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ER 나스닥100 배당 수익률 환리스트 vs QQQ 비교 투자 전략

TIGER 나스닥100 ETF / 미국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에 투자하고 싶다면, 대표적인 ETF 세 가지를 반드시 비교해봐야 합니다.

바로 미국에 상장된 QQQQQQM, 그리고 국내 상장 ETF인 TIGER 미국나스닥100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ETF를 객관적인 데이터와 함께 비교하고, 투자 전략까지 짚어보겠습니다.

TIGER 나스닥100 배당, 수익률 환리스크 QQQ와 비교 정리

1. 개요 및 수수료 비교

항목QQQQQQMTIGER 미국나스닥100
상장국가미국미국한국
수수료 (운용보수)0.20%0.15%0.1463%
환전 필요 여부필요필요불필요 (원화 거래)
배당분기 배당분기 배당분기 배당
추종지수나스닥100나스닥100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가장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며, 원화로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나스닥100 etf수익률

구간QQQ
1개월+0.22%
3개월-9.84%
연초 대비 (YTD)-11.97%
1년+13.64%
5년 누적+22.95%

장기적으로는 꾸준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기술주 회복 시 빠른 반등 가능성이 있습니다.

3. 환율 리스크 및 총보수 차이

🔹 해외 상장 ETF(QQQ, QQQM)

  • 투자 전 달러 환전이 필요하고, 매도 후 달러로 자산이 남음
  • 환차익과 환차손이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침
  • 세금 계산 시 원화 기준 평가액으로 반영

🔹 국내 상장 ETF(TIGER 미국나스닥100)

  • 원화로 거래 가능, 달러 환전 과정 없음
  • 매도 시 자동 환율 계산 후 원화로 정산
  • 환율 변동에 수익률이 직접적으로 반영됨

환율 리스크는 모두 동일하게 존재하지만, 투자자의 실질 체감 수익률은 TIGER ETF가 더 민감할 수 있습니다.

4. 총보수란?

ETF 투자 시 꼭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총보수(Total Expense Ratio)입니다. 단순한 운용보수 외에도 판매 수수료, 사무관리 비용 등이 포함되며, 실제로 투자자가 부담하는 비용입니다.

💡 예시:
1억 원 투자 시, 연 수익률 8% 기준

  • 수수료 0.20% → 약 200,000원 비용
  • 수수료 0.05% → 약 50,000원 비용
    장기 복리 기준으로 수익 차이는 수백만 원 이상

장기 투자자라면 반드시 낮은 총보수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5. 분배금 및 배당 수익

  • 배당 주기: 3개월(분기)
  • 최근 분배금: 주당 70원 (2025년 1월 기준)
  • 연 환산 배당률: 약 0.47%

배당 수익률은 높지 않지만, 성장주 중심 ETF의 특성상 주가 상승을 통한 자본 이득이 주요 목적입니다.

6. QQQ vs QQQM vs TIGER: 투자 전략 정리

구분QQQQQQMTIGER 미국나스닥100
안정성과 거래량가장 높음중간국내 ETF 중 상위권
수수료보통낮음가장 낮음
환전 번거로움있음있음없음
절세 혜택IRA 등 미국 내 계좌 필요동일국내 연금/ISA 계좌 활용 가능
투자 대상달러 기반달러 기반원화 기반 투자자에게 적합

7. TIGER 나스닥100 정리

  • 장기 투자자이면서 원화 기반의 간편한 투자를 원한다면:
    👉 TIGER 미국나스닥100 ETF가 최적의 선택
  • 달러 자산 확보미국 본토 ETF의 유동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 QQQ 또는 QQQM도 좋은 대안

결국 핵심은 수수료와 환율 리스크, 세금 구조를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게 고려하는 것입니다.

미국 나스닥100 국내상장 ETF 뭐가 좋을까?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상장 ETF 5가지를 알아보고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내상장 미국나스닥100 ETF중 어떤 상품에 투자해야할지 고민이시라면

이 글을 자세히 읽으세요.

투자자의 전략에 맞는 상품을 고르는데 시간을 줄여드립니다.

미국 나스닥100

NASDAQ100 Index는 미국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 된 100개 기업을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구성된 100개 기업은 시총 상위 1위부터 100위를 의미하고, 금융섹터를 제외한 기술,

헬스케어, 서비스 섹터 등으로 구성됩니다.

