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ETF 분석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ETF 분석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 잔존만기 10년 국고채 집중투자 전략

1. 개요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ETF는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장기 국채 투자 상품으로,

잔존 만기 10년 국고채에 집중 투자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14일에 상장되었으며,
25.3.7.기준 순자산총액은 약 3,726억 원입니다.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비교지수: KAP 국고채10년 지수(TR)
  • 총보수: 0.0381%
  • 현재가: 113,460원

해당 ETF는 대한민국 정부가 원리금을 보장하는 국고채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국내 대표적인 장기 채권 ETF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2. 특징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ETF는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개인형 퇴직연금(IRP), 연금저축 계좌를 통해 투자할 수 있어 장기적인 연금 운용에 적합합니다.

또한, 분배금을 별도로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TR, Total Return) 방식을 채택하여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따릅니다.

이부분은 수익률에서 한번 더 다루도록 할게요.(TR이라고 꼭 더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진 않습니다)

이 ETF는 액티브형으로 단순한 시장 지수 추종이 아닌, 비교지수 대비 초과 성과를 목표로 운용됩니다.

비교지수인 KAP 국고채10년 지수(TR)는 만기 10년 국고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리 변동에 따라 ETF 가격이 영향을 받습니다.

3. 구성 종목

만기가 10년에 가까운 국고채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주요 편입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고채권03500-3406(24-5): 43.70%
  • 국고채권03000-3412(24-13): 42.93%
  • 국고채권04125-3312(23-11): 8.71%
  • 원화현금: 4.64%

각 채권의 명칭에서 표면이자율(쿠폰 금리)과 만기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고채권03500-3406(24-5)의 경우,

  • 3.500% 표면금리
  • 만기: 2034년 6월
  • 상장일: 2024년 5월을 의미합니다.

4. 수익률 비교

본 ETF는 비교지수를 초과하는 성과를 목표로 하지만, 경쟁 상품들과의 성과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ETF 수익률
    • 1개월: 0.45%
    • 3개월: -0.13%
    • 연초 대비(YTD): 1.75%
    • 1년: 7.52%
    • 상장 이후: 13.37%

ACE 국고채10년 ETF, KIWOOM 국고채10년 ETF와 비교했을 때, 주가 수익률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ACE 및 KIWOOM 국고채10년 ETF는 연간 배당률이 각각 3.41%와 3.46%로, 주가 상승분과 배당 수익을 합산하면 최근 1년간 약 7.4%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방식이 복리 효과 면에서 유리해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ETF와의 총수익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합니다.

5. 시장 환경 및 투자 전략

국고채 10년 ETF는 금리 변동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기존 채권의 상대적인 매력이 증가하면서 ETF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25.3.7.기준 한국과 미국의 채권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고채 3년물: 2.568%
  • 국고채 10년물: 2.766%
  • 미국채 10년물: 4.2575%

만기가 길수록 금리 변동성에 대한 민감도가 커지므로,

금리 하락 국면에서 국고채 10년 ETF는 매력적인 투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DC, IRP, 연금저축 계좌를 활용한 장기 투자 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처럼 금리가 높은 시점에 매수한다면, 향후 금리 인하 시 기대 수익률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6. 결론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ETF는 안정적인 국고채 포트폴리오, 연금 투자 적합성, 비교지수 초과 수익 전략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다만, 경쟁 ETF들과의 성과 차이는 크지 않으며, 배당 재투자 방식이 반드시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금리 환경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JAAA ETF 배당 수익률, 월배당ETF 꼭 알아야 할 포인트

JAAA ETF

1. JAAA란?

JAAA ETF는 Janus Henderson에서 운용하는 ETF로,
AAA 등급의 CLO(대출채권담보부증권) 에 투자하는 액티브 운용 펀드입니다.

CLO란?
CLO(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는 은행의 대출채권을 담보로 발행한 유동화 증권으로 쉽게 말해, 여러 기업 대출을 묶어 투자 상품으로 만든 것입니다.

  • 상장일: 2020년 10월 16일
  • 순자산:205억 달러
  • 수수료: 0.21%
  • 현재가: $50.89
  • 기초지수: JP Morgan CLOIE AAA TR UD
  • 특징: 채권형etf, 개방형펀드, 액티브 운용전략, 합성
JAAA ETF

2. JAAA 포트폴리오

  1. ASSET-BACKED SECURITIES 8.11%
  2. CORPORATE BOND 1.64%
  3. OCP CLO 2021-23 AR 5.46288% 17-JAN-2037 1.32%
  4. Magnetite XXXIX AR 5.60211% 25-JAN-2037 1.29%
  5. Ares LIII CLO A1R 5.57664% 24-OCT-2036 1.27%
  6. Madison Park Funding XIV AR3 5.49009% 22-OCT-203 1.04%
  7. AGL Core CLO 2 A1R 5.75317% 20-JUL-2037 0.95%
  8. OCP CLO 2017-14 A1R 5.66317% 20-JUL-2037 0.93%
  9. Carlyle U.S. CLO 2021-10 A1R 5.60317% 20-JAN-2038 0.87%
  10. Madison Park Funding XXX A1R 5.66758% 16-JUL-2037 0.85%
  • AAA 등급 CLO 투자:
    • AAA 등급은 가장 높은 신용등급 채권으로, 원금과 이자가 우선적으로 지급
    • 신용도가 높은 담보대출증권에 투자하기 때문에 안정성 높음
  • 금리 상승에 유리:
    • JAAA ETF는 변동금리 채권을 포함하고 있어, 금리가 오르면 수익률도 함께 상승하는 구조
  • 분산 투자:
    • 특정 기업이나 산업에 집중되지 않고, 다양한 만기와 발행자를 포함한 분산 투자 구조

3. 수익률 & 배당

JAAA ETF는 주가 변동성이 낮지만,
꾸준한 월배당을 제공합니다.

