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도후 입금 이체는 언제될까? 2영업일 의미는?

주식 매도후 입금

주식을 매도하고 바로 현금화 할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이체 불가능합니다.


주식을 매도한 즉시 매매는 체결되지만 실제로 매도 금액이 통장에 입금되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식 매도 후 투자자가 언제 현금인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시차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지 한국 주식 결제 시스템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주식 결제일

주식 결제일: T+2 시스템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했다면
주식 결제는 T+2 시스템을 따르며,

매매 기준일로부터 2거래일 후에 결제가 완료됩니다.
즉, 2거래일은 영업일을 기준으로하며 거래한날을 포함해 3일째되는날 입금이됩니다.

3일째되는날 현금 인출이 가능한 것이죠.

▷ 예시

월요일에 주식을 매도하면 월요일 가격으로 거래가 성사됩니다.

하지만 실제 매도 금액이 계좌로 입금되는 것은 2거래일 뒤인 수요일입니다.

만약 금요일에 매도 체결했다면 입금 시기는 화요일이됩니다.

2영업일 기준으로 주말 및 공휴일은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월요일에 주식을 매수하면 월요일 가격으로 거래가 체결되지만,
매수 대금이 계좌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2거래일 뒤인 수요일입니다.

참고로,
주식을 매도한 후 현금으로 인출하기까지는 2영업일이 소요되지만 매도 즉시 다른 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주식 매도후 입금 T+2. 2영업일 의미

2. T+2인 이유?

주식 결제에 2영업일이 소요되는 이유는 주식거래 과정에서 유관기관(한국예탁결제원)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 유관기관:한국예탁결제원

투자자가 보유한 주식은 증권사가 보관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전자증권 형태로 등록됩니다.

주식이 실제로 거래될 때 한국거래소를 통해 체결된 후,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최종적으로 처리됩니다.

이렇게 유관기관을 통해 거래하는 이유는

투자자가 직접 주식을 교환하고 실물 거래 방식이었다면 거래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거나
분실 또는 위조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서는 모든 거래를 확인하고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2거래일이 소요되는것입니다.

그 결과 정확한 거래를 보장하고 전자증권 시스템을 통해 분실 위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국가별 비교

안전한 거래를 위해 이틀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건 이해가 가지만,

그래도 당장에 현금이 필요할때는 왜이렇게 오래 걸리는 것인가 답답한 마음이 들 수도 있는데요.

미국, 일본, 영국의 경우 T+3 (3거래일 후 입금)으로 한국의 결제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현금이 필요한 경우 주말, 공휴일은 제외하고 현금 사용하기 전 2일전에는 매도를 하세요.

3. 요약 정리

✅ 주식 매도후 입금 은 2거래일 후에 입금됩니다.

✅ 즉, 영업일을 기준으로 매도일을 포함해 3일째되는날 현금 입금, 이체가 가능합니다.

✅ 주식 매수 시, 매수 대금 역시 2거래일 후에 출금됩니다.

✅ 한국의 주식 거래 결제 시스템은 T+2(2거래일 후 결제) 시스템을 따릅니다.

✅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거래가 이뤄지기때문에 소요되는 기간입니다.

주식 매매시 결제일을 숙지하고 자금을 운용한다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ETF 투자 입문 가이드

>> ETF 대신 비교해드립니다.

>> 분산투자 하는 방법. 완벽 정리

ACE 미국나스닥100 ETF 단점 ETF 순위 etf용어 ETF 용어 KODEX RISE 미국나스닥100 S&P500 s&p500 etf SCHD TIGER ETF TIGER 미국나스닥100 TLT ETF 국내상장 금 ETF 금 레버리지 금리형 ETF 나스닥100 ETF 미국상장 배당 배당 ETF 비교 빅테크 워런버핏 포트폴리오 월배당 ETF 일반 채권 ETF 코스피200 ETF 테슬라 레버리지 ETF 투자입문 파킹형 ETF

나스닥 100지주 2배 활용법: 레버리지 QLD 뜻, 배당

QLD : 나스닥100 지수의 성과를 2배로 추적하는 레버리지 ETF

나스닥100지수는 금융섹터를 제외한 기술주 중심의 100개기업을 포함합니다.

미국 주요 지수중 하나로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는 QQQ가 있습니다.

오늘은 QQQ의 2배레버리지 상품인 QLD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QLD ETF 나스닥100지수의 일일 성과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

1. QLD ETF

QLD(ProShares Ultra QQQ)는 나스닥100 지수의 일일 성과를 2배로 추적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즉, 나스닥100 지수가 하루 동안 1% 상승하면 QLD는 2% 오르고,
반대로 1% 하락하면 2% 떨어집니다.

QLD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6년 6월 19일
기초지수NASDAQ 100 Total Return Index
순자산산$7,902.7M
수수료0.95%
현재가$112.92

QLD는 나스닥100 ETF인 QQQ의 2배 레버리지 상품으로,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일일 기준 2배 수익을 추적하는 구조로 나스닥100지수의 단순 2배 성과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2. 구성 종목

QLD는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만큼,
주요 구성 종목도 동일합니다.


현재 주요 보유 종목은
애플 (AAPL), 마이크로소프트 (MSFT), 엔비디아 (NVDA), 아마존 (AMZN),브로드컴 (AVGO),,

이외에 국채 및 스왑 계약을 포함합니다.

3. 수익률 및 배당

📈 최근 수익률

수익률
1개월1.47%
3개월14.09%
6개월30.68%
(YTD) 연초대비4.32%
1년36.85%

💰 배당내역

연간 배당률: 0.24% (적은 수준)

배당 지급 내역 (분기 배당)

  • 2024.03.20: $0.06
  • 2024.06.26: $0.11
  • 2024.09.25: $0.05
  • 2024.12.23: $0.06

QLD는 레버리지 ETF임에도 배당을 지급하지만, 배당금이 크진않습니다.

4. 투자 전략

리스크 관리

QLD는 횡보장에서 장기 보유 시 기대 수익이 낮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10%이내로 제한,
손절매 구간 설정 (10% 하락 시),
장기 보유는 지양하는 등
투자 전 계획을 세우세요.

효과적인 투자 전략

나스닥100 지수가 급등하는 강세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 특징에 따라 금리 인하 기대감이 클 때 매수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단기 및 스윙 트레이딩에 적합하며,

손절매 및 추가 매수 전략 수립이 필수입니다.

5. 핵심 요약

QLD는 나스닥100지수 2배추종 레버리지 ETF입니다.

강세장에서 빠르게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상품이지만

높은 변동성을 고려하여 단기 트레이딩 및 리스크 관리 전략을 철저히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LD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 주식시장이 대세 상승장이거나,
  • 보유하고있는 나스닥100ETF가 일시적인 이슈 등으로 5%이상 크게 하락 했을때,
  • 단기적인 이슈들(기업 실적발표, 금리 발표 등)이 공개되는 시점 전후로 주가의 흐름을 보고 매수할 수 있습니다.

>> 나스닥100 ETF 투자 분석

>> QLD 공식홈 바로가기

>> 국내상장 나스닥100ETF 5개 비교표

미국 관세 정책: 관세 뜻과 글로벌 경제 영향(중국 캐나다 etc)

미국 관세 정책과 관련해 그 뜻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관세에 따라 변하는 산업, 수혜주를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

관세 뜻

관세(關稅,Tariff)란 국가간의 수입과 수출 물품에 부과하는 세금을 뜻합니다.
주로 수입품에 부과되는 정부 주요 세수 중 하나입니다.

관세를 통해 국가 재정에 필요한 세금을 확보하고, 해외에서 들어오는 저렴한 상품을 제한해 내수를 보호하며 국가간의 무역 조정 역할로 경제 제재의 도구로 활용됩니다.

미국 관세 정책

미국의 관세 정책은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수출입 비용 증가로 인해 세계 무역 환경이 변하고 기업과 소비자 부담이 커지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됩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 멕시코, 캐나다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면 이에 대한 보복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미리 예상하는 듯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합의서에 보복관세에 대한 조항을 포함시켰습니다.

▷ 관세 부과 목적

미국의 관세 정책은 보호무역주의와 경제 안보를 목적으로 합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강력한 관세 부과 정책이 시행되었고,

바이든 행정부도 이를 완전히 철회하지 않고 조정하는 방향을 택했었는데요.


트럼프 2기를 맞이해 무역 주요국을 포함 신흥국들 역시 추가적인 관세 부과에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입니다.

▷ 주요 대상국

미국은 중국, 멕시코, 캐나다를 주요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멕시코:
25% 관세 부과 (자동차 및 부품, 전자제품 등)
캐나다:
25% 관세 부과 (철강, 알루미늄 등)
중국:
10% 추가 관세 (반도체, 소비재, 전자제품 등)
이 외에도 독일, 일본, 베트남, 한국, 대만 등 추가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남아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 영향

▷ 무역 공급망 변화

관세 부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무역 환경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 높은 관세로 인해 상품 가격은 상승하게되고 그 결과 수요 감소, 결국 무역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미국 내 기업들은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 대신 인도,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 이전을 고려하게됩니다.
  • 미국이 특정 국가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다면, 해당 국가 역시 보복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무역 긴장은 고조됩니다.
  • 과거 2018년부터 약 2년간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 되었을때만해도,
    글로벌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중국에 대한 제재였지만 이와 관련된 신흥국들이 모두 영향권에 속해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상승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 기업에서는 생산비용 증가, 투자는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원자재, 반도체 등 핵심 산업의 수입 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소비자 가격에 전가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곧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효과로 작용합니다.

인플레이션 압박이 심해지면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금리 인상과 같은 긴축 정책을 펼치며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변동성 확대

미국의 관세 정책은 금융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면 기업의 수익성은 악화되고 주가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글로벌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 금이나 달러와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하게되어 원화의 가치는 하락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면 국채 금리 가격이 하락할 수 있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산업 충격

반도체, 스마트폰 등 IT 하드웨어 산업은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 정책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습니다.

그 증거로는 몇일전 트럼프의 관세 협상에서 주요 무역 3개국에 대해 관세부과(25%, 중국+10%추가)가 보도되고 난 뒤 주가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주로 it 반도체 관련주로 TSMC, 인텔(INTC), 엔비디아(NVDA), 애플(AAPL) 등입니다.

