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채 30년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d 채권 투자 기록

한국 국채 30년물 투자 기록.

국채30년물 ETF

국고채30년ETF는 4가지 정도 확인했고, 그중 저는 kb자산운용사 rise를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는?

  •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d
  • sol 국고채30년액티브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d를 제외한 나머지는 액티브형입니다.

액티브, 패시브, Enhanced 정리한 글을 보고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액티브,enhanced 전략
>>바로가기

제가 최종적으로 RISE를 선택하게된 순서를 말씀드릴게요.

우선 액티브형인 SOL, KODEX, TIGER 중 1개를 선정했습니다.

SOL은 상장한지 1년 미만, 순자산도 100억대여서 제외.

TIGER는 수수료 0.18%로 액티브 3개 중에서 가장 높은 수수료율이라 제외(운용규모도 중간수준)했습니다.

제 기준으로 액티브형 중에서 KODEX가 운용규모도 크고, 수수료도 적정수준이라 판단했습니다.

자 그럼 액티브 전략인 kodex가 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봅니다.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액티브 전략임에도 Enhanced 전략인 RISE보다 수익률이 낮았다는점에서 굳이 액티브펀드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비교표를 보면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한국 국채 30년물 ETF 비교표

한국 국채 30년물

최종적으로 운용기간도 길고, 수수료도 낮고, 거래량, 순자산총액 모두 만족스러운것은 RISE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액티브펀드는 운용수수료가 패시브펀드보다 높은데

의외로 수수료율은 KODEX(0.0862%)와 RISE(0.0855%) 별차이가 없습니다.

수수료는 운용사에따라 상시 변하기때문에 참고만합니다.

RISE vs KODEX 수수료

RISE KIS국고채30년Enganced 수수료율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수수료율
24. 4월 0.0858%24. 4월 0.0818%
24.10월 0.0855%24. 10월 0.0862%

4월 확인했던 수수료율보다 rise는 내렸고, kodex는 올랐습니다. 둘다 큰차이없지만 상대적으로 액티브형이 수수료가 오를 확률이 높다고생각됩니다.

자 이제 국고채30년물 etf는 rise로 정했으니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에 대해 좀더 살펴보겠습니다.

개요 한국 국채

  • ETF : RISE KIS국고채30년Enhanced
  • 운용사: KB자산운용
  • 상장일: 2021. 5. 26.
  • 기초지수: KIS 국고채30년 Enhanced 지수
  • 순자산총액 : 3,760억 원
  • 총 수수료: 0.0855%
  • 60일 평균 거래량: 43,527주

채권 금리 현황

24.10.25.기준금리 현황
국고 3년2.882%
국고 5년2.936%
국고 10년3.050%
국고 30년2.912%

수익 및 배당

기준일 24.10.25.기간별 수익률
3개월2.44%
6개월17%
1년37.82%
3년-3.15%
  • 연간 배당률 3.76%
  • 최근 배당내역 24.9.6. 1,350원

주가 전망 한국 국채

채권 가격은 금리와 연관이 있습니다. 국내 금리가 3.5%에서 이번달 드디어 인하를 시작했는데요. 미국에서 남은 두차례 금리 인하를 하게되면 국내 기준금리 인하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시장 분위기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찾아보면 여전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 상황입니다.

금리는 소비와도 연관이 많습니다. 금리 인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물가상승률이죠.

현재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있어, 금리 역시 낮아질것으로 예상됩니다.

물가상승률이 낮아질때 채권에 투자하는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채권 수익률을 보면, 미국도 그렇고 한국 국채 수익률이 떨어졌는데 앞으로 금리가 또 인하 된다면

채권 금리도 하락하면서 채권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미국은 대선을 앞두고 누가 당선되든 재정지출이 늘어나고, 국채 발행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채권투자의 대가들 역시 채권에 투자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분석들이 나오다보니 한국 국채에 투자하는게 망설여지기도 했는데요. 과거 차트를 비교해보니 미국과 국내 채권 수익률은 꼭 같이 움직이지는 않았습니다.

미국채 단기, 중기, 장기 채권 특징! 선택은?

  • 중기채권 IEF 투자기록 바로가기

월배당전략! 장기채, 레버리지 TLT TMF TLTW 비교

채권 vs 주식 나에게 맞는 투자전략은?

ETF 세금 이야기 > 바로가기

미국국채 금리 가격 변화 그 이유는? (최신) IEF 투자 기록

미국국채 금리 변화를 확인하고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미국국채 금리 현황

2년물10년물20년물
2023. 10. 23.5.12%4.96%5.29%
2024. 9. 24. 3.56%3.79%4.19%
2024. 10. 24.4.05%4.21%4.56%

기준금리와 채권의 관계

미국 기준 금리는 오랜 기간 0.25%를 유지했습니다.

