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산업군 및 보도자료 확인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선정 방법부터 종목 리스트 확인!

해당 지수는 기업의 매출 성장률, 투자 효율성, 고용 창출, 혁신력 등을 평가해 기업의 경쟁력을 수치화 한 지수입니다.
지난 24일 밸류업지수의 구성 종목과 선정 기준이 발표되었고, 곧 실시간 지수가 공개되는데요.
30일 공개되는 실시간 지수를 확인하기전에 종목 선정 기준을 간단히 살펴보고, 어떤 기업이 포함되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지수 개요

  • 명칭: 코리아밸류업 지수 Korea Value-up Index
  • 기준시점” 24. 1. 2.
  • 구성종목: 100종목
  • 정기 변경: 매년 6월로 연1회
  • 방식: 유동시가총액가중방식
  • 비중상한: 개별종목 비중 15%로 제한

2. 선정 기준

시가총액 + 수익성 + 주주환원 + 시장평가 + 자본 효율성 = 기업가치 창출.

  • 시가총액은 상위 400위 이내,
  • 최근 2년 연속 적자이거나 2년 합산 손익 적자 제외,
  • 최근 2년 연속 배당을 줬거나 자사주 소각을 실시한 경우,
  • PBR 순위가 전체 또는 산업군 내 50% 이내,
  • 위 4가지를 충족한 기업 중 ROE 순위 비율이 우수한 기업 100개를 선정.

3. 산업군 비중

한국 경제 산업구조를 고려해 전체 산업군을 고르게 편입되어있습니다.

정보기술 24종목, 산업재 20종목, 헬스케어 12종목을 필두로 자유소비재, 금융, 에너지등 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 종목 산업별 비중 그래프
코리아 밸류업 지수 산업별 비중

4.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리스트

4-1 정보기술 :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DX, 한미반도체, LG이노텍, HPSP, 리노공업, DB하이텍, 이수페타시스, LX세미콘, 주성엔지니어링, 티씨케이, 파크시스템스, 심텍, 하나머티리얼즈, 해성디에스, 드림텍, 두산테스나, 원익QnC, 비에이치, 넥스틴, 이녹스첨단소재, 피에스케이, 코미코

4-2 산업재 :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HMM,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한항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글로비스, 두산밥캣, 한국항공우주, 한진칼, HD현대일렉트릭, 팬오션, LIG넥스원, 에스원, HD현대인프라코어, 현대엘리베이,한전KPS, 에스에프에이, 에코프로에이치엔, 윤성에프앤씨, 경동나비엔, NICE평가정보

4-3 헬스케어 : 코리아 밸류업 지수 종목

셀트리온, 한미약품, 클래시스, 케어젠, 메디톡스, 텐티움, 종근당, 파마리서치, 씨젠,JW중외제약, 동국제약, 엘앤씨바이오

4-4 자유소비재

현대차, 기아, F&F, 코웨이, 휠라홀딩스, 에스엘, 한세실업, 메가스터디교육, 골프존, 케이카, 쿠쿠홈시스.

4-5 금융/부동산

신한지주, 삼성화재, 메리츠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DB손해보험, 미래에셋증권, 한국금융지주, 현대해상, 키움증권, 다우데이타

4-5 소재

고려아연, 한솔케미칼,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효성첨단소재, 나노신소재, 효성티앤씨, 동원시스템즈, TKG휴켐스.

4-6 필수소비재

KT&G, 오리온, BGF리테일, 동서, 오뚜기, 삼양식품, 롯데칠성, 콜마비앤에이치

4-7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엔씨소프트, JYP Ent, 에스엠, 제일기획, SO OP.

4-8 에너지

S-oil

 

더 보기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 종목 산업군 및 보도자료 확인”

밸류업 뜻 경제용어 정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지수 요약 정리

밸류업 프로그램
밸류업

1.value up 뜻

밸류업 (Value Up)은 기업이나 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과정을 뜻합니다.

Value : 가치, 소중하게 여기다, (가치, 가격을) 평가하다.

기업에서는 경영 개선, 기술 혁신, 마케팅 전략 등을 활용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 노력하는데요. 최근 나이키 실적 하락으로 ceo가 교체되었는데 이 또한 밸류업을 통해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입니다.

밸류업과 관련된 몇 가지 용어들을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2. 기업밸류업 프로그램

기업 밸류업프로그램이란? 정부와 유관기관이 함께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국내 주식시장은 양적 성장을 이뤄왔음에도 저평가받고있는 상황인데요. 이것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합니다.
이를 극복하고 발전하기 위해 지원 방안을 마련한 것입니다.

주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상장기업의 자율적 재무지표 선정
  •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 공시, 이행.
  • 한국거래소에 전담 부서 설치, 지원체계 구축.

3. 밸류업지수

밸류업지수는 (Value Up Index) 기업 가치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얼마나 효과적으로 가치를 증대하는지 알 수 있는 평가 자료로 볼 수 있죠. 이 지표를 통해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요소까지 고려해 기업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3-1. 밸류업 지수 산출 방법

밸류업 지수는 여러요소를 종합해 산출합니다.

재무 지표(매출 성장률, 순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ROE 등)
+ 시장 반응(주가 변동률, 시장 정유율)
+ 혁신 지표(R&D 투자, 신제품 출시 개수)
+ 운영 효율(원가 절감 비율, 생산성 지표) 등
이러한 지표를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 점수를 매기고 종합 점수로 최종 밸류업 지수를 산출하게 됩니다.

3-2. 밸류업 지수 활용

  • 밸류업지수는 다양한 측면으로 기업 가치를 측정하는 분석 자료로 활용됩니다.
  • 투자자에게는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판단하고 투자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업 스스로 밸류업 지수를 분석하여, 개선 사항이나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전략을 세울수 있게 도와줍니다.
  • 동일 산업 내에서 기업간의 상대적 비교가 가능합니다. 기업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활용 할 수 있습니다.
  • ESG 성과와 관련된 지표가 포함되어 있어,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 평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4. 정리

오늘은 밸류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기업의 경쟁력은 단순히 수익, 매출 증가를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과 고객 가치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밸류업”은 기업이 자산 가치를 극대화하고,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요.
밸류업은 기업의 미래를 밝히고 동시에 국가의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참고로 9월 30일에 실시간으로 밸류업 지수가 공개되는데요.

밸류업 지수 산출 이후 관련 ETF 상장 심사가 돌입되어 11월 초에 관련 펀드들이 상장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수선물 역시 11월 4일 상장 예정으로 발표되었고요. 이번 지수에 포함된 100종목은 국가에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우량주들이 포함되어 있고, 해당 기업 보유 주주들은 배당소득세 감면 혜택이 있어 국내 주식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