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200선물인버스2X 수수료 장기투자 결과는? 수익률 배당금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 완벽 분석

주식시장이 상승하면 수익이 나는 일반적인 ETF와 달리,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는 코스피 200 선물지수(F-KOSPI200)의 일일 변동률을 역방향 2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즉, 코스피 200 선물지수가 하락하면 이 ETF는 상승, 반대로 코스피 200 선물지수가 상승하면 이 ETF는 하락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시장 하락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ETF로, 단기 트레이딩 및 하락장 방어 전략에 유용합니다.

오늘은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의 개념부터 투자 전략, 특징, 유의해야 할 점까지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 수수료 0.9997% 분배금없음

1.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 개요

기본 정보

항목내용
운용사삼성자산운용
출시일2016년 9월 22일
순자산총액12,183억 원(국내주식형etf중 30위)
기초지수KOSPI 200 선물지수
총보수 (수수료)연 0.9997%
현재가 2,070원
배당 지급 여부미지급 (TR, Total Return)
레버리지 비율-2배

선물인버스2X?

코스피 200 선물지수의 변동률을 역방향으로 2배 추종하는 상품으로, 코스피 200 선물지수가 하락하면 이 ETF는 상승하고, 반대로 상승하면 하락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F-KOSPI200 지수란?

이 ETF의 기초지수인 F-KOSPI200 지수KOSPI 200 선물 가격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지수입니다.

  • 최근월물(가장 가까운 만기 선물)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 선물 만기일 전에 차근월물(다음 만기 선물)로 교체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선물시장 변동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ETF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투자 전략

1) 하락장 대응 (단기 투자 목적)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단기 매매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 경기 침체, 금융위기 우려
  • 금리 인상 기조: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 지속
  •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전쟁, 무역분쟁 등
  • 대형 악재 발생: 기업 실적 부진, 부동산 위기 등

2) 포트폴리오 헤지 (리스크 관리)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유지할 때는 일반적인 ETF나 개별 종목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하락장이 예상되는 경우, 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헤지(위험관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주 중심 포트폴리오를 보유 중이라면,
    KODEX 200선물인버스2X를 일부 편입하여 하락장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비중을 투자할 경우 손실이 커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분산 투자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유의해야 할 사항

1)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음

  •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는 일별 변동률을 -2배 추종하는 구조이므로,
    장기 보유 시 기대 수익률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시장이 등락을 반복하는 경우
    ETF의 누적 수익률이 기초지수의 -2배를 따라가지 못할 수 있음

2) 시장 상승 시 급격한 손실 가능

  • 코스피 200 선물지수가 상승할 경우, 이 ETF는 -2배 하락
  • 따라서 상승장이 지속되면 손실이 빠르게 커질 가능성이 큼

3) 변동성이 크므로 트레이딩 전략 필수

  • 이 ETF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일별 수익률 관리가 필요
  • 단순히 ‘하락할 것 같아서’ 진입하기보다는,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금리, 경제 지표, 정치적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투자해야 함

목표 수익률과 손절 라인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4. 수익률 및 배당

수익률

기간(25.3.20.기준)수익률
1개월-2.59%
3개월-20.88%
연초 대비 (YTD)-19.96%
1년-2.82%

최근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면서 이 ETF의 수익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배당 정보

  • 배당금 지급 없음 (TR, Total Return 방식)
  • ETF 내부에서 발생한 배당금은 자동 재투자됨

5. 핵심 정리

적합한 투자자
✔ 시장 하락장에서 단기 수익을 목표
✔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관리하고 싶은 투자자
✔ 적극적인 트레이딩을 선호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투자자
❌ 장기 투자 전략
❌ 변동성이 큰 상품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코스피(KOSPI) ,코스피200 ETF의 차이점은?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정의와 차이점,

대표할만한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KOSPI)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뜻합니다. 코스피 또는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불립니다.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총 839개입니다.

코스피200

코스피200 : Korea Stock Price Index 200

코스피200지수는 해당 지수 옵션거래를 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지수입니다.