미국 나스닥100 ETF

국내상장 나스닥100 etf중에서 커버드콜, 환헤지, 액티브형 등 파생상품을 제외한

5가지입니다.

1) TIGER 미국나스닥100

  • 운용규모 가장 큼
  • 비교적 높은 수수료율
  • 상대적으로 1주당 가격이 높음
  • 운용기간 14년차로 가장 오래됨
TIGER 미국나스닥100
운용사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0. 10. 18.
순자산42,871억 원(6위)
총보수0.2137%
현재가136,490

2) KODEX 미국나스닥100TR

삼성자산운용은 TR(토탈리턴)로 분배금을 재투자합니다.

  • 배당을 재투자함(=복리투자)
  • 유동성 풍
  • 낮은 수준의 수수료율
KODEX 미국나스닥100 TR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상장일2021. 4. 9.
순자산15,178억 원 (25위)
총보수0.1754%
현재가20,470

3) ACE

ACE 미국나스닥100
운용사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일2020. 10. 29.
순자산12,095억 원(29위)
총보수0.1903%
현재가23,425원

4) RISE

  • 운용기간 4년차
  • 가장 낮은 수수료율
RISE 미국나스닥100
운용사KB자산운용
상장일2020. 11. 06.
순자산7,864억 원(43위)
총보수0.1732%
현재가22,710원

5) SOL

  • 24년3월 신규상장
  • 높은 수수료율

SOL은 운용기간 1년 미만으로 순자산, 수수료율의 변동이 클 수 있습니다.

SOL 미국나스닥100
운용사신한자산운용
상장일2024. 3. 12.
순자산303억 원
총보수0.4965%
현재가12,952

구성종목

  • 구성종목 수 102개
  • 상위 10개 종목 비중 (10.16%)
미국 나스닥100 ETF 구성종목
  • 국내상장된 미국 나스닥100 ETF 의 구성종목은 거의 동일하며
  • 미국 상장 QQQ와 같은 투자 전략입니다.

비교표

요약 정리

▷ TIGER

TIGER 미국나스닥100ETF의 운용규모가 가장 크고, 오랜기간 운용해온 안정적인 ETF입니다.

0.2137%로 다소 높아보이는 수수료를 부담해야하지만,

해외상장 QQQ의 수수료가 0.2%인걸 감안하면 국내상장 ETF치고는 적정한 수수료 수준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똑같은 투자 전략을 가진 KODEX나 ACE등 낮은 수수료의 대체재가 있는데 TIGER를 선택할지는 의문입니다.

▷KODEX

KODEX의 경우 TR또는 H상품만 존재하며,

오늘 비교한 TR은 분배금을 재투자하지만 실제 수익률의 차이는 0.1%~0.4%정도 입니다.

다시말해, 다른 상풍과 비교했을때 기간별 수익률이 0.1~0.4% 높게 나왔습니다.

미국나스닥100ETF의 연간 분배율이 0.51~0.53%로 굳이 TR을 선택할 이유는 없어보이지만

KODEX TR은 운용규모도 큰 편에 속하고, 낮은 수수료율로 가장 합리적인 ETF로 보입니다.

게다가 1주당 가격 2만원대로 소액으로 분할 매수하기에 부담 없는 가격입니다.

▷최종 선택

SOL 미국나스닥100은 신규상장으로 제외.

ACE는 KODEX와 비교했을때 운용규모도 작고, 수수료는 높아서 제외.

RISE는 가장 낮은 수수료율이 장점이지만 이것은 상시 변동 할 수 있는 사항입니다.

RISE는 60일 평균 거래량 28만주로 가장 낮은 수준이라 제외.

결과적으로 오늘 살펴본 5개 나스닥100etf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라면

저는 KODEX미국나스닥100TR을 선택하겠습니다.

덧붙여,

  • 1년 미만의 단기 투자로 현금화 시킬 계획이 있다면 유동성이 풍부한 KODEX TR
  • 똑같은 투자 전략인데다가 무조건 낮은 수수료율을 선호한다면 RISE
  • 배당 받고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싶다면 오랜 역사를 가진 TIGER가 적합합니다.