Q. 관세 정책 피해주 & 수혜주 알아보기 >>click

정리

미국 관세 정책과 관련해 그 의미와 글로벌 경제 영향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트럼프 2기 관세 부과 협상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번 합의로 2월 4일 00시 부터 즉각 25%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는데,

트럼프와의 통화이후 약 30일간의 유예기간을 두기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유예와 동시에 유리한 조건을 얻어내기위한 자국내 펜타닐과 관련된 강력한 제재를 한다는 입장입니다.

중국은 아직 협의가 이루어지지않은 상황이고

주요 무역국들이 이번달 어떻게 합의가 이뤄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한국도 조만간 관세 카드를 받게되겠네요.

>> 경기이슈: 함부로 전망하지말자. 2025 바로가기

>> 캐나다, 멕시코 관세 협상 관련 영상

DIVO 미국 배당 ETF 추천: 월배당과 수익을 동시에 잡는다!

1. DIVO ETF 소개

DIVO ETF는 미국 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액티브ETF입니다.


월배당을 목표로 대형 우량주에 집중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배당과 주가 상승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운용사: Amplify ETFs
  • 출시일: 2016. 12. 13.
  • 순자산: $4,013M
  • 기초지수: CBOE S&P500 BuyWrite BXM PR USD
  • 수수료: 0.56%
  • 현재가: $42.26

▷ 주요 특징

  1. 월배당 지급 – 안정적인 현금 흐름 제공
  2. 액티브형 – 운용사가 시장 상황에 맞춰 종목 선정 및 조정
  3. 커버드콜 – 옵션 프리미엄을 활용

>> 액티브 vs 패시브 전략 비교 분석

>> 커버드콜이란?

2. 포트폴리오 구성

DIVO ETF 구성종목 투자 분석

금융, IT, 산업재, 소비재, 헬스케어
다양한 섹터의 대형주에 집중 투자합니다.
(대형주 97.16%, 중형주 2.84% 비중)


종목별 투자 비중은 5% 이내로
동일가중 방식과 유사한 구조를 보이며
포트폴리오 내에서 분산투자 효과가 높습니다.

투자 비중 상위종목 10

DIVO는 재정 건전성이 우수한 우량 기업에 투자하여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현합니다

3. DIVO, SCHD, JEPI 비교

DIVO는 배당 ETF인 SCHD, JEPI와 자주 비교되곤합니다.


주요 지표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TF종목수상위10개
비중
DIVO37개51%
SCHD10340%
JEPI13215%
ETF대형주
포함
배당률
DIVO97개4.5%
SCHD653.5%
JEPI817.1%

DIVO는 투자 종목 수가 가장 적어 분산투자 효과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대형주 비중이 높아 안정적이라는 특징을 갖습니다.

또한 SCHD보다 높은 배당률을 제공하며,
전체 기간에 걸쳐 SCHD, JEPI보다 높은 주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ETF배당주기
DIVO매월
SCHD분기별
JEPI매월

4. 수익률 및 배당

수익률

  • 1개월: +5.41%
  • 3개월: +5.74%
  • 6개월: +10.41%
  • YTF: +5.33%
  • 1년: +19.35%
  • 5년 평균: +12.22%

배당률

  • 연간 배당률: 4.55%
  • 연간 배당금: $1.92
  • 최근 배당 내역: 25.1.30. $0.17 지급
  • 배당 지급 일정: 매월 마지막 영업일

DIVO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배당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5. DIVO 주가 전망

월가 분석가의 DIVO의 주가전망 결과는
현재 $42.26에서 약 9.7%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있습니다.

  • 예상 목표 최저가: $39.42
  • 예상 목표 최고가: $52.59

DIVO의 목표 최저 가격이 현재가와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가 안정성이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6. 총정리

✅ DIVO의 장점

월배당 지급으로 꾸준한 현금 흐름 확보
대형 우량주 중심의 투자로 안정성 확보
커버드콜 전략으로 옵션 프리미엄 수익 가능
배당률(4.55%)이 높음에도 주가 상승세 유지

✅고려할 점

✔ 다소 높은 수수료(0.56%)
상승장에서 커버드콜 전략; 초과 수익을 제한
시장 대비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필요

DIVO는 배당 수익과 주가 상승을 동시에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선택지가됩니다.

하지만 상승장에서 수익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포트폴리오 내에서 균형 잡힌 배분을 해주어야 합니다.

>>월배당 ETF 모아보기

>>배당률 계산, 용어 정리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주가 분석: 적립식 투자 결과는?

커버드콜 전략과 액티브 결합으로 연 7.8%의 배당수익률을 제공하는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 투자 분석. 종목 Top 3

1.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란?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는 미국 S&P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 중 배당을 지속해서 늘려온 종목을 선별하여 투자합니다.
미국 배당주에 투자하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여 매월 분배금 지급을 목표로하며 액티브형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게됩니다.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출시일: 2022년 9월 27일
  • 총 순자산: 1,489억 원
  • 기초지수: S&P500
  • 수수료: 0.4489%
  • 현재가: 12,455원 [25.1.31.기준]

커버드콜과 액티브 운용전략으로 다소 높은 수수료(0.4489%)를 부담해야하지만
시장 대비 높은 배당 수익과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 액티브 전략이 패시브 전략보다 항상 우월한 성과를 내는 것은 아니므로 장기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액티브 vs 패시브 뜻과 차이점 바로가기

2. 투자 종목 및 포트폴리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는 다양한 종목과 ETF에 분산 투자합니다.

배당 중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면서 금융·헬스케어·IT·산업재 등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하며
배당 성장주 및 커버드콜, 액티브 전략을 활용해 높은 월 배당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수익 및 배당 분석

▶ 기간 수익률

  • 1개월: 2.95%
  • 3개월: 12.33%
  • YTD (연초 대비): 2.95%
  • 1년: 29.6%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는 분배금외에도
1년 동안 29.6%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신규 상장 초기 투자했다면 주가 상승으로 높은 시세차익도 얻었을 거지만 아직 운용 3년 차로 주가 변동 추세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배당 수익률

  • 연 배당률: 7.87%
  • 최근 배당 내역: 2025년 1월 14일, 1주당 100원 지급
  • 국내 상장 배당 ETF 중 수익률 순위: 460개 중 24위

참고: 국내 배당 ETF 중 배당수익률 1위는 RISE 200 위클리커버드콜 ETF로 배당률 15.46%를 기록했지만, 주가 수익률은 -5.68%로 낮습니다.
즉, 단순히 배당률이 높다고 해서 투자 성과가 우수한 것은 아닙니다.

4.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투자 성과 분석

Q. 6개월간 매월 50만 원씩 투자했다면?

  • 투자금: 매월 50만원(원금 총 300만 원)
  • 투자 기간 6개월: 예상 수익률 11.8%
  • 최종 평가 금액: 335만 원

월 적립식 투자 방식으로도 꾸준한 수익을 기록했고, 배당수익률과 주가 상승이 동반된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합니다. 다만, 앞서 언급한대로 ETF의 상장 기간이 3년 미만이므로 운용 실적을 장기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5. 장단점

✅ 장점

✔ 높은 배당수익률(7.87%), 월배당 지급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 창출
S&P500 배당 성장주 중심 우량 종목 투자
커버드콜 전략으로 추가적인 옵션 프리미엄 수익 확보
✔ 금융, 산업재, 헬스케어 등 다양한 섹터 포함한 분산 투자

❌ 단점

액티브 운용으로 인한 높은 수수료(0.4489%)
주가 대세상승시 커버드콜 전략의 한계로 초과 수익 제한
액티브형으로 운용능력에 따라 수익률이 낮을 가능성 존재

6. 결론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는 배당 성장주와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한 월배당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안정적인 배당과 주가 상승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액티브 운용 방식으로 장기적으로 시장 대비 우수한 성과를 지속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S&P500 기반 배당 투자와 옵션 전략을 병행하는 포트폴리오를 원한다면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단순 배당률만을 보고 투자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운용 성과를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뜻과 단점, 다양한 활용법 알아보기

블록체인

블록체인 뜻, 단점, 활용법

1.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분산 원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이는 중앙기관 없이도 정보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분산 원장이란?

분산 원장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참여자들이 데이터를 공유, 복제하며 암호화 기술을 통해 기록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블록체인은 높은 보안성과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2. 블록체인 특징3

1️⃣ 무결성 (Integrity)

한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습니다.

이런 점은 데이터가 조작되지 않고 원본 상태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데요.
블록체인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로, 신뢰성 높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2️⃣ 탈중앙화 (Decentralization)

블록체인은 중앙기관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게됩니다.
이로 인해 특정 기관이 데이터를 독점할 수 없고 해킹이나 조작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3️⃣ 투명성 (Transparency)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 기록이 공개됩니다. 누구나 확인할 수있다는 특성 덕분에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부정행위를 방지합니다.

3. 블록체인의 단점4

블록체인은 다음과 같은 단점도 존재합니다.

1️⃣ 확장성 (Scalability)

네트워크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거래의 속도가 느려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에너지 소비 (Energy Consumption)

비트코인과 같은 작업증명(PoW) 방식의 블록체인은 막대한 전력을 소모합니다.

3️⃣ 법,규제 문제 (Legal and Regulatory Issues)

앞서 본 블록체인의 특성으로 인해 법적 규제가 불분명하다는 점, 범죄 악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불완전한 보안성 (Security Risks)

완벽한 보안을 제공할 것 같지만, 스마트 계약의 코드 결함 등의 보안 위협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4. 블록체인 활용 분야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가져올 블록체인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 암호화폐 (Cryptocurrency)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의 핵심 기술로 활용됩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중개인 없이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고 분산 원장 기술을 활용하여 투명성을 유지합니다.

🔹 금융 (Finance)

해외 송금, 결제 시스템 등에 블록체인이 적용되면서 보다 빠르고 저렴한 금융 서비스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기존 은행의 시스템보다 더 효율적이면서 보안성은 강화됩니다.

