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미국나스닥100TR 정말 QQQ와 똑같을까?

KODEX 미국나스닥100TR

지난번 미국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4개를 비교했었습니다.

운용 규모와 수수료, 거래량 등을 고려했을 때 제가 선택한 ETF가 KODEX 미국나스닥100TR인데요.

관련글 >> 미국나스닥100 ETF 비교 click

오늘은 해당 ETF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미국 상장 QQQ와 비교해보면서 그 장단점을 파악해보겠습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21. 4. 9.
순자산16,522억 원
투자종목수102종목
수수료0.1729%
현재가20,760원
  • TR이란?

Total Returm 분배금을 재투자하는 상품

미국 나스닥100ETF의 연간 배당률은 약 0.52%입니다. TR은 연간 0.52% 분배금을 재투자하는셈입니다.

구성종목

KODEX 미국나스닥100TR

구성 종목 자세히보기 click!

▷QQQ와 비교

인덱스펀드는 기초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추적하며, 투자 종목과 비중 거의 동일합니다.

KODXE (TR)QQQ
구성종목수102102
상위 10개 비중52.72%52.66%
  • 섹터별 투자 비중

IT 48.36%
통신서비스 16.5%
경기소비재 15.33%
필수소비재 5.43%
헬스케어 5.14%
산업재 4.3% 등

구성 종목별 투자 비율에 약간 오차가 존재할 뿐 동일한 종목에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수익률

KODEX 미국나스닥100TR
1개월5.28%
3개월20.66%
6개월15.69%
YTD43.07%
1년44.62%
3년17.75%

세부내용

QQQ는 미국상장 ETF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대형ETF로 인기많고 유동성이 풍부합니다.

국내 투자자의 경우 QQQ를 매수하기 위해서는 해외증권계좌를 개설하고,

환전을 해야하는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해외직투를 하지 않는 투자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국내 주식거래 계좌만 있다면 한국판QQQ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KODEX 미국나스닥100TR입니다.

앞서 확인 것과 같이 동일한 투자 전략의 상품으로 어디에 투자하나

나스닥100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추적합니다.

게다가 국내상장ETF의 가장 큰 장점은

세제혜택이 있는 연금계좌나 ISA계좌를 활용해 투자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금과 관련해 정리된 내용을 보고 오시면 도움이 됩니다.

>>> ETF 세금 국내etf VS 해외etf

간단히 이야기하면

국내상장 : 증권거래 비과세 / 매매차익 15.4%부과

미국상장: 증권거래 0.00278% / 매매차익 22%부과(250만원까지 공제)

정리

국내상장 미국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QQQ와 동일한 투자전략입니다.

제가 직접 비교해본 결과 가장 합리적인 상품으로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선택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전 글을 참고하세요. >>바로가기

KODEX 미국나스닥100TR은 분배금을 재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참고로 분배금을 재투자하는게 싫다면 TIGER 미국나스닥100을 고려해보세요.

KODEX 미국나스닥100TR은 해외 직투를 하지않고,

연금계좌를 활용해 장기투자 목적으로 적합합니다.

장기투자시 ETF의 수수료가 낮은게 성과에 유리한데,

KODEX(TR)은 미국 상장 QQQ보다 오히려 수수료가 낮습니다. (24.12.기준)

  • 총부담 수수료: QQQ 0.2% / KODEX(TR) 0.1729%

>>인덱스펀드, 액티브, 패시브 전략이란?

미국상장 나스닥100 QQQ vs QQQM

자산운용사 정리, 브랜드따라 고르는 ETF 종류 수수료 비교 확인

국내 자산운용사 중 대표적인 4곳을 골라본다면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있습니다. 자산운용사는 다양한 상장지수펀드를 상장시키고,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데요.