코스피에 포함된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200개 선정한 것입니다.

종목의 업종 대표성, 유동성 등의 기준을 반영해 한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 볼 수 있습니다.

차이점

코스피(KOSPI) 지수에 포함된 종목 중 시총, 유동성 등을 고려해 산출된 지수가

코스피200지수입니다.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비교 시점의 시총/ 기준 시점 시총 × 100)

코스피200지수는 한국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지수에 편성된 종목은 대형 우량주가 약 90%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대표ETF

코스피(KOSPI)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8개, 코스피200 지수 추종 ETF는 44개입니다.

코스피 ETF는 투자 종목 수 약 720여인 반면, 코스피200 ETF는 200개 종목에 투자합니다.

각각의 종류를 살펴보고 수익률 체크도 해보겠습니다.

코스피ETF

  •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25.3.10.KODEX코스피TIGER코스피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15.8.24.2017.8.31.
순자산총액4,594억 원1,751억 원
수수료0.1690%0.1790%
연 배당률2.26%1.96%
투자종목수744개820개

코스피200ETF

  • 삼성자산운용, 미셋자산운용
24.11.29.KODEX200TIGER200
운용사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
상장일2002.10.14.2008.4.3.
순자산총액586,610억 원20.930억 원
수수료0.1931%0.0923%
연 배당률2.40%2.53%
투자종목수201개201개

성과 비교

최근 성과를 비교해보면,

25.3.10.기준코스피ETF코스피200ETF
1개월2.16%2.08%
6개월3.05%1.33%
YTD7.33%7.12%
1년-1.95%-4.03%
3년0.57%0.64%

전반적으로 코스피ETF의 수익률 하락 방어도 잘하고, 수익률도 더 괜찮았습니다.

예상대로라면 국내 대형 우량주 위주의 코스피200ETF가 수익률이 좋을 것 같지만,

700여개가 넘는 종목에 분산투자 하는 효과 덕분인지 코스피ETF가 더 안정적으로 보여집니다.

괴리율은 -0.05% ~ -0.09%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정리

코스피(KOSPI) 와 코스피200(KOSPI200) ETF의 의미와 차이점, 관련 ETF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코스피는 839개 종목, 코스피200은 그 중 시가총액 규모, 거래량, 업종의 대표성 등을 고려해 편입된 200개 종목 지수입니다.

한국시장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는 건 KOSPI200지수 입니다.

대형주를 포함 중형주, 가치주 등 성장 가능성에 폭넓게 투자하고 싶다면 KODEX코스피, TIGER코스피를 선택하고,

업종의 대표 기업들을 포함 우량주 중심으로 선별된 20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싶다면

KODEX200, TIGER200이 좋은 선택지가 됩니다.

참고

코스피200 KODEX vs TIGER 비교

코리아 밸류업 지수 100종목 확인

ISA계좌로 뭘 사야 좋을까?

KOSPI200 국내상장 ETF 3개 비교 투자자의 선택은?

KOSPI200 ETF는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200개 종목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코스피200지수는 한국 경제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는 지표로 해당 etf에 투자함으로써 국내 대표기업에 분산투자 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각 운용사마다 관련ETF를 관리하고 있는데요. 그중 3개를 비교해 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투자 목표에 따라 어떤 걸 선택하는 게 좋을지생각해 보겠습니다.

KOSPI200 ETF

KODEX200

  • 발행사: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2002.10.14.
  • 수수료: 0.1911%
  • 순자산총액: 60,851억 원
  • 평균 거래량: 656.39만 주

TIGER200

  • 발행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2008.4.3.
  • 수수료: 0.0927%
  • 순자산총액: 20,921억 원
  • 평균 거래량: 202.40만 주

RISE200

  • 발행사: KB자산운용
  • 상장일: 2011.10.20.
  • 수수료: 0.0547%
  • 순자산총액: 12,219억 원
  • 평균 거래량: 61.48만 주

구성 종목

코스피200지수에 편입된 종목 200개로 구성됩니다.