🔹디지털 신분증 (Digital Identity)

전자 여권 및 모바일 신분증을 관리합니다. 분실이나 위조, 변조 걱정 없이 본인의 신원을 안전하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스마트계약이란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법적 계약을 자동화하여 계약 이행 과정을 간소화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의료 (Healthcare)

블록체인은 환자의 의료 기록을 안전하게 저장면서 병원 간 정보를 공유하는 데 이용됩니다.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 NFT (Non-Fungible Token)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체 불가능한 토큰입니다.
디지털 자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소유권을 명확히 증명할 수 있습니다. 게임 아이템,예술 작품, 음원 등의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NFT란?

NFT(Non-Fungible Token):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NFT는 대체 불가능한 고유한 자산으로, 기존의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처럼 동일한 가치로 교환되지 않습니다.
NFT는 진품, 가품 여부와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명확히 증명할 수 있어 저작권이 필요한 미술작품, 음원, 게임 아이템 등의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NFT 시장의 등장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자들은 중개인 없이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으며,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해 가치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5. 요약 정리

✅블록체인은 무결성, 탈중앙화, 투명성의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 금융, 공급망 관리, 암호화폐,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효율성을 높이고 보안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확장성 문제, 높은 에너지 소비, 법적 불확실성, 보안 위협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 NFT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자산 기술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중입니다.
✅ 블록체인은 단순히 암호화폐를 넘어서 공공 서비스, 데이터 보안 등 다양한 기술과 융합하여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 갈 것입니다.

>> 블록체인 관련주 모아보기

>> 비트코인 ETF 투자분석 및 전망

디플레이션 뜻 인플레이션의 영향과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전략

뉴스를 보면 “물가가 올랐다”거나, “경기 침체가 온다”는 말을 접하게 됩니다.
특히 투자자들에게는 이런 말들이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도하는데요.
이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이 바로 인플레이션(Inflation)과 디플레이션(Deflation)입니다.
오늘은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의 뜻과 우리 경제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대응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뜻, 영향, 대응법,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기

1.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뜻

인플레이션이란?
물건 및 서비스의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는 현상,
반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은 줄어들기 때문에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디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은 내려가고,
돈의 가치는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모두 경제 악순환을 만들지만

특히, 디플레이션은 기업의 수익이 줄어들고 경제가 침체될 가능성이 높아 경계해야합니다.

2.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인플레이션이 지속된다면?

  • 소비자들은 물가가 더 오르기 전에 미리 소비하거나, 소비를 포기합니다.
  • 기업의 생산 비용이 증가해 제품 가격이 올라가고, 각종 비용은 줄이게 됩니다.
  • 중앙은행(미국 연방준비제도, 한국은행)은 금리를 올려 돈의 흐름을 줄이는 정책을 펼칩니다.

🔻 디플레이션이 지속된다면?

  • 소비자들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더 내려갈 것이라 생각해 소비를 미루게됩니다.
  • 제품이 안 팔리며 기업은 직원을 줄이거나 투자 규모를 축소합니다.
  • 정부와 중앙은행은 금리를 내리고
    돈을 더 풀어 소비를 촉진하게 됩니다.

3.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대응법

✅ 인플레이션 전략

  1. 실물 자산(금, 원자재, 부동산 등)에 투자.
    •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금이나 원유 같은 실물 자산에 투자
    • 물가가 오르면 일반적으로 부동산 가격도 상승
  2. 에너지·소비재·금융주 투자
    • 물가 상승시기에는 에너지(원유, 천연가스) 관련 기업이 수혜주
    • 사람들이 필수적으로 사야 하는 소비재(식품, 생필품) 기업이 상대적으로 안정적 수익창출
    • 금리가 오를 때 은행·보험사 같은 금융주는 예대마진(대출과 예금 금리 차이)으로 이익이 증대
  3. 변동성을 대비한 인플레이션 헤지ETF 활용

✅ 디플레이션 시 투자 전략

  1. 현금 보유 비중 확대
    • 물가가 내려가면 기업의 매출, 이익이 줄어들어 주식 시장이 하락하게 됩니다.
    • 따라서 급하게 투자하지 않고 현금을 비중을 늘리면서 기다리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 배당주와 국채 투자
    • 경제 위축시기에는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는 안정적인 기업이 상대적으로 주가 하락 방어에 용이합니다.
    • 금리가 낮아지면 국채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안전한 투자처가 됩니다.
  3. 기술주 투자
    • 금리가 낮아지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 기업(AI, 클라우드, 반도체 등)이 더욱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 특히, 부채가 적고 수익성이 높은 대형 기술 기업에 투자하는것이 안전한 전략입니다.

4. 마무리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념으로 그 뜻과 영향, 대응법을 알아봤습니다.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 조짐이 보인다면 이는 투자자 입장에서 아주 좋은 투자 기회를 얻은 것 일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는 항상 시장의 흐름을 잘 파악하려 노력하고 이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오는것은 경제위기를 불러오기도하지만,

미리 예상하고 대응한다면 위기가 기회로 바뀔 것입니다.

>> 시장의 불확실성을 이기는 방법

>> 최고의 ETF는 모멘텀?

>> 대신 결정해드립니다 ETF A vs B

SPMO 모멘텀 ETF는 SPY를 능가했을까?

SPMO ETF는 미국대표지수 S&P500에 포함된 종목 중에서 모멘텀수치가 높은 100개의 종목에 투자합니다.

지난 2024년 한해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한 ETF에 손꼽히기도 했는데요.(레버리지 등 제외)

오늘은 모멘텀 ETF SPMO의 수익률을 비교하고

실제로 얼마나 높은 성과를 기록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모멘텀의 강력한 영향력을 느낄수 있을겁니다.

SPMO 모멘텀 ETF

SPMO

SPMO는 모멘텀스코어를 기준으로 점수가 좋은 상위 100개 기업에 투자합니다.

연간 2번의 리밸런싱을 통해 포트폴리오가 조정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별다른 노력없이 모멘텀 주식에 분산 투자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모멘텀과 SPMO를 정리한 내용을 보시면, 이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SPMO etf 모멘텀 투자 전략 성과 비교

▷구성종목

SPMO의 구성 종목을 보면 SPY나 QQQ의 포트폴리오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게됩니다.

그 이유는 SPY의 포트폴리오에서 모멘텀수치에따라 선별한 100개의 종목에 집중 분산투자하는 전략이 SPMO이기 때문입니다.

SPY와 QQQ는 기초지수는 다르지만 상관계수가 0.95로 사실상 분산투자 효과가 없는 유사한 투자 전략 상품입니다.

SPMO와 QQQ의 상관계수 역시 0.94.

SPMO와 SPY는 0.95로
사실상 셋은 상당히 비슷한 ETF라는겁니다.

>> 상관계수란? 상관계수 확인법 바로가기

그렇다면 수익률도 비슷해야겠죠?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수익률

SPMO의 수익률이 어느정도인지는

미국시장을 대표하는 지수 S&P500ETF SPY와

나스닥100지수 추종 QQQ를 비교해가며 알아보겠습니다.

추가로 국내 모멘텀etf도 별도로 비교해
미국과 한국의 모멘텀 투자전략 성과 차이도 확인해 보도록 할게요.

▷ 수익률 비교표

25.1.31.기준SPMO}(%)SPY
(%)
QQQ
(%)
3개월8.74.65.5
1년44.224.823.7
3년20.912.614.9

24년 최고 수익률로 선정된 SPMO의 수익률은 전체 기간에 걸쳐 SPY와 QQQ를 능가하는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모멘텀 투자 전략은 상승하는 주가를 견인해 더 끌어올리는 효과를 갖고있는데다가
ETF의 특성상 정기적인 종목 리밸런싱을 통해 모멘텀 값이 높은 주식을 계속해서 분산해 담아갈 수 있습니다.

모멘텀 전략은 제가 생각했던것보다 강력하고
ETF로 투자하기에 완전히 최적화된 투자상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투자자가 S&P500지수에 포함된 500개 종목의 모멘텀 수치를 확인하고 선별해 투자한다는건 너무나 어렵고

정확한 지표(모멘텀 값)를 토대로 운용되기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 ETF의 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국내 모멘텀etf

국내 상장 KODEX MSCI모멘텀ETF와 수익률을 비교해봤습니다.

KODEX MSCI모멘텀ETF는 국내 상장 기업중 가격모멘텀을 지표로 투자 종목을 선별하며,
총 198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 주요 구성 종목 :
    SK하이닉스, KB금융, 알테오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신한지주, HD현대일렉트릭, 유한양행, 셀트리온, HD한국조선해양, KT&G 등
  • 기초지수: MSCI Korea IMI Momentum
  • 수수료: 0.4803%
25.1.31.기준SPMO
(%)
KODEX
MSCI모멘텀
3개월8.75.3
1년44.230.8
3년20.99.4

MSCI KOREA IMI 모멘텀 지수를 추종하여 국내 기업 모멘텀 값에 기초하여 종목구성됩니다.

수익률을 비교해보니,
SPMO보다는 다소 낮지만 국장 투자 치고는 아주 괜찮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내상장, 미국상장 할것 없이 모멘텀 투자 전략이 상당히 매력적이란 사실을 알수 있죠.

요약 정리

지난해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ETF로 선정된 SPMO의 수익률을 비교 확인해봤습니다.

미국 시장을 대표하는 S&P500지수와 나스닥100지수를 훌쩍 뛰어넘는 수익률을 기록했고,

국내 모멘텀ETF 역시 상당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는 사실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모멘텀ETF가 상당히 효과적이면서 매력적인 투자 전략이라는것을 알려줍니다.

개인투자자가 개별 종목의 모멘텀 수치를 산출해가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가는것은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모멘텀ETF를 활용하면 구체적이고 명확한 전략을 바탕으로 쉽고 효과적으로 분산 투자 할 수 있습니다.

>> 대신 비교해드립니다 ETF A or B

>> ETF 입문하기

>> 모멘텀 정의 자세히 알아보기

BLOK ETF 블록체인 관련주 투자 전망 개요 및 투자 전망

1. BLOK ETF란?

BLOK etf는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형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Amplify Investments에서 운용하며, 2018년 1월 16일에 상장되어 올해 8년차가되었습니다.

앞서 말한 액티브형은 펀드매니저의 적극 개입 운영으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패시브형이 있으며 두 전략의 차이점을 정리한 글을 먼저 보고오시면
이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액티브 vs 패시브 전략 비교

블록체인 관련 기술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며
금융, IT, 산업재,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산업군이 포함됩니다.