최근 수익률

  • 1개월: +0.6%
  • 3개월: +1.68%
  • 1년: +7.18%
  • 3년 평균: +5.64%

배당 정보

  • 배당수익률: 6.36%
  • 1주당 배당금: $3.16
  • 배당 지급: 매월 지급
  • 1년 배당 성장률: +1.19%

연간 총수익률(주가상승+배당): 7.18%
배당(현금 수익) 기여도: 6.2%

4. 투자 시 유의할 점

  • 주가 변동성은 낮지만,
    시장 리스크는 존재
    • CLO는 기업대출을 기반으로 하므로, 시장 상황이 악화되면 영향을 받습니다.
  • 단기 시세차익에는 적합하지 않음
    • JAAA는 안정적인 배당 ETF로, 단기간 큰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금리 방향이 예상과 다를 경우 낮은 기대 수익률
    • 금리 상승기에는 유리하지만, 금리가 예상과 다르게 하락할 경우 기대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5. 투자 전략; 정리

안정적인 월배당을 목표로하는 투자자
금리 상승기에 유리한 투자 상품을 찾는 투자자
저위험 채권형 ETF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고 싶은 경우
하지만, 단기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라면 적합하지 않으며, CLO 시장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JAAA ETF는 안정적인 배당과 낮은 변동성을 갖춘 ETF이지만, 시장 리스크와 금리 환경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ETF 비교 선택! AvsB

>> 인플레이션대비 금투자 방법4가지

>> SPY, QQQ를 능가하는 강력한 ETF: DIVO

미국 초단기 채권 투자 적기?! SGOV 배당으로 연5% 어떨까?

미국 초단기 채권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 (SGOV)

미국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SGOV.

초단기 채권의 특징과 월배당 수익률 확인을 통해 투자 전략을 짜보겠습니다.

마땅히 투자처를 찾지 못했거나,
단기 자금운용을 계획하고 있다면
이 글을 통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으실수 있을겁니다.

미국 초단기 채권

1. 미국 초단기 채권 etf

SGOV(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는 블랙록에서 운용하며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만기 3개월 이하의 초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채권투자 그 중에서도 단기 채권은 안정적인 수익과 낮은 변동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고,
배당을 목적으로하는 투자자에게도 유용한 투자상품입니다.

티커SGOV
운용사 iShares (블랙록)
상장일2020. 5. 26.
기초지수ICE BofA 0-3M US Treasury Bill TR USD
AUM(순자산)$31,700.1M
(약 45조 원)
수수료0.09%
거래소뉴욕증권거래소(NYSE Arca)
현재가$100.54

2. SGOV 핵심

투자 대상

  • 만기 3개월 이하의 미국 국채에 투자합니다.
  • 초단기 국채로 원금 손실의 위험이 낮습니다.
  • 미국 정부가 발행한 국채로 신용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안정성

  • 1년 변동률 약 0.07%로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 초단기 국채에 투자함으로써 시장 금리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며, 꾸준한 배당 수익을 지급합니다.

효율성

  • 주식처럼 손쉽게 매수 및 매도가 가능하여 필요 시 자금을 신속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
  • 0.09%의 낮은 운용 보수로 장기 투자 시 비용 부담이 적습니다.
  • 매월 분배금을 지급받아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구축 할 수있습니다.

3. 수익률 및 분배금

수익률

  • 1개월: 0.4%
  • 3개월: 1.19%
  • YTD: 0.22%
  • 1년: 5.25%
  • 3년: 4.05%

분배율

  • 연간 배당률: 약 5.09%
  • 최근 배당 내역: $0.37 (월배당)

SGOV는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며,
연간 배당수익률은 5% 수준입니다.


현재 은행 예금 금리가 각종 우대금리를 포함해도 3.4%를 넘기 어려운 상황이라
연 배당률 5.09%는 아주 매력적인 수치입니다.

4. 미국 초단기 채권 특징

  • 미국 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부도 위험이 제로에 가깝습니다.
  • 채권 만기가 짧을 수록 시장 금리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 금리 변동에 대한 낮은 민감도는 금리 상승기에도 안정적인 투자처로 활용 가능합니다.

5. 투자 시 유의사항

환위험

  • SGOV는 미국 상장ETF로 달러로 거래하며,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발생합니다.