개별종목 구성 비중은 오차범위 0.1% 이내로 동일하다고 보면 됩니다.

상위 10개 종목이 약 51%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고, 그중 삼성전자에만 25.1% 투자합니다.

  1. 삼성전자 25.1%
  2. SK하이닉스 8.5%
  3. 현대차 2.9%
  4. 셀트리온 2.4%
  5. KB금융 2.4%
  6. POSCO홀딩스 2.14%
  7. 기아 2.13%
  8. 신한지주 2.11%
  9. NAVER 2%
  10. 삼성SDI 1.6%

개별 종목의 규모를 나눠봤을 때 약 7%만이 중,소형주 나머지는 모두 국내 대형주에 투자합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규모라고 볼 수 있겠네요.

셀터별로 IT가 37.9%, 산업재 15.41%, 금융 부분 12.5% 그 외 소비재, 통신서비스, 산업재, 유틸리티 등 다양한 산업에 투자합니다.

수익률 및 분배금

수익률kospi200 etf

포트폴리오가 같기 때문에 KODEX200 ETF를 기준으로 성과를 살펴보겠습니다.

  • 1개월 1.32%
  • 6개월 -6.09%
  • 1년 10.91%
  • 3년 -1.57%
  • 5년 7.59%
  • 10년 5.42%

분배율kospi200 etf

  • 연간 분배율 2.26%
  • 분배 내역 24년 7월 150원

정리

KOSPI200 ETF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국내 대표기업을 다수 포함합니다. 이러한 종목에 개별 투자하는 것보다 ETF를 통해 리스트를 분산 시킬 수 있는데요.

200개의 종목에 투자 할 수 있고, 특정 기업의 성과 부진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KODEX200의 경우 국내 상장 주식형 ETF 중에서 운용 규모 3위를 할 만큼 대형 펀드로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장 낮은 수수료는 RISE 200인데, 수수료는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한 수수료율 기준을 놓고, 그 범위내에서 선택하는 게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표는 기간에 따른 수수료율 변동 차트입니다.

KOSPI200 etf 수수료율 비교 차트

위 차트는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수수료율을 의미합니다.

(총보수+ 기타 비용 + 매매 중개수수료)

특히 신규 상장ETF의 경우 수수료가 크게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다행히 오늘 비교한 kodex, tiger, rise200은 운용 기간만 16년 이상이라 갑작스런 큰 폭의 변동은 없을 것 같습니다.

가장 높은 것도 수수료가 0.1911%인데 이 정도는 전체 ETF 중에서도 낮은 수준입니다.

제 선택은 같은 투자 전략을 갖고 있는 상품이고, 수수료도 적정 수준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풍부한 kodex가 괜찮아 보이네요.

어떤 ETF인지보다 더 중요한 건
“국내 코스피지수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가?” 입니다.

수익률을 보면, 무조건 장기 투자가 유리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장기투자 시 손해를 보는 구조로 보이는데요.

이래서 국내 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이동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거겠죠.

장기투자가 목표라면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게 더 안정적일겁니다.
달러 확보도 할 수있고, 주가 상승 기대감, 시장의 성장성 모든 면에서 장기투자에 더 유리합니다.

장기 투자 목적으로 미국 대표 지수 ETF와 단기 투자용으로 국내 KOSPI200 ETF를 적절히 섞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됩니다.

국내 시장의 긍정적인 측면은

최근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여러 정책이 나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밸류업 지수를 개발하고, 곧 관련 투자 상품들이 상장됩니다. 그리고 불법 공매도 관련 법을 개정해 25년 3월부터 시행 예정이고요.

국내 주식시장에 신뢰도가 높아지면 오늘 소개한 KOSPI200 ETF 등도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겠네요.

☆☆☆코리아밸류업지수>> 가치주 100종목 확인 click!

★★★장기투자의 정석 미국 S&P500 ETF 4개 비교 분석 click!

★★★인기ETF QQQ와 QQQM 비교 선택 !

★★★가치투자 저평가주 찾는 방법, 용어 정리