섹터 내 50개 종목에 투자하는 다각화 된 블록체인ETF입니다.

기본 개요:

25.1.30.기준BLOK
운용사Amplify Investments
투자 전략액티브형
수수료0.76%
상장일 2018년 1월 16일
배당률연 1회 ($2.59, 배당수익률 5.56%)
현재가$46.57

2. 포트폴리오

BLOK 구성종목 차트

산업별 비중:

  • 금융: 49.85%
  • IT: 31.00%
  • 경기소비재: 10.29%
  • 통신서비스: 5.80%
  • 산업재: 2.97%

또한, 전체 포트폴리오 중 42.8%가 소형주로 구성되어 있어 변동성이 높은편입니다.


리스크가 큰만큼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시장 확대로 인해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2030년 예상 블록체인 시장규모 약 1조 4천억 달러)

구성 상위 7개 종목:

  1. Galaxy Digital Holdings 5.02%
  2. 로빈후드(HOOD) 4.97%
  3. 코어사이언티픽 (CORZ) 4.95%
  4. 코인베이스(COIN) 4.5%
  5. 메타플래닛(3350) 3.9%
  6.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3.84%
  7. 블록(XYZ) 3.81%

>> 블록체인 기술이란? 정확한 개념을 정리한글을 참고하세요

3. 수익률

최근 1주간 마이너스 수익률로 부진해보이지만(-4.71%)
24년 한해 주가가 폭등해 1년 수익률 76.74%를 기록했습니다.

  • 1개월: +4.8%
  • 3개월: +16.67%
  • 연초 대비(YTD): +7.83%
  • 1년: +76.74%
  • 3년: +17.10%
  • 5년: +24.74%

4. 분배율

연 1회 분배금을 지급하며,
가장 최근 분배 내역을 살펴보면 24년 12월 30일 1주당 $2.59입니다.


연간 배당수익률은 5.56% 다른 기술 ETF와 비교해봤을때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5. 주가 전망 및 전략

BOLK의 주가 전망은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성에 따라 결정되며,
액티브 투자 전략으로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성과 차이가 나게됩니다.

투자 전략:

  •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1조 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블랙록(BlackRock) 등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AI 인프라 및 암호화폐를 핵심 투자 테마로 선정함
  • 트럼프 수혜주로 관련 정책이 본격 시행,정착되면 주가 상승 기대감도 상승할것으로 예상됨

최근 1주간 수익률이 -4.7%로 조정을 받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큰 기술섹터 중에서도 암호화폐 블록체인 분야는 더욱 민감하게 움직이기때문에
단기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며,
장단기적 성장성을 고려한 투자 전략이 요구됩니다.

6. 결론

오늘 소개한 BLOK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액티브형 ETF입니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장기적인 투자 매력이 높지만,
단기 이슈에도 크게 움직이는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결과를 참고하면

보유 종목 50개 중 매수 38종목, 보유 11종목, 매도 1종목으로 종합평가 “매수”의견입니다.

평균 목표가가 59.67달러로 현재가 대비 약 20%상승여력이 있다고 나와 주가 전망은 상당히 긍정적입니다.

미국의 투자 전문가들의 시장 전망을 요약해보면,

  • 지수투자보다는 개별 종목의 상승이 눈에 띌것,
  • AI인프라, 암호화폐가 주도하며,
  • 인플레이션을 주의해야하고
  • 장기적으로 AI관련 기술주가 여전히 유효하게 시장을 이끌 것.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이 힘들다면 moneyv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어보세요.

>> 대신 비교해드립니다 ETF A vs B 바로가기

>> 투자 입문자 이것만 알아가기.

ETF 수익률 순위 모멘텀 SPMO와 대형성장 FDG HFGO

ETF 수익률 순위

2024년 한 해 동안 뛰어난 성과를 낸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레버리지ETF와 총자산 1억 달러 미만의 채권 ETF는 제외한 수익률 높은 ETF로 선정된 세가지입니다.

ETF 수익률 순위. 모멘텀 SPMO 대형성장 FDG HFGO ETF

1. SPMO

(Invesco S&P 500 Momentum ETF)

SPMO는 인베스코(Invesco)에서 2015년 10월 9일에 출시한 ETF입니다.

S&P 500 모멘텀 지수를 추종합니다.


모멘텀 전략은 상승세를 보이는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방식으로,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는 종목들에 중점을 둡니다.

모멘텀이란?

주가가 상승 흐름 또는 하락 흐름 추세에 탄력을 주어 그 상승세나 하락세에 자극을 주는 역할.
>> 모멘텀 정의 바로가기

기본 개요

  • 기초 지수: S&P 500 Momentum Total Return Index
  • 순자산: 약 46억 270만 달러
  • 수수료: 0.13%
  • 종목 수: 101개
  • 2024년 수익률: 45.81%

SPMO는 S&P 500 지수 내에서 모멘텀 점수가 가장 높은 100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약 59%의 높은 비율로 IT, 금융, 경기 소비재 섹터에 투자합니다.

특히 대형주 위주의 포트폴리오(대형주 86%, 중형주 13%)로 안정성과 성장성을 겸비한 것이 특징입니다.

2024년 1월 기준.
주요 구성 종목은 아마존닷컴, 엔비디아, 메타, 브로드컴, JP모건, 일라이릴리 등이 있으며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은 약 58%로 확인됩니다.

연간 두 차례 리밸런싱을 통해 상승 추세의 종목에 투자 집중도를 높이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SPMO ETF의 모멘텀 투자 전략은 펀드에 직접 투자하지 않더라도,

미국 시장을 이끄는 종목 중 모멘텀 수치가 높은 종목을 알아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됩니다.

모멘텀ETF의 영향력이 궁금하시다면
수익률 비교 글을 참고해보세요.

>>> 수익률 비교표 바로가기

2. FDG

(American Century Focused Dynamic Growth ETF)

FDG는 2020년 3월 31일에 상장된 ETF로, 대형 성장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활용합니다.


Russll 1000 TR 지수를 추종하며, 장기적인 성장을 지향합니다.

기본 개요

  • 기초 지수: Russell 1000 Total Return Index
  • 순자산: 약 2억 8730만 달러
  • 수수료: 0.45%
  • 종목 수: 40개
  • 1년 수익률: 48.59%

FDG의 상위 10개 종목을 살펴보면

엔비디아, 아마존닷컴, 테슬라, 알파벳(Class C),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등입니다.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투자 비중의 63.9%를 차지하며,


엔비디아에 대한 비중이 15.3%로 특히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IT 섹터를 중심으로 경기소비재, 헬스케어, 금융 등 다양한 섹터에 투자하지만,

종목 수가 적고 상위 종목 쏠림 현상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져 분산 효과는 다소 제한적이라고 생각됩니다.

3. HFGO

(Hartford Large Cap Growth ETF)

2021년 11월 9일에 상장된 HFGO는 FDG와 비슷한 투자 전략입니다.


같은 기초지수(러셀 1000 TR Index)를 추종하며, 조금 더 대형 성장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기본 정보

  • 기초 지수: Russell 1000 Total Return Index
  • 순자산: 약 1억 3190만 달러
  • 수수료: 0.59%
  • 종목 수: 46개
  • 1년 수익률: 41.26%

주요 투자 종목은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알파벳(Class A), 메타, 브로드컴, 마이크로소프트 등으로 상위10개 종목 비중이 65.7%입니다.

FDG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수수료는 더 높고, 순자산 규모는 작지만,

포트폴리오 구성은 FDG보다 대형주 비중이 크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투자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정리

2024년 최고의 성과를 낸 ETF
SPMO, FDG, HFGO를 살펴봤습니다.

SPMO는 S&P 500 모멘텀 지수를 추종하며 상승 추세의 종목에 투자하는 전략이 돋보이는 투자 상품이고,

FDGHFGO는 대형 성장주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유사한 투자 전략의 ETF입니다.

모멘텀 투자 전략이 적용된 SPMO는 ETF 투자뿐만 아니라 개별 종목의 투자 아이디어를 얻는 데도 유용합니다.


리밸런싱 주기에 따라 주요 구성 종목을 참고하면 향후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데에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작년 한 해 동안 성장주의 강세와 모멘텀 투자 전략이 맞물리며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만큼,
2025년에도 이러한 전략이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고 유심히 지켜봐야겠습니다.

>> ETF 입문자라면 알아두면 좋은 글

>> 가치투자 방법

ETF 수익률

미국 저평가 주식 리스트10. 2025년 빛을 볼 수 있을까?

미국 저평가 주식

오늘은 월가 전문가들이 뽑은 저평가 주식을 확인하고, 해당 종목별 이슈와 투자 아이디어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미국 저평가 주식

1. 25년을 준비하는 자세

매년 1월이면 Morningstar의 Christine Benz는 JP모건, Vanguard(뱅가드), Blackrock(블랙록) 등 미국의 유명 증권사의 장기 주식과 채권의 수익률 데이터를 토대로 새로운 해의 시장 수익률을 전망합니다.

매년 이런 전망 예측을 하는 이유는
투자자는 은퇴 자금 관리, 월급의 몇 %를 저축할지, 또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투자자 개인의 생각은 극단적인 낙관적 전망이나 비관적 전망 빠지기 쉽기 때문에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시장 흐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2025년 가치주로 주목받는 저평가 주식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2. 저평가 주식 10종목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 (TSMC)

TSMC는 반도체 제조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입니다.


올해 매출이 1천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빅테크 및 기술 ETF의 구성종목에서 자주 볼수 있는 반도체 유망주입니다.

메르세데스 벤츠 (MBGAF)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매수 의견을 제시한 벤츠는 중국 경기 침체와 유럽 수요 약세로 주가가 저평가된 상황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명품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주목할 만합니다.

로저스 커뮤니케이션스 (RCI)

캐나다의 미디어 회사로, 2012년에도 극심한 저평가 회사로 평가받았습니다.
아이너리하게도 현재 주가는 그 시기보다 더 하락한 상태로, 중장기적인 재평가 가능성을 기대해볼만합니다.

