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00 지수 추종 ETF KODEX200 TIGER RISE PLUS

코스피 200 지수

1. 코스피 200 지수

코스피200지수는 유가증권시장(KOSPI) 내 주요 대형주 200개로 구성된 대표 지수입니다.

시장 대표성, 산업 대표성, 유동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코스피 전체가 아닌 핵심 우량주만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종목

코스피 200 지수 대표적인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IT: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 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 자동차: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 플랫폼: NAVER
  • 방산/조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 금융: KB금융, 신한지주, 메리츠금융지주

코스피200은 매년 6월과 12월 정기적으로 편입 및 제외 종목이 변경됩니다.

한국거래소(KRX)의 주가지수운영위원회가 정기변경 한 달 전인 5월과 11월에 검토 후 공식 발표합니다.

3. 주요 ETF

코스피200 ETF는 지수를 그대로 복제해 운용하는 패시브 인덱스 펀드입니다.

대표적인 상품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버스·레버리지·TR·동일가중 ETF 제외)

ETF명KODEX 200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02. 10. 14.
순자산총액59,083억 원
(주식형ETF 중 3위)
수수료0.194%
ETF명TIGER200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08. 4. 3.
순자산총액21,459억 원 (17위)
수수료0.0904%
ETF명RISE200
운용사KB자산운용
상장일2011. 10. 20.
순자산총액11,086억 원 (32위)
수수료0.0541%
ETF명PLUS200
운용사한화자산운용
상장일2012. 01. 10.
순자산총액6,439억 원 (61위)
수수료0.0516%
  • KODEX 200 →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코스피200 ETF, 높은 유동성 보유
  • TIGER 200 → 꾸준한 성장세로 시장 내 입지 확대
  • RISE 200 / PLUS 200 →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로 장기 투자에 유리
코스피 200 지수 추종 ETF. KODEX200 TIGER200 RISE200 PLUS200

4. 코스피200 ETF 투자전략

① 장기 투자:
대형 우량주 중심으로 배당수익과 성장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축 가능

② 분할 매수: 정기적 분할 매수 전략을 활용.
정기변경(6월·12월) 이후 변동성 증가 시 추가 매수 고려

③ 레버리지·인버스 활용:
강한 상승장이 예상될 경우
→ KODEX 레버리지 ETF(2배 추종) 활용

하락장이 예상될 경우
→ KODEX 인버스 ETF(역방향 추종) 활용

단,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은 장기 보유 시 복리 효과로 인해 원래 지수와 괴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

④ 배당 및 낮은 보수:
장기 투자 시 운용보수가 낮은 ETF 선택이 유리
최근 코스피200 내 배당주 비중 증가
→ 배당수익을 고려한 투자 가능

5. 핵심 정리

코스피200지수는 한국 증시를 대표하는 대형 우량주 200개로 구성된 핵심 지수입니다.

이를 추종하는 ETF를 활용하면 시장 전체에 대한 효율적인 분산 투자가 가능합니다.

투자자는 다음 전략을 적절히 조합해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장기 투자로 시장 성장 수혜를 누리는 전략
✔ 정기변경 후 변동성을 활용한 분할 매수 전략
✔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을 활용한 단기 트레이딩 전략
✔ 낮은 보수의 ETF 선택 및 배당수익 고려

ACE 미국나스닥100 ETF 단점 ETF 순위 etf용어 ETF 용어 ISA KODEX KODEX 미국나스닥100 PLUS 코스피 RISE 미국나스닥100 RISE 코스피 S&P500 s&p500 etf SCHD TIGER ETF TIGER 미국나스닥100 TIGER 코스피 TLT ETF TSLL 경제뉴스 국내상장 금 ETF 금 레버리지 금리형 ETF 나스닥100 ETF 리뷰 미국상장 미래에셋자산운용 배당 배당 ETF 뷰티디바이스 비교 비엣젯항공 빅테크 워런버핏 포트폴리오 월배당 ETF 인덱스 일반 채권 채권 ETF 커버드콜 ETF 코스피200 ETF 테슬라 레버리지 ETF 투자입문 파킹형 ETF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AI관련주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는 AI관련주 중에서도 전력, 인프라 산업의 대표기업에 투자합니다.

