입니다. 투자 목표에 따라 빅3 종목에 포커스를 맞춰 투자하기 좋은 국내상장ETF네요. 연금계좌를 활용할 수 있어서 세금혜택도 받고,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자세히보기

 


 

2. 비중 23.14% : ACE 마이크로소프트 밸류체인액티브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하드웨어와 같은 관련 기업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성장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얻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펀드 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액티브 ETF로 비용은 높은 편입니다.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성과도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자세히보기


3. 비중 21.13% : XLK

S&P500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 중 기술주로만 구성한 ETF가 XLK입니다. 전반적으로 미국 경제 성장에 따라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패시브 운용방식으로 비용이 낮고,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기술주ETF로 유명한게 QQQ인데요. 알려진 것과 달리 기술주 ETF의 중심은 XLK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 비중을 보면 IT섹터에 100%투자됩니다. [QQQ의 IT섹터 투자 비중은 51%]

 

QQQ vs XLK 비교분석 자세히보기

 


마이크로소프트 주가전망 차트
마이크로소프트 12개월 목표가

4.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전망

위 3가지 펀드는 마이크로소프트에 20%이상 투자하는 ETF이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 상승과 하락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주가 전망을 알아보면, 앞서본 3개 펀드의 성과도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할 것 같은데요.

TIPRANKs를 참고해보면, MSFT의 12개월 평균 목표가는 $501.15입니다. 현재가 $438.69대비 약 14.24%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네요.

최저 목표가는 $470~ 최고 목표가 $550입니다.
최저 목표가가 현재가보다 높다는건 그만큼 현재 주가가 많이 빠져있다는걸 의미합니다.
30명의 애널리스트들의 분석결과 29명이 매수의견, 1명 보유, 매도의견은 0명입니다.

참고로 XLK의 목표가를 확인해봤는데요. 현재가 대비 약 13% 상승여력이 있다고 나왔습니다. 기술섹터 전반적으로 주가가 떨어졌고, 단기적으로 큰 상승은 기대하기 힘들지만 앞으로 IT관련 시장은 크게 확장될 것임에는 틀림없어보이네요.

 


5. 정리

마이크로소프트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 3가지를 알아봤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해외 거래 계좌를 개설해야하고, 환전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 특성상 장기투자를 유도하고, 세금혜택도 받을 수 있어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방법입니다.

각각의 ETF를 정리해보면,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높은 안정성과 성장성, ACE 마이크로소프트 밸류체인액티브는 마소 상태계의 확장, XLK는 미국 기술 시장 전반에 걸쳐 투자가 가능합니다.

각각의 특성을 확인하고 투자자의 목표,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ETF 1일 성과 한눈에보기 Finviz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특징 장단점 요약 정리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기업으로 구성된 KEDI Global Generative AI Index를 기초지수로 초과성과를 추구하는데요.
구성 종목과 특징,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 기본개요와 수익률차트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

1.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기본 개요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2024.6.11.상장한 ETF입니다. 순자산총액 485억으로 국내상장ETF 889개중 328위입니다.
현재 한국투신운용에서 게시한 총 보수는 0.45%입니다. 여기에 매매중개수수료율까지 더하면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수수료율은 0.5756%입니다.
주식형ETF의 평균 수수료율이 0.5759%인걸 감안하면 비슷한 수치네요.

기초지수: KEDI글로벌생성형AI Index
상장주식수: 4,900,000주

2.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특징

2-1. 마이크로소프트 중심

ACE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ETF는 능동적인 운용상품입니다. 한경지수 KDEI의 생성형AI 지수를 추종하면서 전문 운용사가 시장을 분석해 포트폴리오를 구성 및 조정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소프트웨어 등 관련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갖는 마이크로소프트에 25%내외로 집중 투자합니다. 그 외에 엔비디아, 메타, 퀄컴 등에 분산투자되어 리스크를 낮춰줬는데요.
섹터별 비중을 보면 IT 83%,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16%로 기술 성장주에 초점을 맞춘 펀드입니다.

2-2. 장점

액티브 ETF는 전문 운용팀이 투자 결정을 하게 됩니다.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와는 반대되는 개념이죠.
액티브는 시장 상황과 기업 분석을 통해서 투자 종목을 선택하고 비중을 조정합니다. 전문적으로 운용되어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글로벌 IT기업으로 꾸준한 성장을 했고, 오픈AI에 투자도 적극적으로 하는 모습입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갖는 기업입니다.

2-3. 단점

액티브 ETF의 특성상 운용하는데에 드는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전문 운용팀이 관리 분석을 하는데에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요. 다소 높은 수수료율은 장기적으로 수익률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는 항상 리스크가 따라오기 마련이죠. 마이크로소프트를 중심으로 IT 관련 대형 기업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 종목으로 생각되지만, 기업의 성장과 실적과는 별개로 예측할 수 없는 각종 리스크에 노출됩니다. 기술 산업은 특히 변화가 빠른 산업이라 주의를 해야합니다.

