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대응단계 사례 만을 모아봤습니다.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발령될까요? 뉴스에서 본 주요 사례를 통해 각 단계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면 이해가 훨씬 쉬워집니다.

1단계 발령 사례 (광역 1호)
- 2024.04. 평창 LPG 충전소 연쇄 폭발
- 야간 시간대 충전소 폭발 사고 발생
- 다행히 신속 대응으로 인명피해 없음, 대응 1단계로 초진
- 2025.03.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 군사 훈련 중 폭탄 낙하,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선제적으로 대응 1단계 발령
- 2024.06.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 활주로 착륙 후 기내 연기, 대응 1단계로 승객 대피 완료
2단계 발령 사례 (광역 2호)
- 2022.09. 대전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화재
- 새벽 시간 화재로 다수 사망자 발생
- 초기 대응 1단계 → 확대 발령
- 2023.08. 새만금 세계 잼버리 온열환자 대규모 이송
- 폭염으로 수백 명 이송 필요, 구조차 대거 투입
- 폭발·화재 아님에도 2단계 발령 사례
- 2025.05. 이천 물류센터 대형 화재
- 인명 피해 우려로 발생 15분 만에 2단계 격상
3단계 발령 사례 (광역 3호)
- 2023.03. 대전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 연쇄 폭발 발생, 대규모 화염과 유독가스 발생
- 대응 3단계로 전국 소방력 일부 동원
- 2022.03. 강원·경북 동시 산불
- 산불 피해면적 2,000ha 이상, 1,300여 명 동원
- 특별재난지역 선포
- 2022.10. 서울 이태원 참사
- 인파 압사 사고로 구조 요청 폭증, 대응 3단계 발령
이 사례들을 보면?
- 1단계는 소규모 화재나 지역 사고에 자주 활용
- 2단계는 다중이용시설, 예기치 못한 집단 구조 상황에 사용
- 3단계는 국가적 재난, 다수 사망자 발생 사고에 발령
소방 대응단계 사례 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