텐센트 (TCEHY)

중국의 일명 “IT 공룡”으로 불리는 텐센트는 인터넷 기술 및 게임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로 꾸준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입니다.

안호이저부시 인베브 (BUD)

벨기에 기반 맥주 제조업체로, 글로벌 1위의 맥주 제조사입니다.
중국 시장 매출 부진이 약세 요인이지만 브랜드 강점을 바탕으로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염차이나홀딩스 (YUMC)

중국 기반의 퀵서비스 레스토랑 회사로, 치킨, 버거, 해산물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합니다.
중국 내 소비 회복 여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GSK (GSK)

글로벌 바이오 제약회사로, 백신 개발과 일반의약품 치료제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동종 섹터 대비 PER이 약 16배로 저평가되어 있어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보입니다.

레토킬 이니셜 (RTO)

영국 기반 웰빙 서비스 제공 기업입니다.
해당 기업은 지속 가능한 소비 트렌드에 발맞춘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 중입니다.

BMW (BMWKY)

고급 전기차 부문에서 테슬라와 경쟁 중인 BMW는 전기차, 자동차 기술과 혁신을 기반으로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입니다.

핀둬둬 (PDD)

중국 전자상거래 회사로, 소싱, 물류, 주문 처리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무의 모기업으로도 유명하며, 애널리스트들은 현재가 대비 약 30% 상승 여력이 있다고 분석합니다.

3. Comment

이번에 소개한 10개 종목은 소비재, 헬스케어, 반도체, 통신 등 다양한 섹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가 저평가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각 기업의 섹터별 특성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다르게 평가됩니다.

▷투자 tip

  1.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구성:
    단일 섹터에 집중하기보다 저평가 주식을 포함한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
  2. 장기적 관점 유지: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기업의 펀더멘털과 지속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고려
  3. 시장 트렌드 분석:
    글로벌 경기 흐름과 각 기업의 경쟁력을 면밀히 분석

시장은 다양한 변수를 반영하며 변화하기 때문에 단기적 변동성보다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리스트를 참고하여 투자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참고 자료

Morningstar Director of Personal Finance Christine Benz 모닝스타 금융이사인 Christine Benz의 1월 투자 관련 전망을 바탕으로 제 개인적인 투자 분석과 의견을 작성했습니다.

>> 가치주 찾는 방법

>> 현명하게 ETF 고르기

주식시장 혼조세 이유와 불확실성을 이기는 방법

주식시장 혼조세 이유와 불확실성을 이기는 6가지 방법

최근 경제 상황, 시장 동향,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에게는 도전정신을 일으키는 환경이 아닐까 싶은데요.
오늘은 시장이 불확성이 커지는 이유와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 이기는 투자방법, 시장 혼조세 불확실 변동성높은 이유와 그것을 이겨내는 투자 법칙 6가지

1. 주식시장 불확실성

주식시장 의 불확실성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미래의 경제 상황, 기업 실적, 정책 방향 등을 예측하기 어렵거나 예상과 빗나갔을때 불확실성은 더욱 확산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 변동성이 높다
  • 혼조세를 보인다
  • 시장 신뢰가 부족하다
  • 투자 심리가 불안하다
  • 방향성을 잃었다

이러한 불확실성의 주요 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경제적요인


금리 상승과 하락, 실업률 상승, 경기 침체 등 경제 관련 지표의 변화는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정치적 요인


세금 정책, 무역 갈등, 국제 분쟁, 전쟁 등 정치적 이슈는 투자 심리를 불안하게 만듭니다.

기업 내부 요인


경영진 교체나 기업 운영 방식의 변화, 예상과 다른 실적 발표, 사업 구조 조정 등 기업내부의 변화가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게 됩니다.

외부 요인

팬데믹, 지진, 대규모 화재 등 예측할 수 없는 외부적 사건으로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전 세계가 봉쇄된 사태가 발생했었고 글로벌 경제가 위축되며 큰 영향을 줬습니다.
여러 대륙과 국가에 걸쳐 발생하는 전염병 확산은 이제 무시할 수 없는 시장 충격의 주요 요인입니다.

    2. 불확실성을 이기는 투자 방법

    이처럼 주식시장 불안함을 만드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만, 이를 극복하는 투자 방법도 존재합니다.
    어떻게 하면 불확실한 시장을 이길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정기적인 분할 매수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분할 매수(Dollar-Cost Averaging)는 불확실한 시장에서 아주 유용한 전략입니다.

    • 주가가 하락하면 더 많은 주식을 사고, 주가가 상승하면 적은 주식을 매수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 분할 매수 전략은 급등 종목에 대한 투자 타이밍을 놓친 불안감을 줄이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하여 체계적인 재정 관리 가능합니다.

    변동성 극복 장기투자

    시장 변동성은 주로 단기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 장기적인 투자 목표를 설정한뒤 계획을 유지하면 변동성에 덜 흔들릴 수 있습니다.
    • 자신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허용 범위를 정확히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 배당금: 복리투자

    배당금을 재투자하면 복리 효과로 인해 총 수익을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

    • 배당금 재투자는 복리투자 효과로 자산을 늘리는데 효과적입니다.
    • 안정적인 배당금을 지급하는 우량 기업에 투자하면,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도 꾸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효과100% 리스크 관리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확실한 방법중 하나는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 주식, 채권, 금, 부동산 등 서로 다른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면 특정 자산의 변동성에 따른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지역, 산업, 섹터별로 투자 대상을 나누면 리스크 관리가 더욱 용이합니다.
    • 상관계수 기반의 포트폴리외를 구성합니다. >> 상관계수란?

    ▷ 감정에 휘둘리지 않기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감정적인 판단은 하지말아야 합니다.

    • 단기적인 뉴스, 테마에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고, 냉정하게 기존의 투자 계획을 유지합니다.
    • 지나치게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인 태도는 잘못된 투자 결정을 초래하게 됩니다.

    ▷ 성공적인 투자: 꾸준함

    • 투자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더라도 투자는 멈추는 것이 아닙니다.
    • 주식 시장은 다른 투자 자산(채권 등)보다 높은 리스크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해왔습니다.
    • 시장의 하락, 조정국면은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합니다.

    3. 정리

    시장의 불확실성은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잘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실천한다면 더 큰 성과를 거둘 수있습니다.
    정기적 분할 매수, 장기 투자, 배당 재투자, 분산 투자, 그리고 감정적 판단 배제와 꾸준함은 불확실한 시장을 이기는 핵심 전략입니다.

    2025 아이디어

    2025년 다보스포럼: 25년에도 유효한 AI시대, 인플레이션의 재등장, 국가간 충돌

    이와 관련해 알아두면 좋은 투자 아이디어, ETF를 정리했습니다.

    >> 여전히 강자 빅테크(매그니피센트7) 7대장

    >> 반도체 초집중 투자 SMH

    >> 인플레이션 헷지: 단기채권 아직도 안갖고 있나요?

    >> 안전자산 달러!! 그리고 금!!

    >>> 미국상장 ETF / 국내상장 ETF / 채권 ETF / 금ETF / 레버리지 ETF

    >>> ETF 월드컵! 대신 비교해드립니다.

    환전 수수료 비교로 환율우대 뜻 제대로 이해하기

    환전 수수료

    환율 우대100%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저는 모든 수수료가 없어진것 같은 착각이 드는데요.

    오늘은 환율 우대100%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나무증권과 키움증권에서 직접 환전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환율 우대 의미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환전 수수료 직접 해본 비교결과. 환율 우대100%의미.

    1. 환율 우대 뜻

    환율은 두 나라의 화폐를 교환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환전할때는 매수환율과 매도환율은 다르게 적용되며,

    환전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환스프레드라고 합니다. 바로 이 수수료를 할인해주는게 환율 우대입니다.

    스프레드 1%, 환율 우대 50%라면

    수수료 1%에 해당하는 수수료의 50%를 할인해주는 것입니다.

    2. 100% 우대율?!

    환전 우대는 환전 수수료(스프레드)를 할인해준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그렇다면 95%, 100% 환율우대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 예시

    예를 들어 계산하기 쉽게
    원달러 환율이 1,000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1달러=1,000원 수치상으로는 이렇지만
    실제로 환전하려면
    1,020원을 지불하게 되는데요.

    여기에 붙는 20원이 스프레드입니다.

    즉 수수료 2%라고 볼수 있죠.

    여기서 환전 우대 100%라면 수수료로 붙은 20원에대한 100%를 우대해준다는 의미로

    결국 수수료는 0원이됩니다.
    20원 – 수수료 우대(20원x100%) = 0원

    만약 수수료 우대 95%라면
    20원 – 19원(= 20원의 95%) = 수수료 1원이 되겠죠.

    3. 증권사 환전 수수료

    여행이나 출장등의 이유로 환전을 하기도하지만,

    요즘은 미국에 직접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투자를 위해 환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예전에 나무증권에서 환전 우대100% 이벤트때 계좌를 개설했고,

    현재까지 환전 우대 100%를 적용 받고있습니다.

    나무증권

    그렇다면 환전우대 100%가 정말 이득일까요?

    제가 좀 궁금해서 다른 증권사와 비교해서 환전을 해봤습니다.

    은행과 증권사는 하나은행 또는 신한은행의 실시간 고시환율을 적용하는데요.

    실시간 적용된다고는 하지만

    증권사마다 고시환율에 차이가 발생하고, 실시간 변동되는 환율이 그 즉시 적용되는건 아닌것 같더라고요.

    나무증권 기준으로 봤을때

    매수 기준환율과 매도기준환율이라고해서 환전 기준금액을 정해놓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게 나무증권 기준환율은 이미 스프레드 약1%가 붙어있는 가격입니다.

    표면상 100%우대가 맞지만, 기준환율에 수수료가붙어있는 셈이니
    실제 체감하는건 약 97%~98%의 우대혜택을 받습니다.

    지난 해에 키움증권과 나무증권에서 실시간 환율을 조회하고 환전을 해본 결과

    나무증권이 매수환율은 1원 높고,
    매도환율은 약 4원이 낮았습니다.

    그 말은 달러로 환전할때는 조금 비싸게 사고,
    원화로 다시 바꿀때는 싸게 팔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엔화역시 매수 환율은 높고, 매도환율은 낮았어요.

