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 ETF 3개비교 제 선택은? ACE KRX금현물 장단점

국내 금 ETF 는 레버리지,인버스를 제외하고 3개가 있습니다.

저는 주로 해외 상장 etf에 투자하지만,

국내 상장 etf는 ISA계좌나 연금계좌를 활용해 장기투자하고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채권이나 금은 국내etf를 관심 있게 찾아보고 있습니다.

최근 금값이 정말 많이 올라서,
“더 오를까?” 싶겠지만

전쟁 이슈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고 제 생각에 금값은 당분간 상승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그럼 국내 금etf를 살펴보고 어떤걸 제 관심목록에 담을지 비교 후 선택해 보겠습니다.

국내 금 ETF 투자 대상

ETF의 이름을 살펴보면
KRX 금 현물, 골드선물 이런 형식으로 명칭이 붙어있습니다.

KRX 금 현물 한국거래소의 금현물 지수를 기초로 실물 금에 투자합니다.

금 선물은 미래의 시점의 가격을 약속해 투자합니다.

좀 더 쉽게 생각하면 현물은 현재 금 시세로 계약을 체결하는 형식이고, 선물은 현 시세로 계약하되 이행은 미래의 만기일에 하는것입니다.

국내상장 종류

25.3.기ACE KRX금현물
운용사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2021. 12. 15.
순자산총액 (AUM)4,132억 원
수수료0.8779%
거래량164만 주
현재가20,215원
TIGER 골드 선물(H)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9 .04. 09.
순자산총액838억 원
수수료0.4730%
거래량5만 주
현재가17,790원
KODEX 골드 선물(H)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10. 10. 01.
순자산총액2,516억 원
수수료0.7995%
거래량18만 주
현재가16,680원

참고로 순자산총액 50억 원 미만일 경우 상장 폐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해 들어 35개의 etf가 상장 폐지됐고, 50억 미만의 상장폐지 가능성이 있는 etf는 67개나 됩니다.

1,000주 미만 거래량인 etf가 28개로 투자 전 순자산총액과 거래량은 확인해야합니다.

위 3개의 상장지수펀드 중에서 순자산총액이 가장 큰건 ACE KRX금현물입니다.
[국내 ETF 902개 중 86위에 해당하는 규모]

거래량이 가장 낮은게 TIGER 골드선물(H)이네요. 위 거래량은 60일 평균거래량입니다.

(H)는 환헤지를 뜻합니다.
(환율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는 없지만, 비용이 많이듭니다)

성과 국내 금 ETF

기간별 수익률을 비교. (24. 10. 21. 기준)

ACE 금현물TIGER 골드선물HKODEX 골드선물H
(1개월) 12.46%4.77%4.77%
(3개월) 15.41%15.44%11.67%
(YTD) 44.57%26.25%26.52%
(3년) 11.33%11.4%
국내 금 ETF

전체 기간에 걸쳐 우상향하고 있어요.

특히 20년, 24년에 크게 상승했습니다.

올해 초 뉴스에서 중국이 금을 엄청나게 사들인다는 기사를 봤는데 전쟁 준비를 하는걸까요.

참고로 2019년 하반기 금값이 크게 오른 뒤 하락,그리고 2020년 상반기 크게 상승했습니다. 그리곤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어요.

2020년 7월 고점에 샀다면 약 3년 정도를 기다려야 손실을 회복했을 겁니다. 24년 지금도 금값이 크게 올랐으니 과거 사례를 염두에 두세요.

길면 3년 버틸 수 있다면 상관없지만 단기자금 운용이 목적이라면 손실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금 투자법

국내 금 ETF 3개를 살펴봤습니다. 올해 들어 금값이 엄청나게 올라서 그런지 금 현물에 투자하는 ACE가 수익률이 더 높았네요.

운용 규모, 수수료를 비교해보니 저는 셋 중에 ACE KRX금현물 ETF를 선택했습니다.

오늘 소개한 ETF는 연금계좌를 활용해 세금혜택을 받고, 주식처럼 편하게 거래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 외에도 금에 투자하는 좋은 방법들이 있어요. 금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꼭 확인해 보세요. 도움이 될 겁니다.

줍줍머니 +a

미국 금 ETN 3배 레버리지 장단점과 투자전략

S&P500 ETF 미국상장 SPY 대신 SPLG

미국 나스닥100 국내상장 3개 내 선택은?

월배당 채권투자 TLT TMF TLTW 알아보기

미국 대표지수 S&P500 이해하기

삼성전자 추락?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