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KOSPI) ETF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코스피(KOSPI) ETF 국내 대표지수인 코스피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추적하는 상장지수펀드를 의미합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수는 주권으로 929개, 기업으로 816개입니다.

[참고로,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은 1,654개]

코스피지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관련 ETF 종류와 특징들을 비교해 가며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ETF

코스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된 종목을 산출한 지수로 국내 경제지표 중 하나로 활용됩니다.

구성 종목을 살펴보면 (시총이 큰 순서)

  • 삼성전자 (시총 3,199,803억 원)
  • SK하이닉스 (1,156,068억 원)
  • LG에너지솔루션 (916,110억 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691,100억 원)
  • 현대차 (452,339억 원)
  • 셀트리온 (400,727억 원)
  • KB금융 (379.361억 원)
  • 삼성전자우 (375,236억 원)
  • 기아 (374,608억 원)
  • NAVER (322,419억 원)

코스피(KOSPI) ETF

KODEX코스피

24.12.2.기준KODEX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15.8.24.
순자산3,710억 원
수수료0.1729%
현재가-25,195원
  • 특징

운용 규모가 가장 크며,

투자 종목 수 742개로 코스피에 상장된 다수의 종목에 투자합니다.

규모로 봤을 때 대형주에 83%, 중형주 10.7% 소형주에 약 1.6%의 투자 비율을 보여줍니다.

KODEX코스피 TR

KODEX코스피TR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07.21.
순자산275억 원
수수료0.1151%
현재가12,270원
  • 특징

앞서본 삼성자산운용의 코스피 (TR) 상품입니다. 토탈리턴(Total Return)은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코덱스 코스피의 연간 분배율은 2.38%인데 해당 ETF는 분배금을 재투자하게 됩니다.

복리 투자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로 성과를 비교해보면 수익률은 오히려 TR이 뒤처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TIGER코스피

TIGER코스피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17.08.31.
순자산1,310억 원
수수료0.1832%
현재가25,400원
  • 특징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국내 ETF 시장을 선도하는 자산운용사입니다.

특히 미래에셋은 글로벌 투자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데요.

국내 상장 ETF의 운용 규모를 보면 상위 1~2위를 다투는게 TIGER와 KODEX입니다.

TIGER코스피의 구성종목은 총 810개로 코스피 상장된 모든 종목에 투자합니다.

여기서 소개한 etf 중 가장 많은 종목에 투자하며,

소형주 비중도 1.76%로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합니다.

ACE코스피

ACE코스피
운용사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18.10.05.
순자산64억 원
수수료0.0898%
현재가25,445원
  • 특징

아주 낮은 수수료율(0.0898%)이 장점입니다.

18년도에 상장해 운용 기간이 7년 차에 접어들었는데도 순자산총액 64억 원으로 솔직히 투자하기에 망설여지는 규모입니다.

국내상장 ETF는 상장폐지 관리대상 기준을 50억 미만으로 보기 때문에

ACE코스피ETF의 순자산총액은 64억으로 상장폐지와 유동성확보의 불안감이 있습니다.

TIMEFOLIO 코스피액티브

TIMEFOLIO코스피액티브
운용사타임폴리오자산운용
상장일21.05.25.
순자산393억 원
수수료1.1599%
현재가8,750원
  • 특징

코스피ETF 액티브형입니다.

액티브형은 전문가(펀드매니저)가 시장의 흐름에 적극 대응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시장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지만 높은 수수료율과 전문가의 역량이 펀드 성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 됩니다.

투자 종목 수 31개로 가장 적으며, 대형주의 비중이 94%를 차지합니다.

수익률을 비교해봐도 4%이상의 초과 수익, 2% 정도의 초과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PLUS코스피

PLUS코스피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15.9.23.
순자산63억 원
수수료0.2562%
현재가25,380원
  • 특징

PLUS코스피의 구성종목은 총 756개입니다.

상위 10개 비중이 42.2%로 앞서본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액티브 etf를 제외하면

약간의 투자 비중 차이만 있을뿐 동일한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습니다.

