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D vs VYM vs HDV 비교 분석 (JEPI, VIG제외 이유)

SCHD vs VYM vs HDV 전격 비교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고배당 ETF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종목은 SCHD, VYM, HDV입니다.

이 세 ETF는 배당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선택지이고,
각기 다른 포트폴리오 구성 방식과 전략적 특징을 갖고 있어 투자자 성향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ETF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비교하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JEPI와 VIG는 고배당 ETF 비교에서 왜 제외되는지도 함께 설명해드립니다.

SCHD vs VYM vs HDV 고배당ETF 비교표. JEPI와 VIG를 제외한 이유

1. 고배당 ETF란?

고배당 ETF(High Dividend ETF)는 일반적으로 배당 수익률이 시장 평균보다 높은 종목들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이들은 안정적인 현금흐름, 정기적인 배당금 지급, 보수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은퇴자, 인컴 투자자, 보수적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고배당ETF중에서 안정적인 운용규모와 운용기간을 갖춘 3가지가 SCHD vs VYM vs HDV 입니다.

2. SCHD, VYM, HDV 핵심 비교

항목SCHDVYMHDV
운용사Charles SchwabVanguardiShares (BlackRock)
운용
보수 (Expense Ratio)
0.06%0.06%0.08%
종목 수105개532개83개
주요섹터(비중순)에너지,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산업재금융, IT, 헬스케어, 산업재에너지,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금융
주요 보유 종목코노코필립스, 쉐브론, 버라이 등브로드컴, JP모건, 엑슨모빌, 월마트 등엑슨모빌, 쉐브론, 존슨앤드존슨, 애브비

3. 수익률 비교표

수익률 구분SCHDVYMHDV
연초 대비 수익률 (YTD)+2.93%+1.52%+8.07%
최근 1년 수익률+8.35%+9.95%+13.60%

HDV는 최근 1년간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에너지 섹터 강세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SCHD는 성장성과 배당 안정성을 모두 추구하는 전략으로 꾸준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4. 전략 및 포지셔닝

🔷 SCHD – 배당 성장 + 우량 가치주

  • 전략: 10년 이상 배당을 늘린 미국 기업 중, 재무 건전성, 수익성, 배당 지속성 우수한 종목 선별
  • 특징: 배당 수익률도 높지만, 성장성도 함께 추구
  • 적합 투자자: 배당 수익과 자본 이득(시세차익)을 동시에 원하는 장기 투자자

🔷 VYM – 광범위한 분산 + 안정적 배당

  • 전략: 미국 대형주 중 평균 이상 배당 지급하는 기업들을 폭넓게 구성
  • 특징: 500개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뛰어난 리스크 분산 효과
  • 적합 투자자: 초보 투자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인컴 추구자

🔷 HDV – 퀄리티 중심 + 방어주 비중

  • 전략: 배당 지속 가능성이 높은 기업(모닝스타의 퀄리티 스코어 기반)을 중심으로 구성
  • 특징: 에너지·헬스케어·통신 등 경기 방어 섹터 중심 포트폴리오
  • 적합 투자자: 배당 안정성 중시, 경기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포트폴리오 선호자

5. JEPI, VIG 비교 제외 이유?

🟥 JEPI – 고배당 But 완전히 다른 구조.

  • 전략: S&P500 종목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커버드콜 옵션 전략을 활용해 매월 높은 배당 수익을 창출
  • 배당 수익률: 8~10% 수준 (매우 높음)
  • 제외 이유?
    → JEPI는 일반적인 고배당 ETF가 아닌, 옵션 전략 기반의 인컴 상품
    수익 구조와 리스크 프로파일이 전통 고배당 ETF와 완전히 다름

🟨 VIG – 배당 성장이미잔, 고배당x

  • 전략: 10년 이상 연속 배당 증가한 기업에 투자 (배당 성장 중심)
  • 배당 수익률: 1.8~2.2% 수준 (낮음)
  • 왜 제외되나?
    → VIG는 “배당 성장성”을 추구하는 ETF로, 배당 수익률이 높지 않음
    고배당 ETF를 찾는 투자자와 목적이 다름

6. 결론: 어떤 ETF를 선택할까?