22년 3월부터 0.5%를 시작으로 연속적으로 올리기 시작했고, 23년 7월 5.5%를 유지해왔습니다.

그리고 지난달 24.9. 첫 금리 인하를 시작했습니다. 현재도 5%로 높은 금리이긴 하지만, 23년 하반기부터 금리 인하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당히 높았고,

그 기대감이 이미 시장에선 반영돼 채권 가격이 올랐었습니다.

  • 기준금리 ↑ = 채권 가격 ↓
  • 기준금리 ↓ = 채권 가격 ↑

*현재 기준금리 바로가기
*현재 미국 국채 금리 바로가기

국채 금리 상승 이유?

근데 막상 금리 인하를 시작했는데도, 채권 가격은 하락했는데요.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 내려가고, 기준금리가 낮으면 채권 가격은 오르는것이 일반적인 시장의 반응인데,

앞으로 금리는 내려간다는 기대를 하고있는데도 채권 가격이 떨어진 것은 왜 그런 걸까요?

  • 미 연준에서 금리 인하 속도에 선을 그었습니다. = “금리 인하는 상황을 보면서 천천히 하겠다”
  • 현재 대선을 앞둔 상황인데, 트럼프의 당선 확률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 트럼프는 대규모 감세를 예고했는데 이러한 점은 국채투자에 매력이 떨어집니다.
  • 미국 재정적자, 정부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채권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세

기준 금리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2년, 30년 만기 국채 금리가 53bp, 44bp 올랐고, 채권 금리가 올랐다는 건 가격이 그만큼 떨어졌다는 뜻입니다.

미국국채 전망

최근 월가의 투자 대가들 역시 국채 하락에 베팅한다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유력한 당선 후보는 트럼프이고, 미국 국채를 공매도 하고있다” -스탠리 드러켄밀러-
“11월 대선에서 누가 승리하든 채권자산은 피할 것이고 특히 장기 국채에는 투자하지 않을 것이다” -존스 튜더 인베스트 설립자-

(드러켄밀러는 포트폴리오의 약 17%를 미국 국채 하락에 베팅)

과거 사례

2016년 트럼프가 당선되고 미국 국채 금리가 한 달 만에 0.76% 상승했었습니다.

(채권에 투자했다면 급락으로 손실을 봤겠네요)

당시 트럼프는 1조 달러 규모의 투자와 대규모 재정 지출 공약을 했는데

결국 그 돈은 국채 발행을 증가시켜 국채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예상한 결과입니다.

정리

기준 금리 인하는 시작되었지만, 금리 인하가 곧 채권 가격의 상승을 보여주진 않았습니다.

시장은 기대감으로 움직인다는 게 맞는 말이네요. 이 말은 즉, 미리 움직인다는 의미 같습니다.

11월 미국 대선 결과가 궁금하긴 하지만, 누가 되든 미국 채권 가격이 크게 오를만한 이슈는 현재 찾지 못했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되면 높은 확률로 채권 금리가 오를 것이고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당선될 것이란 예상만으로 채권 가격이 떨어짐)

해리스가 당선되더라도 미국 재정 지출 증가는 피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저는 미국 중기채권 IEF에 투자하고 있는데요. 전망이 좋지 않은데도 투자했던 이유는 이미 채권 가격이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IEF의 현재가는 95.16달러이고 저는 매입가 $94.14입니다.

[(24.11.5. 내용 추가) 채권 금리 상승 미국채 10Y 4.315%.
IEF $94.34에 매도했습니다. ← 영국, 프랑스에서 재정적자로 증세 결정을 내렸고, 공공투자를위해 국채발행을 합니다.

과거 지표로 봤을때 채권금리가 영국보다 미국이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현재 영국 4.5% 미국 4.3%정도로 역전되어있는 상황이고,

조만간 미국 채권 금리(10년물)가 오를 확률이 큽니다.

IEF는 수익없이 본전으로 정리했고, 추후 매수할 계획입니다. ]

[(24.11.6. 내용추가) 미국대선 개표중입니다.

현재 트럼프가 앞서고있는 상황인데 원달러환율 1390원. 미국채20년물TLT -2.62% $90.29,
도지코인 288 (21%상승),

국내개별주식 2차전기 관련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6% LG엔솔 -3.93%, 한국국채30년etf -1.27%
코스피200은 0.1%상승]

앞으로 채권 가격이 어떻게 변할지, 최신 동향을 살펴보면서 이 글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이것만 봐도 금리, 이슈에 따라 채권 가격이 움직이는 걸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할 예정입니다.

미국채권

미국채 단기,중기,장기채권 장단점 비교

채권ETF vs 주식ETF 투자자의 선택은?

ETF 단점 핵심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