각 운용사의 상장지수펀드(ETF) 를 찾아보고 운용 규모와 수수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자산운용사 개요

  • 삼성자산운용은 삼성그룹의 자산운용 계열사입니다. 국내 가장 큰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데요. ETF 브랜드인 KODEX는 국내,국외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글로벌 투자 전략에 강점을 갖고있습니다.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글로벌 자산운용사로 강력한 입지와 브랜드파워를 갖고있습니다. TIGER는 국내상장 ETF 브랜드입니다. 국내외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KB자산운용은 KB금융그룹의 계열사 입니다. RISE 브랜드로 KB타이틀이 친근하게 다가오는데요. 고객의 투자 목표에 맞춘 ETF를 출시하고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로 안정적인 투자 관리를 지향하는 운용사입니다.
  •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국내 시장에서 오랜 역사를 갖고있는 한국금융그룹의 계열사입니다. 1980년 설립되었는데요. 국내, 국외 주식과 채권에 포괄적으로 투자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ETF 브랜드명은 ACE입니다.

    2.  자산운용사별 ETF

  • 삼성자산운용: KODEX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은 양도성예금증서 금리 지수를 비교지수로합니다. 순자산총액 91,306억 원으로 국내 상장ETF 882종목중 시총 1위입니다. 상장일이 23년 6월인데 엄청난 자금이 유입된것을 알 수 있는데요.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파킹형 통장의 ETF버전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1년에 약 3.68%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가입 기간이 따로없어 주식처럼 언제든지 매수, 매도 할 수 있습니다. 총보수율은 0.0419%입니다. 이는 파킹형 ETF의 평균 수수료율 0.0747%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입니다. 위에 언급했던 코덱스와 마찬가지로 파킹형ETF입니다. 국내 ETF 시총2위로 단기자금 운용에 좋은 상장지수펀드입니다. 투자자가 부담하는 총부담비용률은 0.0562%입니다.

  • KB자산운용: RISE

KB자산운용사는 기존 KBSTAR에서 RISE로 브랜드를 변경했습니다.(24.7.) ETF의 시장이 치열해지면서 KB자산운용의 시장 점유율이 낮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리브랜딩으로 도약할수 있을지 지켜봐야겠네요. RISE CD금리액티브(합성)은 24.3. 상장해고 시퐁 4,526억입니다. 이는 전체 882개 ETF중 75위입니다. 수수료율 0.03%로 낮은 수수료가 장점입니다.

  •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한국투자신탁운용사에서 가장 큰 시총의 ETF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입니다. 23.3월 상장했고, 안정적 투자 자산군인 채권형ETF입니다.  시총 16,068억 원이고 총 수수료 0.183%입니다. 채권형 ETF의 평균 수수료율 0.1779%인걸 감안하면 다소 높은 수수료를 부담해야합니다.

3. 상세 비교

주식형 ETF중에서도 모든 자산운용사 에서 운용하고있는 섹터를 선정해 그 운용규모와 수수료, 수익률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특정된 하나를 비교한것이니 참고만하세요.

  • 유형: 주식형ETF
  • 기초지수: 미국나스닥100 [NASDAQ-100지수를 추종하고 투자 종목수 100여개로 동일]

KODEX  미국나스닥100TR : 순자산총액 11,432억 (30위/882) 수수료율 0.2648%  올해 수일률(YTD) 15.95% 

TIGER 미국나스닥100: 순자산총액 35,662억 (7위) 수수료율 0.2046%  올해 수일률(YTD) 15.79% 

RISE 미국나스닥100: 순자산총액 6,469억 (54위) 수수료율 0.1705%  올해 수일률(YTD) % 15.79%

ACE 미국나스닥100: 순자산총액 9,892억 (37위) 수수료율 0.1886%  올해 수일률(YTD) 15.81% 

  • 순위 정리: 시총이 가장큰 ETF는 TIGER 미국나스닥100, 수수료가 가장 낮은건 RISE미국나스닥100입니다. 모두 인덱스 펀드로 같은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투자 종목수 비중이 비슷합니다. 그 결과 수익률에서 큰차이가 없습니다. 참고로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나스닥TR에서 TR은 토탈리턴으로 배당을 재투자하는 ETF입니다. 배당 재투자를 통해 복리투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해당 ETF 수익률 역시 다소 높은 수수료율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이 높은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배금 재투자란? TR의 뜻

나스닥100 미국상장 ETF QQQ

인덱스 펀드에 대한 이야기:인덱스 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