관련 내용

KODEX 미국나스닥100 TR 자세히 알아보기 click
: QQQ와 비교, 수익률, 투자 전략 핵심 요약

ETF 유동성이란? >> click
순자산이 크다고 유동성이 좋을까?

인덱스 펀드, 액티브, 패시브란?

미국나스닥100 ETF TIGER ACE RISE 투자 선택은?

미국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5개를 알아보고, 운용규모와 수수료, 구성종목 을 비교하겠습니다.

연금계좌나 isa 계좌를 활용해 NASDAQ100에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이 글을 보고 어느 운용사의 ETF가 자신의 투자 목적에 맞을지 알 수 있을 겁니다.

미국나스닥100 ETF 개요

  • KODEX 미국나스닥100TR

발행사: 삼성자산운용
상장일: 2021. 04. 09.
순자산총액: 12,810억 원(국내상장ETF 902개 중 27위)
수수료: 0.1795%

  • TIGER 미국나스닥100

발행사: 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 2010. 10. 18.
순자산총액: 38,709억 원 (국내상장 etf902개 중 6위)
수수료: 0.2144%

  • ACE 미국나스닥100

발행사: 한국투신운용
상장일: 2020. 10. 29.
순자산총액: 10,791억 원 (36위)
수수료: 0.1917%

  • RISE 미국나스닥100

운용사: KB자산운용
상장일: 2020. 11. 06.
순자산총액: 6,938억 원 (50위)
수수료: 0.1738%

  • SOL 미국나스닥100

운용사: 신한자산운용
상장일: 2024. 3. 12.
순자산총액: 267억 원 (444위)
수수료: 0.4895%

25.1.7.기준KODEXTIGERACERISESOL
순자산총액17,412억45,415억13,017억9,432억357억
수수료0.1729%0.2146%0.1886%0.1732%0.5526%
미국나스닥100ETF 비교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미국나스닥100의 순자산총액, 수수료가 가장 높습니다.

수수료가 가장 낮은건 KB자산운용의 RISE미국나스닥100ETF입니다.

국내상장 ETF의 순자산총액이 50억 이하면 관리 종목으로 지정되고, 상장폐지가 될수 있습니다.

ETF는 운용규모가 클수록 좋습니다. 규모가 작을 수록 괴리율이 커져 ETF가격에 왜곡이 생기기 쉽고, 내가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가 안될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상장폐지도 되기때문에 같은 자산군의 ETF를 비교해 운용규모, 거래량이 높고 수수료는 낮은걸 선택해야합니다.

수수료율?

수수료율이 낮을 수록 투자 성과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수수료가 낮은걸 선택하면 안됩니다. 수수료율은 운용사마다 상시 변동하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지난 3월과 5월 그리고 10월의 수수료를 비교해봤을때 수수료율에 모두 변화가 있었습니다.

SOL의 경우 지난 5월 수수료율 0.1596%로 가장 낮은 수수료율에서 10월 0.4895%로 가장 높은 수수료율이 적용됩니다.

만약 낮은 수수료만 보고 매수했다면 크게 후회했을거에요. 특히 상장한지 1년 미만의 ETF는 변동폭이 크기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개인적으로 신규상장은 배제시킵니다.

24.3. ~ 25.1. 수수료 변동표

24.3월 수수료율5월10월25.1.
KODEX(TR)non0.2839%0.1795%0.1729%
TIGER0.2251%0.2246%0.2144%0.2146%
ACE0.1958%0.1973%0.1917%0.1886%
RISE0.1648%0.1833%0.1738%0.1732%
SOL0.1596%0.4895%0.5526%
수수료율 변동

위 표에서 수수료가 지난번보다 오른건 붉은색, 내린건 파란색으로 표기했습니다.

SOL을 제외하고 모두 수수료가 낮아졌네요.

운용능력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수수료율은 운용규모와 운용기간을 고려해서 확인하세요.

거래량 :미국나스닥100

60일 평균 거래량
KODEX (TR)130.19만주
TIGER24.46만주
ACE66.96만
RISE41.85만주
SOL5.74만주

60일평균 거래량은

일반적으로 평균거래량이 1,000주가 되지 않으면 좀비ETF로 분류됩니다.

순자산총액 50억 미만, 평균 거개량 1000주 미만이라면 적극적으로 포트폴리오 조정을 해야합니다. ETF는 상장폐지 되더라도 주식처럼 휴지조각이 되는것은 아니지만,

해지 상환금을 돌려받더라도 당시 수익률이 마이너스라면 확정적 손실을 부담해야합니다.