  • SCHD: 배당도 받고 주가 성장도 원하는 중장기 성장형 인컴 투자자
  • VYM: 가장 무난한 선택지. 장기 분산 투자에 적합한 입문자용 ETF
  • HDV: 방어주 선호, 경기 민감도를 줄이고 싶은 안정 추구형 투자자

SCHD 투자 배당금 세금 투자전략 그리고 한국판 슈드

SCHD 투자

SCHD 투자 배당금.
운용사: Schwab ETFs
출시일: 2011년 10월 20일
총 운용자산(AUM): $68.9B
기초지수: Dow Jones U.S. Dividend 100
운용 보수(Expense Ratio): 0.06%
현재 주가: $27.64

증시 흐름

최근 미국 증시의 불안정성이 심화되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지면서, 현재 조정 국면이 단기적인 조정인지 혹은 장기적인 하락세의 시작인지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 투자와 배당주 투자가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배당 ETF의 대표 종목인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SCHD의 핵심 특성과 투자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1. SCHD 개요

  • 운용사: Schwab ETFs
  • 출시일: 2011년 10월 20일
  • 총 운용자산(AUM): $68.9B
  • 기초지수: Dow Jones U.S. Dividend 100
  • 운용 보수(Expense Ratio): 0.06%
  • 현재 주가: $27.64

찰스 슈왑(Charles Schwab)이 운용하는 ETF로, 2011년 상장 이후 14년간 꾸준히 운용되어온 역시깊은 ETF입니다.

다우존스 미국 배당 100지수를 추종하며, 10년 이상 연속 배당을 지급한 기업 중 재무 건전성이 높은 100개 기업을 선별하여 투자하는 전략을 구현합니다.

2. 포트폴리오

SCHD는 정기적인 리밸런싱(매년 3월)을 통해 종목을 조정합니다.

>>24.2.기준 SCHDetf 현황

종목 선정 기준

  • 10년 이상 연속 배당 증가
  • 재무적 건전성이 확보된 기업
  • 개별 종목 비중 최대 4% 제한
  • 개별 섹터 비중 최대 25% 제한

이러한 전략을 통해 특정 기업이나 섹터에 대한 집중 투자 위험을 줄이고,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분산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주요 보유 종목 TOP 8

  • 애브비 (ABBV) 5.01%
  • 암젠 (AMGN) 4.71%
  • 코카콜라 (KO) 4.64%
  • 버라이존 (VZ) 4.28%
  • 화이자 (PFE) 4.26%
  • 시스코 (CSCO) 4.26%
  •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 (BMY) 4.22%
  • 쉐브론 (CVX) 4.14%

섹터별 비중

  • 헬스케어: 18.28% (최대 비중)
  • 금융: 17%
  • 필수소비재: 15%
  • 에너지: 11%
  • 산업재: 11%
  • IT: 10%

3. 성과 (수익 & 배당)

수익률_ 25.3.17.기준

  • 1개월: -0.54%
  • 3개월: -1.74%
  • 6개월: 1.31%
  • 1년: 9.11%
  • 상장 이후: 401.55%

배당 수익 및 성장률

  •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3.60%
  • 1주당 배당금: $0.99
  • 배당 지급 시기: 분기별 (3월, 6월, 9월, 12월)
  • 1년 배당 성장률: 12.23%
  • 3년 평균 배당 성장률: 9.87%

최근 1년간 배당 수익과 주가 상승을 합하면 총 9.11%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SCHD는 장기적인 배당 성장과 함께 꾸준한 주가 상승을 이루어왔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투자 상품으로 평가됩니다.

4. 투자 시 고려할 점

1) 배당소득세 고려

SCHD는 미국 상장 ETF이므로 배당소득세 15.4%가 원천징수됩니다.
따라서 절세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성장주 대비 시세 차익 기회비용

배당 ETF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하지만, 성장주와 비교했을 때 시세 차익 기대는 낮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기준으로

  •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QQQ)는 25% 상승
  • SCHD는 12% 상승

따라서 투자자는 시장 상황을 고려하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결론

SCHD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장기적인 배당 성장성을 갖춘 ETF로,
특히 조기 은퇴를 준비하는 2030세대,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는 4050세대에게 적합한 투자 상품입니다.

  • 운용 규모가 크고 수수료가 낮으며, 분산 투자 전략을 채택하고 있어 장기적인 수익 창출에 유리합니다.
  • 배당소득세가 부담될 수 있으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장기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 배당 중심 투자 전략을 원한다면 SCHD는 강력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성장주와의 균형을 고려한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합니다.

현재 미국 기술주들의 조정이 지속됨에 따라 SCHD의 상대적인 매력이 더욱 부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당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SCHD를 장기적 관점에서 고려해볼 가치가 충분한 ETF입니다.

덧붙여 배당ETF중에서 SCHD와 자주 비교 되며 언급되는 JEPI도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SCHD 고배당 etf JEPI와 비교 장점 단점 배당성장률은?

SCHD 한때 서학개미 매수 1위를 할 정도로 인기있는 배당ETF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JEPI의 인기가 높아지고, 자금유입도 크게 늘었습니다.

schd의 어떤점때문에 투자자들이 외면하는지,
그럼에도 SCHD만의 장점은 무엇일지 찾아보겠습니다.