성과

  • 초단기 채권 ETF는 장기 채권 ETF보다 수익률이 낮습니다. (위험이 낮은만큼 기대 수익률도 낮음)
  • 채권 가격 상승을 통한 시세차익보다는 배당 수익에 초점을 둔 투자상품입니다.

6. 투자 전략, 정리

  • SGOV는 투자 포트폴리오 내 현금성 자산을 대체하거나 단기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려는 목적에 적합합니다.
  • 매월 지급되는 분배금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구축할 수 있고,
    이를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SGOV 초단기 국채 특성상 원금 손실 가능성이 적고, 낮은 운용 보수와 안정적인 배당 수익으로 매력을 더합니다.
  •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거나 금리 환경이 불확실한 시기에 특히 유용한 투자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종류별 ETF 비교표

>> 채권 ETF 모아보기

>> 어떤 ETF를 고를까? 비교분석

채권ETF vs 주식ETF 특징 비교, 나에게 맞는 펀드는?

채권ETF 주식ETF는 각각 다른 투자 전략과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주식형과 채권형의 차이를 설명해들리게요.
투자자에 따라 어느 걸 선택해야 할지 참고해보세요.

채권ETF 주식ETF 종류를 나열했고 배경은 세계지도.
채권ETF 주식ETF 종류

1. 채권ETF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발행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원금과 이자를 상환 받는 투자 상품입니다. 채권ETF는 국채, 회사채 등 다양한 채권을 모아 놓은 펀드인데요.
정부가 발행한 국채에 투자하는 ETF 외에도 기업이 발행한 채권, 지방정부가 발행한 지방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간별로 1~3년 만기인 단기채, 3~10년 만기 중기채, 만기 10년 이상인 장기 채권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1-1 채권ETF 종류

국채ETF : GOVT, VGLT
회사채ETF : JNK, LQD
지방채ETF : VTEB, MUB
단기채ETF : SHY, BSV
중기채ETF : IEF, BIV
장기채ETF : BLV, TLT

이 외에도 신용 등급이 낮은 고위험 채권을 포함한 하이일드 채권ETF가 있습니다.

1-2 채권ETF 특징

채권은 주식보다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되는데요. 일부 고위험 채권ETF를 제외하고 주식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을 정기적으로 배당해 매월 또는 분기별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채권ETF는 다양한 채권에 투자함으로써 개별 채권의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리스크가 적다는 것은 수익률도 낮을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금리 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데, 장기 채권일수록 그 변동성이 크게 발생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이자율이 낮아져 채권의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2. 주식ETF

주식ETF는 특정 지수나 주식들을 모아놓은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주식ETF는 특정 산업에 투자 하면서도 쉽게 분산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1주식ETF 종류

지수 추종 : SPY, QQQ
산업별 : XLC (기술섹터), XLX(금융), XLB(헬스케어)
지역, 국가별 : IEV(유럽), FXI(중국)
테마별 : ICLN(클린에너지), MAGS(마그니피센트7종목)
배당 : SCHD, VYM
성장 : IWF, CHIX
가치 : IWD, VTRIX

2-2 주식형특징

주식형 ETF는 다양한 산업과 섹터에 주식을 포함합니다. 투자자의 성향과 목표에 맞는 다양한 ETF들이 존재합니다. 1주를 매수하더라도 수백 개의 기업에 투자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거래 비용이 낮습니다. 개별주에 투자하는 만큼 기업 분석에 큰 힘을 쏟을 필요가 없습니다.
투자의 다양성과 접근성이 쉬운 반면, 주가 하락시 ETF의 가치도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개별 기업의 이슈에 따라 ETF의 주가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채권ETF에 비해 리스크가 큽니다.

 

3. 투자자의 선택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성향, 목표, 투자 기간 등에 따라 주식ETF나 채권ET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3-1 목표와 기간에 따른 선택지

투자 기간이 짧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한다면 채권ETF가 적합합니다. 만약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면서 장기 투자를 한다면 채권 중에서도 장기채권ETF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주식을 보유할 생각이고 높은 수익을 목표로 갖는다면, 주식ETF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주식형ETF는 단기적인 변동성에 노출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성과를 얻을 수 도 있습니다.

3-2 위험 감수

위험 회피형의 투자자는 변동을 싫어합니다. 원금 손실을 두려워하고, 큰 수익보다는 안정적인 것을 추구하죠. 이런 투자자는 채권ETF가 적합합니다. 정기적인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변동성도 낮기 때문입니다.

위험 감수형은 높은 수익을 추구합니다. 시장 변동 리스크는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인데요. 높은 수익율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ETF가 좋은 투자 상품이 될 수 있습니다. 주식형 중에서도 섹터별 기대수익률이 높은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채권ETF 와 주식ETF는 투자 목적과 전략에 따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높은 성장은 주식형, 안정적인 채권형, 이 두 가지를 적절히 비중 조절을 하며 투자하면 리스크는 줄이고 수익률은 높일 수 있는 분산투자가 가능하게 됩니다.


주식ETF 기술섹터 대표 : QQQ와 XLK 비교/ 월배당 JEPI 

채권ETF 리스크가 적은 단기채권 : BSV, SHY 비교

ETF닷컴 : 상장지수펀드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