PLUS코스피 TR

PLUS코스피TR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19.06.25.
순자산1,398억 원
수수료0.2039%
현재가13,330
  • 특징

한화자산운용에도 삼성자산운용과 마찬가지로 코스피와 코스피TR이 있습니다.

PLUS코스피의 연간 배당률은 2.36%이고, 최근 10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습니다.

TR의 경우 이걸 그대로 재투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전체 기간에 걸쳐 TR상품이 하락방어(0.79% 차이), 약간의 높은 수익률(0.38%)을 나타냈습니다.

RISE코스피

RISE코스피
운용사KB자산운용
상장일18.07.24.
순자산1,022억 원
수수료0.1746%
현재가13,330원
  • 특징

운용규모, 수수료, 투자 종목 등 그냥 적정한 수준입니다.

KB자산운용은 기존 ETF브랜드명이었던 KBSTAR에서 리뉴얼을 통해 RISE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a

코스닥150 ETF 어떤게 좋을까?

미국시장 이해하기: 대표지수 핵심

ETF 비교 A vs B

코스피200 ETF 비교

반도체 SOXX vs SMH

SPY vs VOO vs IVV vs SPLG

금ETF 5개 GLD, GLDM etc

코스피(KOSPI) ,코스피200 ETF의 차이점은?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정의와 차이점,

대표할만한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뜻합니다. 코스피 또는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불립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총 839개입니다.

코스피200

코스피200 : Korea Stock Price Index 200

코스피200지수는 해당 지수 옵션거래를 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지수입니다.

코스피에 포함된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200개 선정한 것입니다.

종목의 업종 대표성, 유동성 등의 기준을 반영해 한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볼 수 있습니다.

차이점

코스피(KOSPI) 지수에 포함된 종목 중 시총, 유동성 등을 고려해 산출된 지수가

코스피200지수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비교 시점의 시총/ 기준 시점 시총 × 100)

코스피200지수는 한국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수에 편성된 종목은 대형 우량주가 약 90%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대표ETF

코스피(KOSPI)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8개, 코스피200 지수 추종 ETF는 44개입니다.

코스피 ETF는 투자 종목 수 약 720여인 반면, 코스피200 ETF는 200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각각의 종류를 살펴보고 수익률 체크도 해보겠습니다.

코스피ETF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25.3.10.KODEX코스피TIGER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5.8.24.2017.8.31.
순자산총액4,594억 원1,751억 원
수수료0.1690%0.1790%
연 배당률2.26%1.96%
투자종목수744개820개

코스피200ETF

  • 삼성자산운용, 미셋자산운용
24.11.29.KODEX200TIGER200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02.10.14.2008.4.3.
순자산총액586,610억 원20.930억 원
수수료0.1931%0.0923%
연 배당률2.40%2.53%
투자종목수201개201개

성과 비교

최근 성과를 비교해보면,

25.3.10.기준코스피ETF코스피200ETF
1개월2.16%2.08%
6개월3.05%1.33%
YTD7.33%7.12%
1년-1.95%-4.03%
3년0.57%0.64%

전반적으로 코스피ETF의 수익률 하락 방어도 잘하고, 수익률도 더 괜찮았습니다.

예상대로라면 국내 대형 우량주 위주의 코스피200ETF가 수익률이 좋을 것 같지만,

700여개가 넘는 종목에 분산투자 하는 효과 덕분인지 코스피ETF가 더 안정적으로 보여집니다.

괴리율은 -0.05% ~ -0.09%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정리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의미와 차이점, 관련 ETF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코스피는 839개 종목, 코스피200은 그 중 시가총액 규모, 거래량, 업종의 대표성 등을 고려해 편입된 200개 종목 지수입니다.

한국시장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는 건 KOSPI200지수 입니다.

대형주를 포함 중형주, 가치주 등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하고 싶다면 KODEX코스피, TIGER코스피를 선택하고,

업종의 대표 기업들을 포함 우량주 중심으로 선별된 20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싶다면

KODEX200, TIGER200이 좋은 선택지가 됩니다.

참고

코스피200 KODEX vs TIGER 비교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종목 확인

ISA계좌로 뭘 사야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