    실시간 환율까지 비교해가며 환전해야하나 싶지만, 환전 금액이 클수록 적용 환율과 우대수수료율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어쨌든 이렇게 보면 나무증권이 좀 꼼수를 부린게 아닌가 싶었는데요.

    ▷ 실제 환전결과

    실제로 환전을 해보니
    결과는 나무증권의 환율 우대100%가 더 이득인건 맞았습니다.

    제 결론은 증권사마다 시간대별로 적용되는 환율에는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이런것 까지 비교해가며 환전을 할 수는 없고,

    스프레드를 이미 적용한 지정환율이라도
    환율 우대를 받는게 무조건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우대 수수료율 100%면 베스트!

    100%까진 못받더라도 단 10%라도
    우대를 받는게 이득이겠죠.

    4. comment

    오늘은 환전을 직접해본 결과를 토대로 환전 우대 100%의 의미를 살펴봤습니다.

    제가 환전 돌려볼때만해도 환율이 1,350원대였는데

    현재 환율이 1,450원으로 지금와서보니 그당시가 혜자였네요.

    불과 2년전만해도 증권사에서 해외계좌 개설하면 환전수수료 우대100%와같은

    행사를 어렵지않게 찾아볼수 있었는데,

    요즘은 미장에 투자하는 분들이 이미 많아지고 증권사에서 신규유입이나

    증권사를 이동할만한 수요가 없다고 생각하는건지 환전 우대는 보기 힘드네요.

    간혹 미국 빅테크 관련 기업 주식 1주를 준다거나, 10달러 이벤트 이런건 있는것 같긴한데

    장기적으로 보면 환율우대를 따라 갈 수가없죠.

    혹시라도 평생 환율우대 행사를 보시면 그냥 지나치치마시고 꼭 활용해보세요.

    >> 나무증권 계좌별 내 수수료 확인방법

    >> ETF 초보를 위한 체크리스트

    CD금리 뜻 SOFR KOFR 특징과 관련ETF 핵심 정리!

    CD금리

    CD금리 KOFR SOFR

    1. CD금리

    CD : Certificate of Deposit, 양도성예금증서
    양도성예금증서에 적용되는 금리.

    금융투자협회에서 10개의 증권사의 자료를 토대로 결정하는 기준금리입니다.
    (시중 은행 AAA등급 은행예금금리)

    금리고시

    매일 오전 11시30분에서 3시 30분사이의 보고 대상 증권사 10곳의 호가 금리를 받은 뒤
    최고,최저 금리를 제외한 나머지 8개의 평균수치를 CD금리로 지정고시합니다.

    CD금리는 정기예금증서가 발행되고 거래될 때 적용되는 금리로 주담대 변동금리에도 영향을 줍니다.

    관련 ETF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 1년수익률 3.52%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 : 1년수익률 3.4%

    2. KOFR 금리

    KOFR: Korea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
    국채 및 통안증권 담보로 익일물PR금리를 사용해 산출한 우리나라RFR(무위험지표금리)입니다.

    국채 및 통안증권을 담보로하는 초단기거래로 무위험 금리로
    실거래에 기반해 산출되어 조작 가능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FR

    Risk Free Reference Rate, 무위험지표금리로 일정기간 투자자가 신용리스크 없이 얻는 이론상의 최소수익률을 뜻합니다.

    통안증권

    Monetary Stabilization Bond=통화안정증권,
    통안채로도 불리며,
    중앙은행(한국은행)이 시중 통화량 조절을 위해 발행하는 유통증권을 뜻합니다.

    금융거래지표의 신뢰도를 높이기위해 개발된 금리입니다.
    [산출기관: 한국예탁결제원]

    25.1.22.기준 KOFR금리는 3.141%
    >> KOFR금리 바로가기

    관련 ETF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 1년수익률 3.53%
    RISE KOFR금리액티브(합성)

    3. SOFR 금리


    미국채를 담보로하는 하루짜리 금리로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량 가중평균방식으로 산출됩니다.

    기존에 LIBOR을 대체한 기준금리체계로 거래기반 금리산정으로 신뢰도가 높은것이 장점입니다.

    90일평균 SOFR 금리 4.56%
    >> SOFR 금리 바로가기

    환매조건부채권(RP)

    금융기관에서 일정기간이 지난 후 다시 사는 조건으로 채권을 팔고,
    확점 금리(이자)를 붙여 다시 사는 채권을 의미합니다.

    관련 ETF

    TIGER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1년수익률 12.35%
    ACE 미국달러SOFR금리(합성): 12.68%

    유용한 tip

    >> CD금리 파킹형ETF vs 발행어음 비교

    >> 미국 달러 월배당 SOFR ETF 분석

    >> KOFR금리 액티브

    단기채권 ETF vs 파킹형 vs 발행어음 목돈굴리기 상품 뭐가 좋아?

    단기채권 ETF

    오늘은 원금 손실 위험이 적으면서
    1년 이내 단기 목돈운용에 유용한
    투자 상품 3가지를 찾아보고,

    수익률과 특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단돈 100만원이라도 어디에 투자하는게 좋을지 이 글을 보시면 나에게 맞는

    목돈 굴리기 상품을 고를 수 있을 겁니다.

    단기채권 파킹형 발행어음 목돈굴리기 비교

    1. 파킹형ETF

    ▷ 개요

    파킹형ETF는 기초 지수의 1일 금리를 수익화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파킹통장과 유사하지만 별도의 조건 없이 주식처럼 1주씩 매수 및 매도가 가능합니다.

    복리투자가 가능하며,
    소액 투자, 뛰어난 유동성으로 만기가 없고,
    투자자가 필요시 매도해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 ETF

    국내 상장 파킹형ETF는 22개가 있습니다.

    그 중 운용규모, 수수료 등을 고려한 1가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ETFRISE CD금리액티브(합성)
    운용사KB자산운용
    상장일2024 .3. 26.
    순자산8,898억 원
    기초지수FnGuide CD금리투자 지수
    수수료율0.0307%

    ▷ 수익률

    [25.1.21.기준]

    3개월: 0.83%

    6개월: 1.71%

    1년 예상 수익률: 약 3.5% (CD금리 기준 추정)

    ▷ 세부사항

    • 매매차익 15.4%의 배당소득세 적용
    • 예상 수익:
      1,000만원 투자시 세전 수익 약353,000원

    참고로 1,000만원을 코스피100ETF에 투자했다면 세전 수익 22만원(1년 수익률 2.2%)

    국내상장 S&P500(H) ETF에 투자했다면 세전 239만 원(수익률 23.9%) 수익입니다.

    고수익은 불가하지만,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는것보다는 나을 수 있겠네요.

    2. 발행어음

    ▷ 개요

    일부 증권사에서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약속어음입니다.

    발행어음 발행가능한 증권사는
    한투, KB, 미래에셋, NH 4곳 뿐입니다.

    장단점

    발행어음은 만기를 1년 이내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적립식 또는 거치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정금리로 만기 수령금액을 미리 계산해 자금 운용 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하고,

    지금처럼 금리 인하 시기에는 고정금리가 더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예금자보호는 안되며,
    최장 투자 1년이내로 그 이상 투자시 매번 재매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외화 발행어음

    외화(달러)발행어음은 달러 예금 또는 달러 적금으로 원화보다 더 높은 약정수익률이 적용됩니다.

    [외화발행어음 약정 수익률 4.55%]
    (나무증권, 25.1.기준)
    (최소 매수금액 $500이상)

    약정 수익률

    2025년 1월 21일 기준 약정수익률 (나무증권)

    가입 기간약정 수익률
    2일 ~ 90일2.65%
    91일 ~ 180일 3.3%
    181일 ~ 365일3.55%

    투자 예시

    투자금: 1,000만 원

    투자기간: 1년 (3.55%)

    만기 수령금액: 10,355,000원

    세후 수령금액: 약 10,300,330원

    3. 단기채권 ETF

    개요

    단기채권 ETF는 만기1년이내,
    초단기채권ETF는 만기 3개월 이내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대표적으로 SOL초단기채권액티브와
    TIGER 단기채권액티브가 있습니다.

    ETFSOL초단기채권
    액티브
    운용사신한자산운용
    상장일2023년 11월 7일
    순자산5,402억 원
    수수료율0.075%
    최근 1년 수익률3.97%
    ETFTIGER 단기채권
    액티브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7년 6월 29일
    순자산5,207억 원
    수수료율0.0955%
    최근 1년 수익률3.55%

    두 가지 모두 액티브형입니다.

    액티브는 비교지수보다 높은 성과를 추구하는 전략으로 전문 펀드매니저가 포트폴리오 구성 등 적극적인 투자 전략을 구현합니다.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초과 수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액티브형, 패시브형 차이점 비교 정리 바로가기

    미국채 초단기ETF

    SGOV는 미국 국채 초단기 채권으로 안정성과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한 ETF입니다.

    달러를 보유하면서 미국채에 투자할 수있는데다가 연배당률 5%의 월배당ETF입니다.

    초단기 채권은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적기 때문에 배당주 투자목적과 약 2%정도의 매매차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총정리

    오늘 살펴본 목돈 굴리기 상품 3종은

    1년 예치 시 예상 수익률은 3.5% 내외로 비슷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수익률을 보고 접근하기보다는 각각의 특징에 따라 본인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파킹형 ETF:
      소액 적립 투자, 언제사용할지 모르는 자금 운용.
    • 발행어음:
      자금 운용기간 1년으로 고정적이고 가입당시 확정 금리로 선명한 자금운용.
    • 단기채권ETF:
      액티브형으로 안정적인 채권투자와 동시에 초과 수익을 목표.

    추가로 달러 투자 및 월배당 선호 시 미국상장 ETF SGOV를 고려해보세요.

    >> 미국 초단기채권 SGOV 자세히 알아보기

    >> 채권ETF 모아보기

    미국 초단기 채권 투자 적기?! SGOV 배당으로 연5% 어떨까?

    미국 초단기 채권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 (SGOV)

    미국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SGOV.

    초단기 채권의 특징과 월배당 수익률 확인을 통해 투자 전략을 짜보겠습니다.

    마땅히 투자처를 찾지 못했거나,
    단기 자금운용을 계획하고 있다면
    이 글을 통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으실수 있을겁니다.

