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은 몇살일까요?
청년의 기준은 청년기본법상, 그리고 제도상 기준이 약간 다른데요.
오늘은 청년 나이 기준을 핵심 정리해보겠습니다.

1. 「청년기본법」 기준 (가장 일반적)
- 법령명: 청년기본법 제3조(정의)
- 청년의 정의:
👉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사람 - 해당 연령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 수립 및 시행 시 적용되는 기본 연령 기준입니다.
📌 주의: ‘만 나이’ 기준입니다.
2. 고용 및 취업 제도별 청년 기준
제도명 | 청년 기준 | 설명 |
---|---|---|
청년내일채움공제 | 만 15세 ~ 34세 | 고용노동부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만 15세 ~ 34세 | 중소기업 취업자 대상 |
청년추가고용장려금 | 만 15세 ~ 34세 | 기업에 인센티브 지급 |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만 19세 ~ 34세 (또는 만 18세부터 가능) | 소득요건도 함께 고려됨 |
✅ 대부분의 청년고용·금융 정책은 34세 이하를 상한선으로 둡니다.
3. 지자체별 청년 기준 (지방정부 재량)
지자체에 따라 청년 연령 기준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 서울특별시: 만 19세 ~ 39세 (청년수당 등 일부 사업)
- 경기도: 만 18세 ~ 34세
- 부산시: 만 18세 ~ 34세
📌 따라서 거주지에 따라 적용되는 청년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4. 통계청 기준 (청년층 고용 통계 등)
- 만 15세 ~ 29세: 청년층(Youth)
👉 통계 분석용 연령 구분이며, 공식 정책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음.
정리: 청년 기준 비교표
기준/제도 | 연령 범위 | 비고 |
---|---|---|
청년기본법 | 만 19세 ~ 34세 | 국가청년정책의 기본 기준 |
고용·금융 정책 | 만 15세 ~ 34세 | 청년 채용, 금융지원, 창업 등 |
일부 지자체 정책 | 최대 만 39세까지도 허용 | 청년수당 등 지자체 사업 |
통계청(청년층) | 만 15세 ~ 29세 | 고용·실업 통계 분석용 |
결론
- **법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청년의 기준은 만 19세 ~ 34세 (청년기본법 기준)**입니다.
- 하지만 청년정책의 목적과 제도에 따라 15세~39세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어떤 제도에서 청년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