구성종목

구성종목 25.1.기준비중
AAPL(애플)9.3%
NADA(엔비디아)8.9%
MSFT(마이크로소프트)7.9%
AMZN(아마존)5.9%
AVGO(브로드컴)4.5%
TSLA(테슬라)3.7%
META(메타)3.33%
GOOGL(알파벳A)2.8%
GOOG(알파벳C)2.7%
COST(코스트코)2.53%

5월에 투자 종목을 확인했을때는 RISE와 KODEX의 구성종목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10월 확인한 결과 상위 10개 종목이 일치합니다.

비중도 거의 비슷하게 조정되었네요.

수익률, 배당

기간별 수익률은 KODEX미국나스닥100TR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1개월 6.95%
  • 3개월 -1.21%
  • 6개월 12.88%
  • YTD 26.84%
  • 1년 35.28%
  • 3년 16.2%

분배율

연간 분배율
KODEX (TR)X
TIGER0.54%
ACE0.5%
RISE0.69%
SOL0.13%

KODEX미국나스닥100(TR)은 TOTAL RETURN 분배금을 재투자합니다. 결과적으로 배당은 없이 복리투자 효과를 낼수있습니다.

정리

국내상장 미국나스닥100ETF 5종을 살펴봤습니다.

신한자산운용의 SOL미국나스닥100의 경우 24년 3월상장으로 운용한지 약8개월차입니다. 운용규모와 높은 수수료율로 선택에서 제외했고, 앞으로 지켜봐야겠습니다.

순자산총액이 가장 큰건 TIGER
수수료율이 가장 낮은것은 RISE
거래량이 가장 많은건 KODEX입니다.

운용기간과 규모, 수수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때 저는 KODEX미국나스닥100TR을 선택했습니다.

만약 배당을 받고싶다면 TIGER, RISE, ACE 인데 특별히 더 나은것 없이 비슷비슷합니다.

그래도 하나를 꼽으라면 거래량도 많고, 수수료도 적정한 RISE정도가 되겠네요.

미국나스닥100

미국 나스닥100 ETF 5개 비교 정리 : TIGER KODEX ACE RISE,,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5종입니다. NASDAQ100지수를 기초 지수로 동일한 성과를 추적하는 ETF입니다.
국내 대부분의 자산운용사에서 상장시킨 상품으로 손꼽히는 인기 펀드인데요. 미국 상장 ETF QQQ를 벤치마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순자산총액, 총 수수료 등을 비교해보고, QQQ와 구성 종목 차이점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미국 나스닥100 ETF 5개 개요

1-1 TIGER 미국나스닥1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2010.10.18. 상장
  • 순자산총액 36,992억 (전체 ETF 889개중 7위)
  • 총 수수료 0.2052%
  • 현재가 118,145원

1-2 KODEX 미국나스닥1000TR

  • 삼성자산운용
  • 2021.4.9. 상장
  • 순자산총액 12,214억 원 (28위)
  • 총 수수료 0.1793%
  • 현재가 17,680원

1-3 ACE 미국나스닥100

  • 한국투신운용
  • 2020.10.29. 상장
  • 순자산총액 10,298억 원(35위)
  • 총 수수료 0.1927%
  • 현재가 20,300원

1-4 RISE 미국나스닥100

  • KB자산운용
  • 2020.11.6. 상장
  • 순자산총액 6,749억 (51위)
  • 총 수수료 0.1740%
  • 현재가 19,660원

1-5 SOL 미국나스닥100

  • 신한자산운용
  • 2024.3.12. 상장
  • 순자산총액 245억 원 (445위)
  • 수수료 0.4186%
  • 현재가 11,200원

미국 나스닥100 ETF 5개
나스닥100 ETF 5종

5개 자산운용사의 미국 나스닥100 ETF의 운용규모, 수수료를 비교해봤습니다.

순자산총액이 가장 큰 것은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입니다. 국내 주식형 ETF 889개중 7위를 할 정도로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수수료가 가장 낮은건 KB자산운용사의 RISE 미국나스닥100 입니다.