    미국 초단기 채권

    1. 미국 초단기 채권 etf

    SGOV(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는 블랙록에서 운용하며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만기 3개월 이하의 초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채권투자 그 중에서도 단기 채권은 안정적인 수익과 낮은 변동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고,
    배당을 목적으로하는 투자자에게도 유용한 투자상품입니다.

    티커SGOV
    운용사 iShares (블랙록)
    상장일2020. 5. 26.
    기초지수ICE BofA 0-3M US Treasury Bill TR USD
    AUM(순자산)$31,700.1M
    (약 45조 원)
    수수료0.09%
    거래소뉴욕증권거래소(NYSE Arca)
    현재가$100.54

    2. SGOV 핵심

    투자 대상

    • 만기 3개월 이하의 미국 국채에 투자합니다.
    • 초단기 국채로 원금 손실의 위험이 낮습니다.
    • 미국 정부가 발행한 국채로 신용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안정성

    • 1년 변동률 약 0.07%로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 초단기 국채에 투자함으로써 시장 금리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꾸준한 배당 수익을 지급합니다.

    효율성

    • 주식처럼 손쉽게 매수 및 매도가 가능하여 필요 시 자금을 신속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
    • 0.09%의 낮은 운용 보수로 장기 투자 시 비용 부담이 적습니다.
    • 매월 분배금을 지급받아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구축 할 수있습니다.

    3. 수익률 및 분배금

    수익률

    • 1개월: 0.4%
    • 3개월: 1.19%
    • YTD: 0.22%
    • 1년: 5.25%
    • 3년: 4.05%

    분배율

    • 연간 배당률: 약 5.09%
    • 최근 배당 내역: $0.37 (월배당)

    SGOV는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며,
    연간 배당수익률은 5% 수준입니다.


    현재 은행 예금 금리가 각종 우대금리를 포함해도 3.4%를 넘기 어려운 상황이라
    연 배당률 5.09%는 아주 매력적인 수치입니다.

    4. 미국 초단기 채권 특징

    • 미국 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부도 위험이 제로에 가깝습니다.
    • 채권 만기가 짧을 수록 시장 금리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금리 변동에 대한 낮은 민감도는 금리 상승기에도 안정적인 투자처로 활용 가능합니다.

    5. 투자 시 유의사항

    환위험

    • SGOV는 미국 상장ETF로 달러로 거래하며,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발생합니다.

    성과

    • 초단기 채권 ETF는 장기 채권 ETF보다 수익률이 낮습니다. (위험이 낮은만큼 기대 수익률도 낮음)
    • 채권 가격 상승을 통한 시세차익보다는 배당 수익에 초점을 둔 투자상품입니다.

    6. 투자 전략, 정리

    • SGOV는 투자 포트폴리오 내 현금성 자산을 대체하거나 단기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려는 목적에 적합합니다.
    • 매월 지급되는 분배금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구축할 수 있고,
      이를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SGOV 초단기 국채 특성상 원금 손실 가능성이 적고, 낮은 운용 보수와 안정적인 배당 수익으로 매력을 더합니다.
    •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거나 금리 환경이 불확실한 시기에 특히 유용한 투자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종류별 ETF 비교표

    >> 채권 ETF 모아보기

    >> 어떤 ETF를 고를까? 비교분석

    미국 단기국채 장기국채 그냥 사면 될까?

    미국 단기국채

    채권은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주식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을 갖으며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때 투자자들은 채권 투자에 더욱 큰 관심을 두곤 하는데요.
    하지만 최근 모습은 장기 금리의 상승으로 인해 주식 하락 시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는 기존의 공식이 무색해지고 있습니다.

    현명한 채권 투자를 위해 오늘은 채권의 개념,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의 반응, 채권 ETF 투자 전략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단기국채 채권투자법

    1. 채권이란?

    채권은 정부(국채), 지방자치단체(지방채), 기업(회사채) 등이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일종의 차용증서로 투자자는 발행자에게 자금을 빌려주고 정기적으로 이자를 받으며,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받게 됩니다.

    채권의 이자는 발행자의 신용이 높을 수록,
    만기가 짧아 금리 변동 위험이 적을 수록 낮은 이자를 제공합니다.

    2. 채권 투자 장점

    • 안정성: 주식 대비 변동성이 낮고 원금 손실 가능성이 적음
    • 예측 가능한 수익: 만기까지 보유 시 원금과 정기적인 이자 수익확보.(만기매칭형ETF)
    • 다양성: 투자 기간 및 목표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 채권 등 다양한 상품을 선택.

    3. 국채 만기 종류

    1) 미국 단기국채

    • 만기: 1년 이하
    • 특징:
      • 금리 변동의 영향을 덜 받으며 안정적인 자산 운용 가능
      • 초단기 투자, 자금 유동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 대표 ETF:
      • SGOV: 3개초단기 미국 국채, 연간 배당수익률 5.09%
      • BIL: 1~3개월 초단기 미국 국채. 연간 배당수익률 5.02%
      • SHY: 1~3년 단기국채. 연간 배당수익률 3.91%

    2) 중기 채권

    • 만기: 3년~10년
    • 특징:
      • 단기 채권보다 높은 수익률
      •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성 존재, 중간 수준의 리스크
    • 대표 ETF:
      • IEF: 7~10년 미국 국채. 연간 배당수익 3.62%

    3) 장기 채권

    • 만기: 10년 이상
    • 특징:
      • 금리 하락 시 가장 큰 가격 상승 기대
      • 금리 상승기에는 큰 폭의 가격 하락 위험이 존재하므로 투자 시 주의
    • 대표 ETF:
      • TLT: 20년 이상 만기 미국 국채. 연간 배당률 4.31%

    4. 최근 수익률 및 분배금 비교

    3개월간 수익률 비교:

    • 단기 채권 (SHY, 1~3년): +0.48%
    • 중기 채권 (IEF, 7~10년): -2.61%
    • 장기 채권 (TLT, 20년 이상): -6.04%

    연간 배당률:

    • 단기 채권 (SHY): 3.91%
    • 중기 채권 (IEF): 3.62%
    • 장기 채권 (TLT): 4.31%

    단기 채권은 안정적이고 금리 변동 영향을 적게 받는 반면, 장기 채권은 금리 변동성에 민감하며 높은 수익과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5. 채권 ETF 투자 전략

    채권 ETF의 기본 구조

    • 기초지수를 추종하며 만기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 상품으로 구분됩니다.
    • 월 배당 또는 분기 단위 배당을 통해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합니다.
    • 만기 매칭형 ETF: 특정 만기일까지 보유 시 예상 수익률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투자 목표에 따른 전략:

    • 안정적인 단기 투자: 리스크가 적은 단기 채권 ETF(SHY, SGOV)
    • 중간 수준의 리스크 및 수익: 중기 채권 ETF(IEF)
    • 고수익 추구: 금리 하락기 장기 채권 ETF(TLT)
    • 예상 수익률을 미리 알고자 하는 경우: 만기 매칭형 ETF

    6. 결론

    채권은 안정성과 예측 가능한 수익성을 갖춘 자산이지만, 금리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투자 시 시장 상황과 경기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간 배당률 3.5%~5% 내외로 매월 현금배당을 받을 수 있어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투자 자산입ㄴ다.

    금리 변동과 시장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채권 ETF를 선택해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

    >> 기간별 채권ETF 비교표 한눈에 보기

    >> 안전자산 금 투자 방법 4가지 확인

    >> 달러에 투자하는 방법 4가지 확인

    ETF 괴리율 NAV 뜻, 계산식, 확인법: ETF 적정가격 찾는법

    ETF 괴리율

    ETF를 현명하게 투자하기 위해 적정가격을 찾는 방법은?
    오늘은 ETF 투자 시 중요한 지표인 NAV, iNAV, 괴리율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NAV (순자산가치)

    NAV는 Net Asset Value의 약자로, ETF의 1주당 순자산가치를 뜻합니다.

    장 마감시 주식 종가가 결정되고,
    ETF 역시 보유한 자산의 가치, 수량을 정리하게됩니다.


    ETF가 보유한 모든 자산의 총 가치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총액을 ETF 발행 좌수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 NAV 계산식

    NAV = (ETF 자산 – 부채(운용보수)) ÷ ETF 발행 증권수

    ▷ 예시

    ETF의 순자산가치가 10,000원이라면 이상적인 시장가격도 동일해야 하지만,

    실제 거래에서는 시장 수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매도세가 강하면 9,900원으로 낮아 질 수 있고, 매수세가 강하면 11,000원으로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시장가격과 NAV의 오차는 적을 수록 좋습니다.

    증권사 앱에서는 매일 NAV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ETF의 가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iNAV (실시간 순자산가치)

    iNAV는Indicative Asset value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즉 NAV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iNAV는 1초~10초 단위로 계산되며, 투자자가 실시간으로 적정 가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iNAV를 활용해 과대평가된 가격에 매수하거나 과소평가된 가격에 매도하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괴리율

    괴리율은 시장가격과 NAV의 차이를 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ETF 괴리율 NAV


    시장가격이 NAV 대비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계산식

    (가격 – NAV) ÷ NAV × 100

    ▷ 예시

    NAV 10,000원 전일 종가가 10,050원이라면, 괴리율은 0.5%입니다.

    NAV가 10,000원이고 전일 종가가 9,950원이라면, 괴리율은 -0.5%입니다.

    괴리율이 플러스(+)값이면 현재 가격이 고평가된 상태,
    마이너스(-)라면 저평가됐다고 볼 수있습니다.


    보통 괴리율이 0.5%이내라면 적정한 범위로 간주됩니다.

    ▷ 괴리율 생기는 이유

    • 거래시간과 거래일의 차이: 해외 자산을 기초로한 ETF는 현지 시장이 열리지 않은 시간대에 거래시 실시간가치를 반영하기 어려움.
    • 매수,매도세 차이
    • 유동성 부족: 투자자가 급증하거나 반대의 경우.
    • 운용 구조 한계: 파생상품 투자시 가격 왜곡 발생. 기초자산 가격을 100% 완벽히 주종하지 못함.
    • 비용 및 세금: 매매시 발생하는 비용과 해외ETF 세금 구조로 괴리율 발생.