SHCD 개요

SCHDJEPI
운용사SchwabJPMorgan
상장일2011. 10. 20.2020. 5. 20.
순자산$63,441.4M$36,469.9M
액티브xO
수수료0.06%0.35%
현재가$28.23$58.69
SCHD JEPI 비교표

자금유입이 줄었다고는하지만 SCHD는 배당ETF중 순자산총액 2위입니다.

JEPI는 액티브etf입니다. 액티브는 시장변화에 따라 펀드매니저가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합니다. 빠른 대응이 가능해 초과 수익률, 하락방어에 용이합니다.

이런 전략때문에 액티프 펀드는 수수료가 높은편입니다.

구성종목

SCHDJEPI
HD 4.37%TT 1.68%
CSCO 4.35%NVDA 1.65%
BLK 4.34%META 1.59%
BMY 4.08%PGR 1.59%
CVX 4.08%SO 1.56%
LMT 4.07%NOW 1.55%
VZ 4.05%MA 1.55%
PFE 3.95%AMZN 1.53%
UPS 3.77%MSFT 1.47%
PEP 3.75%ABBV 1.47%
SCHD JEPI 구성종목

SCHD의 구성종목은 103개

JEPI의 구성종목은 134개입니다.

특징

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지수를 추종하고, 연속배당과 배당수익률이 종목편성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JEPI는 S&P500지수 ELN(= 콜옵션전략)와 저변동성 종목에 투자합니다.

SCHD는 금융섹터에 18%,

JEPI는 IT섹터에 20% 가장 큰 비중으로 투자합니다.

두 ETF의 배당수익에 가장 큰 차이점은

SCHD는 오직 연속배당, 배당수익률에 초점을 맞춘 포트폴리오이고

JEPI는 액티브+커버드콜 전략이라는것 입니다.
덕분에 연간 7%이상 배당률이 나옵니다.

이런 차이점은,
SCHD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배당성장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주가 상승으로 시세차익을 얻기에는 다소 아쉬운 부분으로 느껴집니다.

수익률

SCHD JEPI 수익률 비교차트
24.11.1.기준SCHDJEPI
1개월0.19%-0.72%
3개월3.48%4.02%
6개월12.18%8.85%
1년29.19%20.21%
3년6.74%7.44%
SCHDJEPI
연간배당률3.46%7.19%
최근배당$0.75$0.39
분기배당월배당

SCHD는 최근1년 연 배당수익률 3.46%

분기별(연4회) 배당금이 나옵니다.

최근 1년간 배당성장률 11.94%, 3년 평균 9.54%

schd 주가전망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주가 전망치를 확인해봤습니다.

12개월 평균 목표가는 $30.46으로 현재가 $28.23보다 약 7.92% 상승을 예상했습니다.

  • 최저 목표가 $25.29
  • 최고 목표가 $35.51

꾸준하고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목표로하는 ETF지만, 주가 상승으로 기대수익률도 일정부분 충족이 되는 수치입니다.

정리

SCHD의 가장 큰 매력은 배당성장률에 있습니다.

앞서 살펴본 주가 배당수익률로 봤을때 JEPI가 더 좋은 성과를 보인듯 하지만,

배당성장률에 초점을둔 장기투자자라면 SCHD에 투자하는것이 더 유리합니다.

덧붙여 투자 전략으로 봤을때,

현재 시장분위기는 크게 상승한 뒤 숨고르기를 하는 듯한 모습인데요. 미국 대선을 앞두고있고,

S&P500, 나스닥 등 신고가를 뚫으며 급상승한 시기를 막 지나고있는 상황이라

당분간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 힘듦니다.

현재 불확실성이 높고, 횡보하는 모습이라면 커버드콜 전략의 JEPI가 주가 하락 방어에도 유리하고 매월 높은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두ETF중 투자 기간을 고려해 선택하겠습니다.

JEPI 투자 분석 바로가기

반도체ETF

SOXX vs SMH 비교 정리 클릭!

반도체 3배 레버리지 SOXL

대표지수

미국나스닥100 5개 전격비교

s&p500 비교: SPY IVV VOO SPLG

채권

미국채 중기채권 IEF투자기록

미국채 기간별 채권비교

월11%배당 제2의 월급만들기

한국국채 30년 RISE KIS국고채Enhanced

금 & 은

금이 오르고나면 은이 오른다?! 은ETF

금 종류 시세 정리

금 3배 레버리지etn

그 외

경기침체를 대비! 필수소비재 XLP

코스피200 3종 비교

1주 매수로 미국 시장 전체 투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