3. 투자 의견

신규 상장ETF는 유동성 확보가 잘되는지 꼭 확인해 봐야 합니다. 상장 초기에는 자금 유입도 잘되는 듯 보이지만, 이게 지속되는지 잘 살펴보고 투자 결정을 해야 하죠. 상장 후 시장 반응이 어떤지 관찰해보세요.

자산 운용사에서 새롭게 상장 시킨 ETF들을 살펴보면 현재 트렌드를 알 수 있습니다. 기초 자산군은 앞으로 주도할 산업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구성 종목을 확인해 주도주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IT섹터의 특성상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개별 이슈에 주가가 크게 변동 할 수 있지만 투자를 결심했다면 단기적인 변동성에는 휘둘리지 말아야 합니다.
운용사에서 전담 팀이 전문적으로 관리하지만, 투자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점검해야 합니다.

참고로 액티브 ETF는 운용자의 역량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를 통해 전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지만, 꾸준히 잘 관리되는지 투자자가 직접 점검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운용팀의 과거 성과를 조사한다거나 비슷한 ETF를 비교해보는것 입니다.
매수하기 전에 거래량과 괴리율을 확인한다면 적정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지정가 매수를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죠.


ETF 매수 전에 확인하세요 : 리스크 파악하기 추적오차, 괴리율 등

ACE ETF : 마이크로소프트밸류체인액티브 상세정보

저평가 주식찾기 : 가치투자 용어정리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종목 기대 수익률 비용 등 정리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는 미국 테크 기업들 중에서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인 종목에 투자합니다.
기술 산업의 성장성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인데요. 24년 9월 10일 상장했습니다. 미국 주식 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국내 자산운용사에서는 미국에 투자하는 다양한 ETF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 1조달러클럽에 포함되는 종목은 뭘까요?포트폴리오와 ETF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ETF 설명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ETF

1.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개요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입니다.  이름을 분석해 보면 KODEX는 삼성자산운용사의 ETF 브랜드명이고,
미국테크 1조달러기업은 한화로 시총 약 1,330조 원 이상을 기록한 기업을 의미합니다.
해당 ETF는 생성형AI를 이용한 서비스, pc, 스마트폰 등 인공지능 기술혁신에 핵심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미국 테크 빅3에 75%를 투자해 그야말로 우량주 3종 세트라고 볼 수 있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가 그 3종입니다.

상장일 기준 애플 27.2%, 엔비디아 25.8%, 마이크로소프트 23.4%비중을 차지합니다.
개별 종목의 최대 투자 비중은 25%이내로 입니다. 애플은 약간 초과되었네요.

2. KODEX 1조달러클럽: 구성종목

미국 빅테크 3대장인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를 약 25%의 큰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그 외에 알파벳A, 메타, TSMC, 브로드컴, ASML, 퀄컴 이 포함되어있네요.
섹터별 비중은 IT섹터에 83%, 통신 서비스 섹터에 약 16%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부 미국 기업으로 AI 산업 실적의 성장에 기대를 갖고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3. 기대 수익률과 리스크

과거 미국 기술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빠른 속도로 크게 오른 만큼 현재는 상승세를 약간 멈춘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미래 주도 산업은 여전히 빅테크가 이끌어 갈 것으로 예상되고, 현재 기대에는 못 미치지만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은 여전히 좋은 편입니다.
앞으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기대수익률은 높습니다.

기술 산업은 변동성이 큰 편이라 리스크 역시 큽니다.
특정 기업의 실적이 좋게 나오더라도, 기술의 변화나 기대감에 주가가 그만큼 오르지 못할 수가 있는데요.
개별 기업의 성과 외에도 예측하기 힘든 각종 이슈들에 주가가 크게 오르고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투자 목표를 정해야합니다.

4. 비용과 배당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ETF는 연 0.3%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운용보수 0.269%, 수탁보수 0.02%, 그 외 0.11%의 사무, 판매보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보수는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총 보수가 아닙니다.
앞으로 투자 자금이 얼마나 유입될지, 운용 규모에 따라 총 부담 수수료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해당ETF는 성장주에 투자하는 펀드로 배당금은 크지 않습니다.
투자하는 기업 중 일부 배당금을 지급하는 종목이 있긴 하지만, 애초에 투자 목적은 주가 상승으로 차익 실현을 하는 것 입니다.
부수적으로 소소하게 배당금을 재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5. 핵심 정리

KODEX 미국테크 1조달러 기업포커스 ETF는 미국 기술 대형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구현합니다. 대형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리스크가 큰 기술주 임에도 안정적인 면을 갖고 있습니다. 해당ETF는 국내 상장된 미국 ETF로 ISA계좌나 연금계좌를 활용해 미국 기업에 투자 할 수 있다는게 상당히 큰 매력인데요. 세금 혜택을 받으면서 장기투자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KODEX 미국테크1조달러기업포커스: 상세보기

크라우드크트라이크 홀딩스 : CRWD 주가 전망

기술주 ETF : XLK QQQ비교

채권ETF vs 주식ETF 특징 비교, 나에게 맞는 펀드는?