AI발전으로 전력수요는 꾸준히 증가 할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는데요. 5년 후 전력수요는 약81배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전력 슈퍼사이클에 주도주가 될 종목들로만 구성되어있는 ETF 살펴볼게요.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개요

상장한지 4개월된 신규ETF입니다.

구성종목

투자 비중
CEG14.22%
GEV14.18%
ANET13.82%
ETN10.96%
TT10.20%
VRT10.11%
EME8.65%
JCI6.50%
PWR6.25%
PSTG4.24%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AI 전력에 필요한 핵심 기업을 모았습니다.

상위 종목 6개의 비중이 73%나 됩니다.

전력 대표기업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풍력발전 설비 대표기업 GE버노바에 14% 집중투자하고,

상위 종목이 원자력, 풍력, 송전, 배던, 데이터센터 등 전력 인프라를 구성하는데에 핵심기업 구성입니다.

빅테크 기업과 긴밀히 연관되어있는데요.

엔비디아는 버티브(데이터 센터 냉각시스템), 퓨어스토리지(데이터센터 저장, 인프라)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하고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콘스텔레이션에너지와 전력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아마존은 약 202조원을 데이터센터에 투자하며 아리스타(네트워크 고대역폭 설비)와 협력관계입니다.

수익률

2024.11.6.기준수익률
1주0.21%
1개월9.35%
3개월41.04%
KODEX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수익률

분배금

신규상장으로 분배금 지급은 좀더 지켜봐야겠습니다.

분기배당으로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에 지급됩니다.

정리

미국의 노후화된 전력망은 교체해야하고,
정부 정책 지원이 이뤄지게되면 AI전력 관련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 정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인프라 법안에서 전력망 확충과 개선 사항과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1380억달러 지원을 발표했습니다.

빅테크 기업은 이미 많이 오르기도했고,
여전히 미래 주도 산업이기때문에 이와 관련된 전력,인프라 관련주의 주가 상승이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해외상장etf중 전력 인프라 관련된 XLU, GRID, SIMS, JXI가 있습니다.

제가 찾아본 결과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ETF와 해외 상장ETF가 유사하네 일치하는건 없었습니다.

유틸리티XLU와 인프라 관련 SIMS GRID를 섞어놓은 듯한 포트폴리오입니다.

신규 상장이라 조심스럽긴하지만 AI와 관련된 전력,
인프라 핵심기업에 집중투자 전략이라 관심이 많이 가는 국내상장ETF입니다.

추후 변동하는 내용과 AI 인프라 관련 이슈를 상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되는 글

미국 유틸리티 대표 : XLU

고배당 ETF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soxx와 비교)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SCHD 한국판)

금 & 은 원자재 ETF

금값

국내 상장 은 ETF

국내 금ETF 3 비교

미국 대표지수

미국나스닥100 5개 완벽 비교

S&P500 4개 비교 후 선택

KODEX 미국반도체MV 비교 vs SOXX SMH 엔비디아 TSMC 집중

KODEX 미국반도체MV 반도체 관련주 26개 종목에 투자하며, 그중 엔비디아와 TSMC에만 35% 집중투자 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해외 상장 SMH는 제가 SOXX대신 선택한 ETF입니다. 둘 다 반도체섹터에 투자하지만 SMH는 대형주에 포커스를 맞춘것입니다.

제가 왜 SMH를 선택했는지SOXX와 비교한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고,

오늘 소개할 kodex 미국반도체MV가 SMH와 동일한 투자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SOXX vs SMH 하단 참조)

KODEX 미국반도체MV 개요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2021. 6. 30.
  • 순자산총액: 5,992억 원
  • 수수료: 0.3534%
  • 현재가: 23,525원

순자산총액(AUM) 5천억 이상, 평균 거래량 52만주, 운용기간 3년 이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수수료가 0.3534%이면, SMH 0.35%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보통 국내상장ETF의 수수료가 높은 편인데 이 정도면 정말 매력적인 상품으로 느껴집니다.