신한자산운용사의 SOL은 가장 최근 상장했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운용규모가 245억 원으로 가장 작고, 수수료는 가장 높습니다.
제가 5월에 확인했을때는 총 수수료가 0.1596%로 가장 낮은 수수료율이었는데, 몇달 사이에 확 올랐네요.

신규 상장 ETF를 조심해야하는 이유입니다.
수수료율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낮다고 선택하지말고, 운용규모와 거래량을 확인한 뒤 투자하는게 현명한 방법입니다.
몇 달 사이에 0.3%이상 수수료율이 올랐다니 놀랍네요.

일반적으로 운용 규모가 클수록 투자자가 부담하는 수수료율은 낮아집니다. SOL을 제외한 4개의 ETF는 지난 5월 대비 수수료가 모두 낮아진 수치입니다.

2. 미국 나스닥100 구성종목

5개의 자산운용사 모두 상위 10개 종목이 동일합니다. 약간의 비중 차이는 있지만 순위까지 같을 정도로 똑같은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습니다.

투자 종목이 같기 때문에 ETF선택에 있어서 운용규모와 수수료만 확인한 뒤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구성 종목에서 중요한 점은 운용사끼리 비교가 아닌 미국 상장 QQQ와의 차이점일것 같네요. 확인해보겠습니다.

미국 나스닥100 ETF 구성종목 비교
나스닥100 ETF 구성종목

2-1 QQQ 구성종목 ; 미국 나스닥100

미국 상장 QQQ와 국내상장 나스닥100ETF의 구성 종목 상위 10개는 동일합니다.

순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요. QQQ는 엔비디아의 비중이 조금 더 높습니다.  0.5%내외 차이로 별 의미는 없어보이네요.

QQQ 구성종목 도넛차트
QQQ 상위 10개 종목

전체적으로 봤을때 국내 나스닥100 ETF는 QQQ의 투자 전략을 그대로 갖고 왔습니다.

해외 거래 계좌가 없거나, 환전의 번거로움이 귀찮은데 QQQ에 투자하고 싶다? 그럼 국내 계좌를 활용해 국내 상장 나스닥100ETF 어떤 것을 선택해도 같은 투자 전략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연금계좌나 ISA계좌를 활용해 투자한다면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국내 상장 ETF의 높은 수수료율을 커버 할 수도 있겠네요.

2-2 리밸런싱

덧붙여, 나스닥 100지수는 금융주를 제외한 기술, 소비재, 헬스케어, 통신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기술주와 성장주에 대한 투자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정기적으로(매년 1회) 기업을 재편성하여 시장 변화를 반영하고, 필요 시 추가 조정을 하게됩니다.

기초지수의 종목 재편성에 따라 해당 ETF도 리밸런싱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ETF 리밸런싱은 기초지수에서 삭제, 추가된 종목이 반영됩니다. 리밸런싱 과정에서 거래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ETF의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수익률

앞서 소개한 ETF의 수익률은 거의 같은 흐름을 보입니다. KODEX의 경우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TR(토탈리턴), H(환헤지) 두종류가 있는데요. TR의 경우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형식으로 복리 투자개념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위에서 소개한건 TR상품으로 수익률이 약간 더 높을 수 있습니다.
나스닥100 대표ETF QQQ의 수익률을 살펴볼게요.

  • 1개월 수익률 1.16% (24.9.20.기준)
  • 3개월 수익률 5.74%
  • 1년 수익률 27.02%
  • 3년 수익률 8.57%
  • 5년 수익률 21.30%
  • 10년 수익률 17.89%

 

4. 미국 나스닥100 총정리

미국 나스닥100에 투자하는 국내상장 ETF 5종을 비교해봤습니다.

QQQ의 투자 전략을 벤치마킹한 국내상장ETF는 투자 종목, 기초지수가 거의 동일한 펀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 전략의 차이보다는 운용 규모와 낮은 수수료를 비교해야합니다.

운용규모가 가장 큰 것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나스닥100 입니다. KODEX, ACE 역시 순자산총액 1조원 이상으로 유동성이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수수료가 가장 낮은건 KB자산운용의 RISE, ACE, KODEX를 꼽을수 있는데요. 운용규모까지 고려하면 KODEX가 상당히 괜찮아 보이네요.

KODEX는 다른 펀드와 달리 분배금을 재투자하는 TR상품입니다. 배당을 받지 않고 재투자하는 형식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