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가중방식 동일가중 특징과 장단점 SPY와 RSP 예시로 확인

시총가중방식 동일가중방식은

ETF의 구성종목을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두 방식은 포트폴리오 내 개별 종목의 비중을 결정하는 기준에서 차이를 나타며
각각의 장단점을 갖고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시총가중방식과 동일가중방식에 대해 정리, 비교해보며 그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내 투자 목적에 맞는 전략과

두 방식의 수익률 차이까지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시총가중방식 동일가중

시총가중방식

시가총액 가중방식은
개별 주식의 시총(주가x발행 주식 수)에 따라 투자 비중을 결정합니다.

ex) 미국상장 SPY, 국내상장 TIGER 미국S&P500 etf

1. 특징

시총순위=구성종목비중 순위

시가총액 1위인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예를 들어

시총액가중방식인 SPY는 S&P500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며 지수에 포함된 종목 순서 그대로
가중치를 두어 투자합니다.

>> S&P500에 포함된 종목 순위 바로가기

[24.12.31.기준) 시총 1위는 애플, 2위 엔비디아, 3위 마이크로소프트

2. 장점

◎ 우량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형성
→ 시총이 큰 대형주에 더 많은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 모멘텀 자동 매수
→ 주도주의 상승을 자동으로 반영합니다

◎ 효율성
→ 대중적인 전략으로 ETF 운용 비용이 낮은편입니다.

3. 단점


◎ 시총이 큰 무거운 종목을 더 매수
→ 비싼 종목을 더 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 저평가주 소외
→ 성장주, 가치주와 같은 초기 단계의 유망 종목의 비중이 적어집니다.

◎ 수익률 한계
→ 앞서 말한 단점들로 인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 힘듭니다.

앞서 정리한 내용을 보면,
장점이 단점이 되기도합니다. 양면을 잘 들여다 봐야겠죠.

동일가중방식

동일가중방식은
ETF가 투자하는 모든 종목에 대해 균등한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포트폴리오 내 모든 종목이 ETF에 동등하게 영향을 주며, 시총 규모를 따지지 않습니다.


ex) 미국상장 RSP, 국내상장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ETF

1. 특징

투자금이 균등하게 배분됩니다.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상관없이 모두 균등한 비율의 투자)

구성 종목 수가 많을 수록 개별 종목의 투자 비중은 작아집니다.

2. 장점

◎ 쉽고 단순한 구성
→ 구성 종목 동일 비중을 부여해 복잡한 계산없이도 종목 구성과 관리가 용이합니다.

◎ 소외 종목 발굴
→ 소형주에도 균일하게 투자되어 흔히, 저가매수 고가매도 전략을 구현합니다.

3. 단점

◎ 주식의 가치 미반영, 비효율성 증가
→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주식의 가치를 반영하지 않아 우량주에 비중을 더 두지 못하는 구조적 단점이 존재합니다.

◎ 리밸런싱 비용
→ 모든 종목의 비중을 균등하게 유지하기위한 잦은 리밸런싱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 리스크 상승
→ 장점이면서 단점이되는것이 소규모 기업의 비중입니다. 동일한 비중 투자로 변동성이 큰 소형주의 기업 부진이 ETF 전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비교 예시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비교해봤습니다.

시총가중방식 vs 동일가중의 전략차이는

수수료, 종목 비중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입니다.

국내 상장TIGER 미국S&P500TIGER 미국S&P500
동일가중
수수료0.1791%0.3894%
상위 10개
종목 비중
37.35%2.36%
세부내용애플7.56%
엔비디아 6.58%
애플 0.27%
엔비디아 0.2%
미국 상장SPY RSP
수수료0.0945%0.2%
상위 10개
종목 비중
37.81%2.46%
애플7.64%
엔비디아 6.7%
애플 0.2%
엔비디아 0.2%
  • 동일가중방식의 수수료가 더 높은 수준이며, 상위 종목의 투자 비율이 크게 차이납니다.

결론

시총가중방식과 동일가중 방식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은 우량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형성하며

시장의 변화를 자동으로 반영한다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선호되는 방식입니다.

동일가중방식은 저평가 종목 발굴에 유리하지만

관리가 다소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수익률의 차이는 어떨까요?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시총가중방식의 SPY와

동일가중방식 RSP의 성과를 비교한 글을 참고하시면

투자 목적에 맞는 ETF를 고르는데 도움이 됩니다.

>> SPY vs RSP 전략 수익률 비교 바로가기

RSP 동일비중 vs 시총가중 SPY 어떤 ETF가 유리할까?

RSP 와 SPY는 S&P500지수의 500개 종목에 투자하는 인덱스펀드입니다.

둘의 차이점은 종목의 투자 비율이 다르다는 것인데요.

동일한 비율로 투자하는 RSP와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SPY를 비교해보겠습니다.

RSP SPY 개요 및 기본정보

RSP vs SPY
24.11.기준RSPSPY
운용사InvescoSPDR State Street
순자산$71,078M$621,912M
수수료0.2%0.0945%
현재가$181.67$588.15

RSPetf는 인베스코가 운용하며 2003년 4월 상장했습니다.

순자산총액 약 98조원으로 해외주식형ETF중에서 21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서학개미 매수1위였던 고배당SCHD보다 더 큰 수치.)

구성종목 투자비중

RSP는 S&P500지수에 포함된 500여개 기업에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그나마 가장 큰 비중으로 투자하는 종목이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스 홀딩스(UAL) 0.35%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SPY의 1순위 종목 엔비디아(NVDA) 7.17%D와는 대조적이죠.

R S PS P Y
UAL 0.35%NVDA 7.17%
PLTR 0.32%AAPL 6.89%
VST 0.31%MSFT 6.3%
AXON 0.3%AMZN 3.92%
GEV 0.28%META 2.5%

동일비중 특징

동일비중 가중방식은 특정 종목에 대해 의존하지 않습니다.

리밸런싱을 통해 시장에서 고평가된 주식의 비중은 줄이고, 저평가된 주식은 매수하게 되는

저가매수 전략이 적용됩니다.

수익률 비교 : 단기부터 장기까지

동일비중 가중방식과 시가총액 가중방식 수익률 비교표

24.11.19.기준RSPSPY
1개월-0.11%0.61%
3개월6.79%6.43%
6개월8.97%11.79%
1년26.87%32.24%
3년5.95%9.39%
5년12.03%15.3%

배당률 비교

  • RSP의 연간 배당률 1.46%
  • SPY의 연간배당률 1.19%

어떤 ETF가 나에게 맞을까?

RSP는 S&P500의 동일 가중 방식의 투자 전략을 활용해

중소형주의 분산투자 효과와 성장가능성을 보고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대형주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500개 종목에 골고루 투자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미국 시장에 균등하게 투자를 하고 싶은 투자자들이 선택하기에 이상적인상품입니다.

섹터별 비교

기술주 강자는? XLK vs QQQ

반도체 SOXX vs SMH

국내상장 etf

글로벌 반도체: 엔비디아 TSMC집중 투자

미국 전력 인프라 ETF

코스피200 주가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