1주당 가격이 23,525원으로 분할 매수하기에도 부담이 없습니다. (SMH 1주당 가격 약 34만 원)

구성종목 kodex 미국반도체mv

총 구성종목수 26개.

KODEX 미국반도체MVSMH
NVDA 21.92%NVDA 21.73%
TSM 13.02%TSM 13.91%
AVGO 7.80%AVGO 8.08%
AMD 5.03%AMD 4.84%
QCOM 4.31%MU 4.32%
TXN 4.26%QCOM 4.29%
AMAT 4.17%AMAT 4.11%
MU 4.07%TXN 4.09%
ASML 4.05%ASML 4.06%
ADI 3.96%ADI 3.92%
KODEX 미국반도체MV

섹터별 비중

IT에 100%투자합니다.

대형주 94% 중소형주 6%이하로 반도체 대형주에 투자하고

특히, 엔비디아와 tsmc가 톺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참고로 SOXX는 대형주80%, 중소형주 20%투자)

수익률

KODEX 미국반도체MV 수익률비교차트
2024.10.31.기준수익률
1개월7.34%
3개월4.82%
6개월14.13%
1년86.63%
3년30.58%
KODEX미국반도체MV 기간별 수익률
  • 연간 배당률 0.6%
  • 24. 10. 30. 배당 36원

국내상장, 해외상장etf 비교를 많이 해봤지만, 국내상장etf가 더 낫다고 생각이 드는건 이번이 처음인것 같습니다.

운용 규모나 수수료, 성과 어느것하나 SMH보다 떨어지는게 없네요.

국내,해외상장 ETF는 세금체계가 다르지만 연금계좌를 활용해 투자할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국내?해외? ETF 세금 >> 바로가기

정리

KODEX 미국반도체MV는 한국판SMH입니다.

동일한 투자 전략을 구현하는데요. 21년 상장 당시 수수료가 0.69%였는데 이후 0.21%~0.34% 변동해 현재 0.3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해외상장 SOXX SMH 0.35%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수수료는 상시 변경될 수 있지만,

운용 기간 3년 이상이고 최근 국내 운용사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수료가 낮아지는 추세인 걸 감안하면 현재 수준에서 크게 상승하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도체 주도주인 엔비디아와 tsmc를 포함한 26개 대형주에 분산 투자합니다.

대형주에 쏠림이 있다보니 리스크 관리면에서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크지만 이런 쏠림 덕분에 주가 상승 구간에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도체 35개 종목에 투자하는 SOXX의 올해 수익률이 18%인데 SMH는 43%입니다.

주가 상승을 이끄는 대형주의 영향을 크게 받은게 이유겠죠.

간단히 정리해 미국 반도체 중대형 주에 고루 투자하는 SOXX, 대형주 집중 SMH = KODEX미국반도체MV 입니다.

저는 이번 비교를 통해 SMH대신 연금계좌를 활용해 KODEX 미국반도체MV를 매수할 예정입니다. 연금계좌에는 채권을 매수하고 있었는데 반도체가 추가되겠네요.

ETF투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제 블로그를 즐겨찾기 해주세요. 시장 이슈를 정리하고 투자할 만한 ETF를 비교해 도움이 될 겁니다.

반도체

SOXX vs SMH 비교 정리!

반도체 3배 레버리지 SOXL

대표지수

미국나스닥100 5개 전격비교

s&p500 비교: SPY IVV VOO SPLG

채권

미국채 중기채권 IEF투자기록

미국채 기간별 채권비교

월11%배당 제2의 월급만들기

한국국채 30년 RISE KIS국고채Enhanced

금 & 은

금이 오르고나면 은이 오른다?! 은ETF

금 종류 시세 정리

금 3배 레버리지etn

그 외

경기침체를 대비! 필수소비재 XLP

코스피200 3종 비교

1주 매수로 미국 시장 전체 투자하기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 수수료 비교 확인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는 배당ETF로 인기있는 SCHD (= 일명 슈드) 한국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schd의 투자전략을 따온 국내상장etf는 4가지가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최근 24년 8월 상장한 코덱스 미국배당다우존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보시면 국내 미국배당다우존스etf와의 차이점과 schd를 벤치마킹한 내용을 쉽게 이해하실수 있을겁니다.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개요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2024. 8. 13.
  • 순자산: 2,585억 원
  • 수수료: 0.1024%
  • 현재가: 10,675 (24.10.30.기준)
  • 거래량: 86만주