채권ETF 주식ETF는 각각 다른 투자 전략과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주식형과 채권형의 차이를 설명해들리게요.
투자자에 따라 어느 걸 선택해야 할지 참고해보세요.

채권ETF 주식ETF 종류를 나열했고 배경은 세계지도.
채권ETF 주식ETF 종류

1. 채권ETF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발행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원금과 이자를 상환 받는 투자 상품입니다. 채권ETF는 국채, 회사채 등 다양한 채권을 모아 놓은 펀드인데요.
정부가 발행한 국채에 투자하는 ETF 외에도 기업이 발행한 채권, 지방정부가 발행한 지방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간별로 1~3년 만기인 단기채, 3~10년 만기 중기채, 만기 10년 이상인 장기 채권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1-1 채권ETF 종류

국채ETF : GOVT, VGLT
회사채ETF : JNK, LQD
지방채ETF : VTEB, MUB
단기채ETF : SHY, BSV
중기채ETF : IEF, BIV
장기채ETF : BLV, TLT

이 외에도 신용 등급이 낮은 고위험 채권을 포함한 하이일드 채권ETF가 있습니다.

1-2 채권ETF 특징

채권은 주식보다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되는데요. 일부 고위험 채권ETF를 제외하고 주식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을 정기적으로 배당해 매월 또는 분기별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채권ETF는 다양한 채권에 투자함으로써 개별 채권의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리스크가 적다는 것은 수익률도 낮을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금리 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데, 장기 채권일수록 그 변동성이 크게 발생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이자율이 낮아져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2. 주식ETF

주식ETF는 특정 지수나 주식들을 모아놓은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주식ETF는 특정 산업에 투자 하면서도 쉽게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1주식ETF 종류

지수 추종 : SPY, QQQ
산업별 : XLC (기술섹터), XLX(금융), XLB(헬스케어)
지역, 국가별 : IEV(유럽), FXI(중국)
테마별 : ICLN(클린에너지), MAGS(마그니피센트7종목)
배당 : SCHD, VYM
성장 : IWF, CHIX
가치 : IWD, VTRIX

2-2 주식형특징

주식형 ETF는 다양한 산업과 섹터에 주식을 포함합니다. 투자자의 성향과 목표에 맞는 다양한 ETF들이 존재합니다. 1주를 매수하더라도 수백 개의 기업에 투자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거래 비용이 낮습니다. 개별주에 투자하는 만큼 기업 분석에 큰 힘을 쏟을 필요가 없습니다.
투자의 다양성과 접근성이 쉬운 반면, 주가 하락시 ETF의 가치도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개별 기업의 이슈에 따라 ETF의 주가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채권ETF에 비해 리스크가 큽니다.

 

3. 투자자의 선택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성향, 목표, 투자 기간 등에 따라 주식ETF나 채권ET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3-1 목표와 기간에 따른 선택지

투자 기간이 짧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한다면 채권ETF가 적합합니다. 만약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면서 장기 투자를 한다면 채권 중에서도 장기채권ETF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주식을 보유할 생각이고 높은 수익을 목표로 갖는다면, 주식ETF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주식형ETF는 단기적인 변동성에 노출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성과를 얻을 수 도 있습니다.

3-2 위험 감수

위험 회피형의 투자자는 변동을 싫어합니다. 원금 손실을 두려워하고, 큰 수익보다는 안정적인 것을 추구하죠. 이런 투자자는 채권ETF가 적합합니다. 정기적인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변동성도 낮기 때문입니다.

위험 감수형은 높은 수익을 추구합니다. 시장 변동 리스크는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인데요. 높은 수익율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ETF가 좋은 투자 상품이 될 수 있습니다. 주식형 중에서도 섹터별 기대수익률이 높은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채권ETF 와 주식ETF는 투자 목적과 전략에 따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높은 성장은 주식형, 안정적인 채권형, 이 두 가지를 적절히 비중 조절을 하며 투자하면 리스크는 줄이고 수익률은 높일 수 있는 분산투자가 가능하게 됩니다.


주식ETF 기술섹터 대표 : QQQ와 XLK 비교/ 월배당 JEPI 

채권ETF 리스크가 적은 단기채권 : BSV, SHY 비교

ETF닷컴 : 상장지수펀드 알아보기

미국채 ETF SHY IEF TLT :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비교

미국채 투자에는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각각을 대표하는 ETF로 1~3년(단기채) SHY, 7~10년(중기채) IEF, 20년이상(장기채) TLT가 있는데요. 채권은 만기 기간에 따라 투자 성격과 리스크의 크기가 다릅니다.
위 3가지 ETF를 비교해볼게요.