    괴리율이 큰 종목은 일시적인 시장 변동성으로 인해 버블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괴리율이 큰 상황, 즉 과열된 시장에서 고점에 매수하면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 iNAV와 시장가격을 비교한 후 거래 시점을 조정하거나 지정가 주문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ETF 적정가격 찾기

    • NAV: 전일 순자산가치
    • iNAV: 실시간 순자산가치
    • 괴리율: 시장가격과 NAV의 차이

    ETF 매수, 매도 전에 NAV, 괴리율을 확인해 시장가격의 적정성을 판단하세요.


    ETF 괴리율 크다면 거래를 미루거나 지정가 주문을 통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ETF 매매시 NAV와 시장가격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더 현명한 투자가 가능합니다.

    오늘 살펴본 NAV, iNAV, 괴리율을 통해 ETF 적정가격을 찾아보고 투자 리스크를 최소화하세요.

    >> 금융 상식 바로가기

    >> ETF로 가치투자 하는 방법

    >> ETF 종류 알아보기

    공탁금이란? 조회 방법 2가지 수령기간 전자공탁 사이트 활용하기

    공탁금이란?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타인과 금전 거래를 하게 되는 일이 종종 생기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채권채무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아무 문제 없이 기한 내에 변제가 이루어지면 좋겠지만,

    채무자가 기한 내에 갚지 못하는 경우,
    채권자가 돈 수령을 거절한다거나,
    행방불명되어 변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중 하나가 바로 공탁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탁금의 의미와 공탁금 조회, 수령 방법, 그리고 수령 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공탁금이란?

    공탁금은 채무자가 채무를 변제하고 싶지만,


    채권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수령을 거절하거나, 채권자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채무자는 자신의 변제 의무를 이행 할 수 있으며,


    채권자도 공탁금을 수령할 수 있는 법적 절차가 보장됩니다.

    공탁금이란?

    ▷ 예시

    예를 들어,

    A가 B에게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근저당권 설정등기를 완료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후 채무자 A는 더 큰 금액의 대출을 받으려 했으나,
    금융기관에서는 채권자 B 명의의 근저당권을 말소해야 한다고 요청합니다.

    이에 채무자 A는 채권자 B에게 채무를 변제하려 했지만,


    B가 약정한 이자보다 더 많은 금액을 요구하며 변제를 거부했습니다.


    결국 채무자A는 돈을 갚고 싶어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는데요.

    이때 채무자A는 공탁을 통해 자신의 변제 의무를 이행하고,

    법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2. 공탁금 조회 방법

    공탁금을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온라인 방법직접 방문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온라인 조회 (법원 전자공탁)

    법원 전자공탁 시스템을 이용해 간편하게 공탁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절차:

    1. 전자공탁 사이트 접속: 법원 전자공탁 사이트 로그인
    2. 본인 인증: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인증을 통해 본인 인증 진행
    3. 공탁금 조회: ‘공탁사건 검색’ 또는 ‘휴면공탁금 조회’ 메뉴에서 공탁금을 확인

    >> 법원 전자공탁 바로가기

    ▷ 직접 방문 조회

    관할 공탁소에 직접 방문하여 공탁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절차:

    1. 열람신청서 작성: 열람신청서(사실증명청구서)를 작성
    2. 관할 공탁소 제출: 작성한 신청서를 공탁소에 제출
    3. 확인 결과 열람: 공탁소에서 확인된 공탁금 정보 제공

    >>관할 공탁소 바로가기

    3. 수령 방법

    공탁금을 수령하는 방법 역시 직접 방문또는 전자공탁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방문 수령

    공탁물을 출급, 회수 청구하려는 사람은 아래 절차를 따릅니다:

    1. 공탁물 출급 청구서 작성: 공탁물 출급 청구서 2통을 작성
    2. 관할 법원 제출: 관할 법원의 공탁관에게 청구서를 제출
    3. 수리 결정: 공탁관이 수리 결정을 내린 후 결정서를 제공
    4. 공탁금 수령: 신분증과 수리 결정서를 지참해 공탁소 내 은행에서 공탁금을 수령

    ▷ 전자공탁 사이트 이용

    전자공탁 시스템을 통해 공탁금을 수령 절차:

    1. 로그인 및 조회: 전자공탁 사이트에 로그인 후, ‘공탁금 찾기’ 메뉴 선택
    2. 출급 청구서 작성: 공탁 번호, 사건 번호를 검색해 공탁금을 조회한 뒤 출급 청구서를 작성하여 제출

    주의사항

    공탁금 출급청구서의 첨부서류
    • 신청 시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 온라인 제한:
      5천만 원을 초과하는 공탁금 또는
      경매 집행, 항고보증공탁의 경우
      전자공탁으로 출급 신청이 불가능하며, 직접 방문해야함.

    4. 수령 기간

    공탁금은 공탁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수령합니다.

    10년 안에 공탁금을 수령하지 않을 경우,
    공탁금은 소멸하게 됩니다.

    예) 2025년 1월 1일에 발생한 공탁금은 2035년 12월 31일까지 수령.


    따라서 자신의 공탁금이 소멸되지 않도록 반드시 기간 내에 수령해야 합니다.

    5. 활용 사례

    공탁금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1. 교통사고: 가해자가 공탁금을 걸어 피해자와 합의를 시도, 양형을 낮추기 위해 사용
    2. 부동산 경매: 가집행을 막기 위한 법적 안전장치
    3. 변제 공탁: 채권자의 수령 거절로 인해 변제 의무를 이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활용

    6. 정리

    공탁제도는 금전 거래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채권자가 돈을 받지 않으려 하거나,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채무자는 공탁을 통해 자신의 변제 의무를 다 할 수 있습니다.

    공탁금 조회와 수령 방법, 수령 기한을 정확히 숙지하여
    금전적 거래에서 보다 안전하게 문제를 해결하세요.

    공탁은 결국 아는 만큼 활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공탁금 제도를 잘 이해하고 필요 시 적극 활용해, 금전 거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분쟁을 줄여보세요.

    >>금융 지식 모아보기

    >> 전자공탁신청절차

    공탁금이란?

    건축 감리사 연봉과 전망 good! 현실 문제점은 없을까?

    건축 감리사

    건축 감리

    1. 건축 감리사 역할

    “건축감리사”란 건설 현장에서 공정과 기술적 측면을 검토하고, 시공 상태와 품질을 확인, 문서화해 관련 기관에 보고하는 전문가를 말합니다.

    건설사가 수행하는 시공을 기술적으로 점검 관리하면서 문제점을 지적하는 역할로 건축물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는 중요한 직무입니다.

    2. 건축 감리사 전망


    ‘순살 아파트’ 들어본 적있으신가요?
    건설 현장에서 부실공사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면서, 건축감리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기둥 철근 누락 사건과 같은 심각한 문제는 감리사의 전문성과 역할이 건설업계의 핵심임을 일깨워줍니다.

    건축감리사는 경력이 쌓일수록 직업 안정성이 높아지고, 60~70대까지도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전문직으로 전망이 상당히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사회초년생이 바로 진입하기에는 높은 진입장벽과 업무 적응의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3. 건축감리사 필요조건

    건축감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건축 분야 경력수첩 고급(65점 이상)을 갖춰야 합니다.

    해당 점수는 학위, 자격증, 경력, 교육을 통해 점수를 획득해야 하고
    다음과 같은 점수가 부여됩니다.

    • 관련 학위: 비전공10점 ~ 4년제 20점
    • 자격증: 기능사15점, 산업기사20점, 기사 및 기능장 30점, 기술사 40점
    • 경력: 2년 7.5점~ 5년17.45점
    • 교육: 건설정책 역량강화 1점 ~ 그외 2점
      점수의 총합이 65점을 넘으면 경력수첩 고급 자격이 주어집니다.
      학위가 없거나 자격증이 없는 경우 준비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진입 전 충분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4. 연봉

    • 초급 건축감리사: 초봉 약 4천만 원
    • 중급 건축감리사: 연봉 약 6천만 원대
    • 추가 수당: 유류비(최대 월 80만 원), 주말 출근 수당

    경력이 쌓이고 전문성이 인정되면 더 높은 연봉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초봉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연봉 상승 폭은 크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국내 대기업 초봉과 비교했을때 30대 남자 평균 4,778만원 여자 평균 4,359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의 초봉을 받습니다.

    5. 건축감리사 현실과 문제점

    현직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건축감리사는 다소 높은 진입장벽과 업무 적응의 어려움을 가진 직업입니다. 사회초년생은 경험 부족으로 기술적 지적이나 현장 업무 수행에서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건축감리사 부족 문제와 미숙련 인력의 투입이 건설 현장에서 지적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는 국내 건설사가 시공했으며, 당시 공사인력 3명당 감리사1명이 배치되었다고 합니다.

    반면 국내 롯데월드타워 현장은 공사 인력 10명당 감리 1명만이 배치되었고,
    이순신대교 현장은 공사인력 23명당 감리 1명이 배치되었습니다.

    ‘건물안전의 최종 보루’라 불리는 감리사의 현장 인력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과거 취업활성화를 위해 신입사원 채용시 점수를 더 주게 되면서 감리회사에서 갓 대학을 졸업한 신입사원을 채용하게된 사례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업무 처리는 하지 못하고 프로젝트에 이름만 올리는 형식적인 참여였다고 합니다.

    6. 경쟁력


    건축감리사는 전문성과 경력을 갖추면 장기적으로 높은 연봉을 유지하며 일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특히 경력을 쌓은 후 감리전문회사(약 200개)나 대형 엔지니어링사로 이직 시 우대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건축업계 특성상 경력이 쌓일수록 인정을 받는 구조이고, 이는 다른 직업과 비교해 장기적인 직업 안정성과 경쟁력을 갖춘 직종임을 보여줍니다.

    7. Comment

    건축감리사는 건설 현장의 안전과 품질을 책임지는 핵심 전문가로, 경력을 쌓는 데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높은 안정성과 사회적 필요성이 있는 직업입니다.

    높은 진입장벽과 현장 근무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고려하더라도,
    건축 감리사의 인력 충원의 필요성, 그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장기적으로는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한 직업입니다.

    >> 금융지식 한눈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