국내상장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와 투자 전략이 100%에 가깝게 동일합니다.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최근상장해 운용기간이 짧고,

순자산총액이 가장 적습니다. 상시 변동될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수수료율(0.1024%)이 가장 낮은게 장점입니다.

  • 수수료: ACE미국배당다우존스 0.1602%,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 0.1453%

구성종목

총 100개의 종목에 분산투자합니다. 상위 10개 종목 비중이 전체의 40%이고, 그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구성 종목투자 비중
BLK4.33%
CSCO4.33%
HD4.30%
CVX4.13%
BMY4.10%
PFE3.96%
TXN3.93%
VZ3.91%
UPS3.82%
LMT3.76%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구성종목

해외상장 SCHD와 상위 10개 종목 구성은 동일합니다.

투자 섹터비중에서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SCHD의 경우
IT섹터에 10%, 헬스케어 15%, 금융 18%, 필수소비재 13%, 경기소비재 11%, 산업재11%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는
IT섹터에 8%, 헬스케어 15%, 금융 18%, 필수소비재 13%, 경기소비재 9%, 산업재 13%로

IT, 경기소비재의 비중이 낮고 대신 산업재의 비중이 높습니다.

SCHD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국내상장 ACE, TIGER와는 동일한 구성비를 갖고있습니다.

수익률 및 배당

24.10.30.기준KODEX미국배당다우존스SCHD
1주-0.37%-0.85%
1개월5.95%0.01%
6개월10.29%
1년30.78%
3년6.56%
KODEX미국배당다우존스 수익률
  • 연간 배당률 0.59%
  • 배당 내역 24.10.14. 33원

운용기간 1년미만으로 현재 연간 배당률은 참고만하세요.

동일 포트폴리오의 연간 배당률이 약 3.4~3.5%이기 때문에

25년 8월 이후로는 약 3.4%수준의 배당률이 나올것으로 예상됩니다.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운용기간이 3개월차이기때문에 앞으로 좀더 지켜봐야합니다. 간혹 상장 초기에 주가가 크게 빠지는 일이 생기기도하는데 다행이 큰 변동없이 SCHD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고있습니다.

정리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월배당 etf로 해외상장 배당ETF SCHD 포트폴리오와 유사합니다. 약 3.4%의 배당수익률이 나올것으로 예상되고,

동일한 투자 전략을 가진 ETF와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낮은 순자산총액이지만 짧은 운용기간을 고려한다면 나쁘지 않은 수치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대형 자산운용사이고, 비교적 낮은 수수료율을 적용하고있어 앞으로 꾸준히 자금 유입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실상 국내 상장 ETF의 경우 구성종목과 구성비가 같다면, 안정적인 순자산총액규모를 갖고있고 (50억이상) 낮은 수수료율이 매력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동일 섹터내 ETF를 선택할때 개인 투자자가 이 두가지 외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없다고 봅니다.

한가지 주의해야할 점은 신규상장 ETF의 수수료율은 간혹 큰폭으로 상승할 수 있어서 앞으로 자금 규모와 수수료율 변동사항을 지켜봐야겠습니다.

변동하는 부분에 대해 상시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참고하세요.

도움되는 글

ETF 이름 풀이 바로가기

인덱스펀드 VS 액티브 VS 패시브펀드

미국채 금리 변화 이유는? IEF 중기채 투자기록

반도체섹터 SOXX VS SMH 내 선택은?

반도체 3배 레버리지 SOXL 전망

국내 금ETF 3종 비교 정리

미국 시장 전체에 투자! V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