미국채 소개를 위해 SHY IEF TLT가 써있고 그 배경은 성조기이다.
미국채 SHY IEF TLT

1. 미국채 기간별 ETF

미국 국채는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으로 분산 투자에서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투자 상품이죠.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로 나누어 확인해보겠습니다.

1-1 단기채권 ETF : SHY

SHY는 만기 1년에서 3년 이내의 미국 국채에 투자합니다. 채권은 만기가 짧을 수록 이자율 변동에 덜 민감해 리스크도 적습니다.
만기가 짧아 자금 회수를 빠르게 할 수 있고,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가치가 크게 하락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1-2 중기채권 : IEF

만기 7년~10년 미국 국채입니다. 중기채는 단기채권 보다 변동성이 높고, 그만큼 수익률도 높습니다. 단기채와 장기채의 중간 성격을 가집니다.
금리 변동에 따른 영향을 단기채보다 많이 받게 되는데요. 투자 위험은 어느정도 감수할 수 있고, 기대 수익률은 높은 경우 선택 가능한 옵션입니다.

1-3 장기채권 :TLT

만기 20년 이상 미국채 에 투자합니다. 장기채권은 만기가 긴 만큼 위험도 높습니다. 보통 안정적인 투자처로 채권 투자를 많이 생각하는데, 장기채권은 큰 손실을 감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가 큰 만큼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데요. 금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투자 시점을 잘 고려해야 합니다.

2. 미국채 ETF 기본 개요

2-1 운용사 및 총 수수료

단기채 SHY : BlackRock운용, 총 수수료 0.15%, 현재가 $83.15
중기채 IEF : iShares운용, 총 수수료 0.15%, 현재가 $98.88
장기채 TLT : iShares, 총 수수료 0.15%, 현대가 $100.41

수수료는 0.15%로 모두 동일합니다. 1주당 가격도 80~100달러 정도네요. 모두 월배당ETF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수익률과 배당금을 자세히 비교해 볼게요.

2-2 수익률 및 배당금

미국채 SHY IEF TLT 수익률 차트
미국채 SHY IEF TLT 수익률

SHY 수익률 : 1개월 0.94%, 6개월 3.93%, 1년 6.62%. 최근 1년간 배당 수익률 3.67%입니다.

IEF 수익률 : 1개월 1.86%, 6개월 6.51%, 1년 9.3%. 배당 수익률 3.23%.

TLT 수익률 : 1개월 3.55%, 6개월 8.48%, 1년 10.82%. 배당 수익률 3.6%

채권 만기 기간이 짧을 수록 투자 위험이 적고, 기대 수익률도 낮습니다. 각각의 성과를 비교해보니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는데요. 고금리가 유지되면서 장기채권의 손실이 컸는데,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주가 회복을 했습니다. 미국 연준에서 9월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회복세가 더 커졌고, 덕분에 장기 채권의 수익률이 상당히 올랐습니다.

3. 운용 규모

순 자산 총액 기준 운용 규모가 가장 큰 건 $63,893.10MM인 TLT입니다. 그다음으로 중기채권 IEF가 $34,515.30MM입니다. SHY는 $23,742.40MM입니다.
전체 채권 ETF를 기준으로 봤을 때 세가지 모두 안정적인 운용 규모를 갖추고 있는 인기ETF입니다.
최근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이미 반영된 느낌인데요. 3일간 장기채권의 자금 유출이 많았습니다.
단기, 중기채권에는 자금 유입이 많았고요. 아마도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서 그 심리가 채권 투자에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4. 미국채 ETF 정리

시장에서는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그 기대감은 이미 주가에 반영이 된 듯한 모습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가격은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막상 금리 인하가 시작 되더라도, 예상보다 채권의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재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죠. 미국 국채에 투자하더라도 채권 만기 기간에 따라 어떤 ETF를 고를지 생각해 봐야하는데요.
앞서 기간별 채권을 비교한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경제 불확실성을 대비해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고 금리 변화에 덜 민감한 것을 선호한다면 SHY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히 균형 잡힌 수익률과 리스크를 감당할 자신이 있다면 중기채 IEF가 적합합니다.

마지막으로 높은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고, 장기적인 투자 관점으로 높은 수익률은 기대한다면 TLT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각 ETF의 특징과 투자 목표에 맞게 선택한다면 장기적으로 투자 목표에 걸맞는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네요.


제2의 월급 만들기 : JEPI 월배당 ETF 

금리로 알아보는 경기 침체 예측

미국 국채 ETF 운용규모 순위 확인 : Bond ET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